ISSN : 1229-067X
이 연구에서는 개인간 태도에서외 대립이 태도대상을 바라보는 조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전제에서, 조망의 확대처치가 태도에서의 대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설정한 태도의 변형생성모형에서는 조망이 확대되면 태도 대상에 대한 개인의 지각된 차원구조가 평가차원에서 기술차원으로 변형되며, 이에 따라 태도에서의 대립도 개인간 대립에서 대상간 대립으로 바귀계 된다고 제안하였다. 이 모형에 대한 검증은 태도대상 「개기르기」에 대하여 찬성조망(놀이가치)을 갖고 있는 국민학생들에게 반대조망(일가치)도 갖게 해줌으로써 그들의 태도의 차원구조가 어떻게 바뀌는가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태도대상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지각된 차원구조가 평가차원에서 기술차원으로 변형되었음이 밝혀졌다. 이 결과로부터 태도에서의 개인간 갈등이 개인내의 인식의 변화를 거쳐서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On the assumption that inter-individual attitudinal conflict would result form different perspectives toward an attitude object, this study was assessed the effects of perspective expansion in attitudinal conflict. When anti-perspective(work oriented values) was given to children with pro-perspective(play oriented values) toward an attitude object dogrearing. children's perceived structure of attitude dimensions was changed from evaluative dimension(likable-dislikable) to descriptive dimension(play oriented-work oriented). That is, the dog rearing was not perceived by children as likable or dislikable, but as play-oriented value(amusing but annoying) or work-oriented value(comfortable but weary). Also, inter-individual conflict shifted form evaluative confrontation(likable vs. dislikable) to descriptive confrontation(thing to work vs. thing to play). Attitudinal conflict was then transformed from inter-individual discrimination to inter-object discrimin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were proposed a resolution model of attitudinal confl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