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삼단논법 추리에서의 형상(격) 효과

The Effect of Figure in Syllogistic Reasoning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0, v.9 no.1, pp.16-32
조명한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어떠한 삼단논법의 과정이론도 분위기 효과에 대해 대안적인 설명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제안한 통합 과정이론은 전제들 각각에서 우선 중개념의 범주의 범위를 표상하고, 그 중개념의 교집합에 근거하여 말단개념들인 소개념과 대개념의 관계를 추리하되, 이때 추리된 결론의 신념도(confidence)가 가능한 중개념의 여집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 이론으로, 모든 64범주 삼단논법들에 대해 피험자들이 어떻게 정당한 논법을 옳게 추리할 수 있는지, 부당한 논법을 부당하다고 추리하지 못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분위기 효과가 어떻게 형상(격)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지를 잘 설명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 논문은 삼단논법 추리가 중개념 중심으로 전제들의 정보를 통합한다는 통합 과정이론의 기본 가정들에 관해 선형 삼단논법에서 실험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Abstract

Any of the process theories of syllogistic reasoning must provide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the atmosphere effect. The theory of integration process advanced here claims that the reasoner first construct a representation for the possible set interpiretations of middle term which occurs in both premises, and then draw a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cverlapping set of the middle term. The theory further proposes that mutually exclusive set of the middle term affects the confidence level in drawing the conclusion as the case may be. Predictions from the theory are fairly close to the data of Dickstein. (1978) and Johnson-Laird and Steedman (1978) in which the complete response distributions of all 64 syllogisms are reported. Comparable support for th.e theory is evident in the data from the experiments on linear syllogism, which report the figural effect arises from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premises on the basis of middle term information.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0-08-20
수정일Revised Date
1990-10-0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