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U-형 발달: 이론과 현상의 개관

U-shaped Development: A Review of Theories and Phenomena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0, v.9 no.1, pp.33-53
송명자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특정 연령시기에 일시적인 발달상의 저하나 퇴행이 일어나는 U-형 발달은 발달의 기저에 있는 구조 또는 기제의 질적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발달적 현상으로 일컬어지나, 그 발달적 의의에 대한 회의 또한 제기되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U-형 발달 현상의 이론적 의의를 살펴보고, 발달심리분야의 실증적 자료들을 분석하여 이 현상의 발달적 의의와 현상적 특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U-형 발달의 이론적 의의는, U-형 현상을 과제의 수행요구의 차이에서 오는 단순한 퇴보로 간주하는 정보처리론적 접근, 생득적 기제가 환경의 영향에 의해 일시석으로 교란되다가 회복되는 과성으로 고려하는 생득론석 접근, 인지구조의 질적 도약을 뜻하는 구조변용론적 접근으로 대별하여 검토하였다. U-형 현상이 보고된 63편의 국·내외 논문을 분석한 결파, U-형 현상은 인지·지각·언어·사회인기·친사회적 특성 등 여러 영역에 걸친 보편적 발달과정으로서, 과제·집단구성·대상특성 등의 방법론적 요인의 영향을 배제하기는 어려우나 전반적으로 발달기제나 표상체제의 변화를 반영하는 의미있는 발달적 특성임이 드러났다. 이들 특성은 첫째, 동일 영역에서 발달적 퇴행이 일어나는 시기는 대체로 일치되므로 U-형 현상이 발달과정상 중요한 내재적 변화를 시사하는 가능성이 크며 둘째, 수행의 저하가 지속되는 기간이 크지 않으므로 퇴행이 지속적인 표상구조의 변화라기보다는 인지구조 발달상의 일시적 수행 동요로 해석될 가능성이 크며 셋째, 퇴행 이전과 이후가 동일 기제의 반복 재현이 아닌 기저기제의 질적 변화의 가능성이 높으며 네째, 수행상의 저하가 실제로 능력의 퇴보가 아닌 인지구조의 계열적 이행에 따른 인지적 진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keywords

Abstract

U-shaped development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psychology, for it is generally assumed to reveal the mechanism underlying developmental phenomena not easily provided by linear patterns. This study reviews va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f U-shaped behavioral growth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during mainly the 1980s. This review is intended to answer some controversial questions based on the factual information contained in surveyed literature.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from the reviews. First, most data seem to support the observation that U-shaped development is a significant developmental phenomenon revealing changing developmental mechanism even though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it is a methodological artifact as som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sts maintain. Second, U-shaped development has been proved to be a common occurrence observed in diverse areas of development such as perception, cognition, language, social cognition and social behavior. Third, a temporary drop in a fairly congruent age period is ovserved among different researchers and tasks in the same area of development. Fourth, in U-shaped development the high performance levels before and after a temporary drop reflect different developmental mechanisms rather than the same one. Fifth, despite a temporary drop in performance, U-shaped phenomena signify a continuous advance in competence, not reflective of a real regression in developmental proces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0-08-07
수정일Revised Date
1990-09-1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