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Counseling Psychology

초록

한국 사회에서는 세월호 참사, 가습기 살균제 사건, 지진 등의 예기치 못한 재난과 자살, 우울, 불안, 분노, 학교 폭력 등 다양한 정신건강의 문제로 인해 상담과 심리치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담과 심리치료와 관련하여 통합된 제도적, 정책적 규제가 마련되지 않아 현장에서는 윤리 위반, 법적 소송 등의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를 살펴보고 적절한 대처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이번 학회지에서는 상담정책, 상담윤리, 상담효과성에 대한 특별원고를 모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번 호에 들어온 특별호 원고들을 토대로 상담심리학의 현재를 상담자의 진로문제, 상담자에 대한 처우문제, 상담자의 전문성과 윤리문제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또한 상담심리학의 미래과제로 상담심리교육과정의 인증제, 상담수련에서의 윤리교육의 강화, 상담효과성 연구와 다학제적인 융합연구의 확대, 상담심리 관련 법 제정을 통한 국가수준의 상담시스템의 정립을 제시하였다. 필자들은 이번 특별호를 통해 상담심리학의 현재당면과제와 미래과제를 살펴봄으로써 상담심리학이 함께 고민해고 해결해야 하고자 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keywords
상담정책, 상담윤리, 상담효과성, 상담심리학, 미래과제, counseling policy, counseling ethics, counseling effectiveness, counseling psychology, future prospects

Abstract

Recently, unpredictable disasters such as Sewol ferry disaster, toxic humidifier sterilizers case, earthquakes, and various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suicidal issues, depression, anxiety, school violence, and so forth led the Korean society to increase its demands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Despite increasing demands and attention, there has been a lack of integrated system and policy regulations related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refore, in practice, serious problems like violation of ethical code and lawsuits are occurring. At this point, to understand present and future tasks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to find appropriate strategies to cope, topics on counseling policy, ethics,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were recruited in this special issue. In this paper, based on the manuscripts on this special issue, the present situation of counseling psychology was discussed by dividing them into career problem of the counselor, the treatment problem of the counselor,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counselor and ethical issues. Furthermore, as a future task for counseling psychology, there are accreditation for counseling psychology curriculum, strengthening ethical education in counseling training, expanding counseling effectiveness research, expanding multi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and establishing legislation related to counseling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his paper aims to open up a discussion that our counseling psychology should deal with by examining th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tasks of counseling psychology.

keywords
상담정책, 상담윤리, 상담효과성, 상담심리학, 미래과제, counseling policy, counseling ethics, counseling effectiveness, counseling psychology, future prospects

참고문헌

1.

강수정, 유금란 (2018). 상담자의 온라인 윤리: 내담자 정보 검색 및 활용과 상담자 자기개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575-600.

2.

강연미, 김희수 (2016). 청소년의 전문적 도움추구행동 특성 연구: 도움요청장애요인과 위기경험을 중심으로. 교육치료연구, 8(2), 237-252.

3.

강이영, 금명자, 조민희 (2018). 상담 수련과정에서 비윤리 경험의 실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495-513.

4.

곽미용, 이영순 (2010). 상담자 자격의 윤리적 문제. 인문학논총, 15(1), 235-253.

5.

김봉환 (2013). 상담자 윤리 개요. 김현아, 공윤정, 김봉환, 김옥진, 김요완, 노성숙, 방기연, 이장호, 임정선, 정성진, 정혜정, 황임란 (편집), 한국상담학회 상담학 총서 2. 상담철학과 윤리 (pp.79-108). 서울: 학지사.

6.

김은아, 손혜련, 김은하 (2018). 상담에서 전문적 도움추구의 선행요인에 대한 고찰. 상담학연구, 19(1), 87-111.

7.

김인규 (2018). 국내 상담자격의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475-493.

8.

김인규, 이미현, 정보인 (2013). 한국형 상담교육인증체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상담학연구, 14(3), 1569-1585.

9.

김인규, 조남정 (2016). 학부 상담교육 인증기준 개발. 상담학연구, 17(6), 87-104.

10.

김인규, 최현아 (2017). 한국형 상담교육인증체제 구축방안 연구. 상담학연구, 18(3), 43-57.

11.

김정진 (2016). 상담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안) 제안. 입법과 정책, 8(2), 247-271.

12.

김종학, 최보영 (2018). 대학상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추정 및 영향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663-687.

13.

연규진, 이지미, 이수정, 이도형 (2016).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 개신교인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7(5), 243-267.

14.

이소연, 서영석, 김재훈 (2018). 사회정의에 기초한 진로상담 및 직업상담: 상담자 역할과 상담자 교육에 대한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515-540.

15.

이은경, 송미경 (2018). 메타분석에 기초한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ACT(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상담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635-661.

16.

이지영 (2018). 체험적 심리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효과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601-633.

17.

손은령, 고홍월, 이순희 (2013). 한·미 대학상담 기관 운영 실태 비교. 교육연구논총, 34(1), 291-309.

18.

신연희, 안현의 (2005).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에서 접근요인과 회피요인의 상대적 중요성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77-195.

19.

정미라, 유금란 (2018). 비밀보장 갈등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대처행동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특별호, 30(3), 541-574.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정보서비스 (2018). 2018년 8월 21일에 https:// www.pqi.or.kr/inf/qul/infQulList.do 에서 검색.

21.

Fischer, E. H., & Turner, J. I. (1970). Orientation to seeking professional help: Development and research utility of an attitude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5(1), 79-90.

22.

Rosenzweig, S. (1936). Some implicit common factors in diverse methods of psychotherapy.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6(3), 412-415.

23.

Stefl, M. E., & Prosperi, D. C. (1985). Barriers to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21(3), 167-178.

24.

Wampold, B. E., Flckiger, C., Del Re, A. C., Yulish, N. E., Frost, N. D., Pace, B. T. et al. (2017). In pursuit of truth: A critical examination of meta-analyse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Psychotherapy Research, 27(1), 14-3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