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에게 상담 수련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비윤리적 행동이나 태도를 설문 조사하여 실제로 어느 정도 비윤리적 경험을 하고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격증 유무, 수퍼비전 횟수, 근무기관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8년 개정된 한국상담심리학회의 윤리강령 중 윤리적 갈등을 경험할 수 있는 문항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회원 996명에게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38개 문항 중 7개 문항에서 2.0점 이상으로 비윤리적 실태가 나타났다. 이 중에는 ‘정보의 보호 및 관리’ 영역 문항들이 많았다. 특히 ‘상담동의서는 받았지만 수퍼비전을 받는 시점에는 허락받지 않았다’는 문항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소진에도 불구하고 상담을 계속하고, 바쁠 때 상담약속을 취소하는 등 11개의 문항에서 자격증을 가진 상담자들이 수련생들보다 더 많이 비윤리적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자나 수퍼바이저의 특정 행동이 절대적으로 비윤리적이라고 할 수 없지만, 상담수련 현장에서 발생되는 비윤리적 행동의 실태를 이해하여 이를 수련감독 및 상담자 교육, 윤리교육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윤리강령의 개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의미 등이 제언과 함께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experiences of unethical behavior and attitudes during th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An online survey, developed based on 11 categories from the Ethical Code of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revised in 2018), was completed by 996 personnel. Results found that 7/38 questionnaires had over 2.0 scale and 4 among them were in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Confirmation for supervision was received by, ‘Informed Consent Form,’ and ‘Confirmation Prior to Supervision’ was ranked as being skipped most often. In 11 of the questionnaires it was found in the section specific to ‘Counseling Being Forced to Continue Despite Burnout’ that licensed counselors were exhibiting more unethical behaviors than the counselors in training. Understanding and further researching occurrences of unethical behaviors during the process of supervision/counseling training is recommended. Application of these findings in future code of ethics revisions and in the process of ensuring ethical education and training is suggested.
국가법령정보센터 (2018). 개인정보보호법.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5062&efYd=20171019#0000 에서 검색.
금명자 (2018) 상담심리전문가의 윤리와 적용. 한국상담심리학회 학술대회. 3월 17일. 서울: 연세대학교 대강당. 미간행.
서영석, 최영희, 이소연 (2009). 상담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815-842.
안하얀, 서영석, 박성화, 이정윤, 최유리 (2017).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상담 수퍼바이저의 윤리지침 이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4), 915-952.
오송희, 이정아, 김은아 (2016). 상담윤리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267-289.
우홍련, 허난설, 이지향, 장유진 (2015). 한국상담자들이 경험한 윤리문제와 대처 방법 및 상담 윤리 교육에 관한 실태 연구. 상담학연구, 16(2), 1-25.
이승은, 정남운 (2003).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3), 441-460.
조윤진, 이은진, 유성경 (2014). 상담심리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부정적인 경험의 변화 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41-877.
최해림 (2002). 한국 상담자의 상담윤리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05-828.
최해림, 이수용, 금명자, 유영권, 안현의 (2010). 전문적 상담현장의 윤리. 서울: 학지사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14). ACA Code of Ethics. Alexandria, VA: Author. Retrieved from https://www.counseling.org/ resources/aca-code-of-ethics.pd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7) APA Code of Ethics. Retrieved from http:// www.apa.org/ethics/code/.
Corey, G., Corey, M. S., & Callanan, P. (2011). 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 (8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Donner, M. B., VandeCreek, L., Gonsiorek, J. C., & Fisher, C. B. (2008). Balancing confidentiality: Protecting privacy and protecting the public.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9(3), 369-376.
Ellis, M, V. (2001). Harmful supervision, a cause for alarm: Comment on Gray et al.(2001) and Nelson and Friedlander (2001).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4), 401-406
Gabbard, G. O. (1994). Teetering on the precipice: A commentary on Lazarus's “how certain boundaries and ethics diminish therapeutic effectiveness.” Ethics & Behavior, 4(3), 283-286.
Gottlieb, M. C., Robinson, K., & Younggren, J. N. (2007). Multiple relations in supervision: Guidelines for administration, supervisions, and studen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8(3), 241-247.
Hill C. (2009). 상담의 기술 [Helping Skills].(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9년에 출판).
Kitchner, K. S. (2000). Foundation of ethical practice, research, and teaching in psychology. Mashway, NJ: Erlbaum.
Ladany, N., & Bradley, L. J. (2013). 상담 수퍼비전[Counselor Supervision]. (유영권, 안유숙, 이정선, 은인애, 류경숙, 최주희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1년에 출판).
Ladany, N., Lehrman-Waterman, D., Molinaro, M., & Wolgast, B. (1999). Psychotherapy supervisor ethical practices: Adherence to guidelines,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supervisee satisfac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7(3), 443-475.
Neukrug, E., Lovell, C., & Parker, R. J. (1996). Employing ethical codes and decision making models: A developmental process. Counseling and Values, 40, 98-106
Pope, K. S., & Vasquez, M. J. T. (2010). 심리치료와 상담의 윤리학[Ethics i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 practical guide(3rd ed.)]. (박균열외 역). 서울: 철학과 현실사. (원전 2007에 출판).
Stoltenberg, C. D., & Delworth, U. (1987). Supervising counselor and therapists: A developmental approa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Tinsley, H. E., Workman, K. R., & Kass, R. A. (1980). Factor analysis of the domain of client expectancies about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7(6), 561-570.
Tofler, A (1990). 권력이동[Power Shift]. (이규행 역). 한국경제신문.
Warthington, R., Tan, J., & Poulin, K. (2002). Ethically questionable behaviors among supervisee: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Ethics & behavior, 12, 323-351.
Watkins Jr, C. E. (1985). Countertransference: Its impact on the counseling situat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3(6), 356-359.
Welfel, E. R. (2005) Accepting fallibility: A model for personal responsibility for nonegregious ethics infractions. Counseling and Values, 49(2), 1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