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초보상담자의 직업적응 경험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경력 3년 미만의 초보상담자 8명을 전화인터뷰 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보상담자의 직업적응은 7개의 영역, 19개의 범주, 37개의 하위범주, 71개의 핵심개념으로 추출되었다. 주요 범주를 중심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초보상담자들이 인식한 적응의 의미는 ‘상담자로서 전문적, 인간적 자질을 갖추고 성장하는 삶’이었고 현재 적응 상태는 ‘부적응과 소진됨’, ‘상담자로서 적응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적응을 방해하는 내적 갈등으로는 ‘전문성에 대한 고민과 과정에 대한 막막함’이었고, 외적 갈등으로는 ‘내담자 요인 및 내담자 환경적 문제로 인한 한계를 경험함’과 ‘상담자로 성장하기 위한 기회비용 대비 환경적 처우가 열악함’이었으며, 적응을 위한 노력으로 ‘선배, 동료 등 주변에 조언을 구함’이 전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에 도움이 된 요인으로는 ‘내담자의 변화와 깊어진 상담관계 경험을 통해 상담자로서 만족감을 느낌’, ‘사람과 상담에 대한 기본적인 관심과 믿음’,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 훈련’, ‘동료들과의 관계 속에서 힘을 받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보상담자들의 적응 과정에서 성장은 ‘초기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변화하고 있음을 느낌’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view data of eight novice counsel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djustment experience utiliz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meaning of work adjustment, as recognized by novice counselors was, ‘life with professional and human qualities’ and their adjustment status was both, ‘maladjustment and exhaustion’ and ‘adapting as a counselor’. Internal conflicts that interfere with adjustment were ‘worry about professionalism and the process.’ External conflicts included, ‘experiencing limitations due to client factors’ and ‘growing as a counselor/lack of opportunity, excessive financial costs, poor treatment and environment.’ The primary effort made towards adjustment was, ‘seeking advice from colleagues.’ Factors that helped were, ‘feelings of satisfaction as a counselor via client changes and enhanced counseling relationships,’ ‘basic attention to and belief in counseling,’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successfully overcoming the initial fear.’
고문정 (2016). 상담자의 공감나누기 체험에 대한 질적연구. 상담학연구, 17(2), 1-23.
김광웅, 최명선, 김현주 (2005). 아동상담자의 경력, 훈련 경험에 따른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2(4), 1-18.
김길문, 정남운 (2004). 초보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 과정-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20.
김미지 (2009). 초보상담자가 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문항개발. 청소년상담연구, 17 (2), 21-37.
김순영, 배성만, 주은선 (2015).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상위인지 지각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6(2), 157-178.
김은혜, 윤아랑 (2017).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들. 인간이해, 38(2), 75-93.
김지연, 김동일 (2015).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상담학연구, 16(1), 73-93.
김지연, 한나리, 이동귀 (2009). 초심상담자와 상담전문가가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0(2), 769-792.
김진숙 (2001). 상담자 발달모형과 청소년상담자발달연구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9-37.
손유미, 정남운 (2005). 초심상담자와 내담자의 조기종결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523- 545.
송수경, 구자경 (2017). 초심상담자에 대한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18(5), 1-19.
송재영, 이윤주 (2014).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의 공감유형의 차이 분석. 상담학연구, 15(1), 125-144.
송주영, 이희경 (2013). 초심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희망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34(1), 93-110.
신재호, 정남운 (2007). 초보상담자의 상담 성과에 관한 질적 분석-도움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888-911.
심윤정 (2012). 기업 상담자의 기업 내 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대기업 내 여성 상담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 (4), 1819-1843.
이은진, 이문희 (2015). 초심상담자의 자기문제 이해 및 극복과정. 상담학연구, 16(3), 1-24.
이정화, 이상민, 박성륜, 이지희 (2011). 상담자 진로 결정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2(6), 2145-2161.
이형국 (2017). 상담전문가 인력 현황 조사 연구Ⅱ: (사) 한국정신건강상담협의회 산하 학회상담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8(1), 45-66.
전수경 (2016). 상담심리전문가들이 경험을 통해 지각된 숙련상담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가족과 상담, 6(1), 23-41.
정경빈, 조성호 (2009). 초보상담자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인간이해, 30(2), 45-60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81-598.
허재경, 김지현 (2009). 상담일반: 성찰 중심 수퍼비전을 통한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 탐색연구. 상담학연구, 12(2), 719-740.
Corey, M. S., & Corey, G. (2002).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Dawis, R. V. (1996). The theory of work adjustment and person-environment correspondence counseling.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3rd ed., pp.75-120). San Francisco: Jossey-Bass.
Dawis, R. V., & Lofquist, L. H. (1984).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Hill, C. E. (2016). 합의적 질적 연구-사회과학 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2년 출판).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Hiller, H. H., & DiLuzio, L. (2004). The interviewee and the research interview: Analysing a neglected dimension in research. Canadian Review of Sociology and Anthropology/ Revue Canadienne de Sociologie et of Anthropologie, 41(1), 1-26.
Huppert, J. D., Bufka, L. F., Barlow, D. H., Gorman, J. M., Shear, M. K., & Woods, S. W. (2001). Therapists, therapist variables,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utcome in a multicenter trial for panic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5), 747-755.
Loganbill, C., Hardy, E., & Delworth, V. (1982).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0(1), 3-42.
Norcross, J. C. (2000). Psychotherapist self-care: practitioner-tested, research-informed strategi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1(6), 710-713.
Pavalko, R. M. (1971). Sociology of occupations and professions. Itasca, Illinois: F. E. Peacock Publishers.
Shuy, R. W. (2003). In-person versus telephone interviewing. In J. A. Holstein, & J. F. Gubrium (Eds.), Inside interviewing: New lenses, new concerns (pp. 175-193). Thousand Oaks, CA: Sage.
Skovholt, T. M. (2000).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counselors, therapists,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Boston: Allyn and Bacon.
Skovholt, T. M.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유성경, 유정이, 이윤주, 김선경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0년 출판).
Skovholt, T. M., & Ronnestad, M. H. (1995).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Sussman, M. S. (1992). A curious calling: Unconscious motivation for practicing psychotherapy. NJ: Jason Aronson.
Wampold, B. E. (2001).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Models, methods, and findings. Mahwah, N.J.: L. Erlbaum Associates.
Wampold, B. E., & Brown, G. S. (2005). Estimating variability in outcomes attributable to therapists: A naturalistic study of outcomes in managed car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5), 914-923.
Wikins, P. (1997).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unselor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