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발달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현재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발달에 대한 이론이 없고 양적 통계가 불가능한 표집수의 한계가 있어, 가설추론 방식인 Q방법을 적용하여 전문가 발달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32명을 심층 면담하여 전문가 발달 경험에 대한 자아참조적 진술문 338개의 Q모집단을 구축하였고, 최종 4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P표본은 면담에 참여한 32명의 전문가이며, 소팅 결과는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Q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사이코드라마 실연 입문기’, ‘실존 만남 수련기’, ‘실연 기법 확장기’, ‘정체성 성찰기’, ‘자기통합 숙련기’로 총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각 유형의 특징과 의미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No theories currently exist about the development of psychodrama specialists, and the limited number of these professionals provides a challenge for the use of traditional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In order to investigate psychodramatist development types a hypothesis inference method, Q method, was employed. First, 32 psychodrama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s generated the Q population, which consisted of 338 self-reference statements, which was then reduced to a final 43 Q samples. P samples were composed of 32 specialis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Q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QUANL program on the sorting resul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psychodrama specialist development can be classified into 5 types: entering period into psychodrama enactment, training period for existential meeting, expansion period of enactment technique, reflection period on identity, and mastering period in self-integration. The features of each type of psychodrama specialist development and a proposed follow-up study are discussed.
고강호 (2017). 사이코드라마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정서조절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2), 21-32.
고영애 (2002). 심리극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 신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희숙, 조성희, 김희숙, 김은영, 이순섭, 이옥진, 성은옥 (2013). 사이코드라마전문가의 디렉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6(2), 1-22.
강희숙, 김희숙, 성은옥, 이순섭, 이옥진, 조성희 (2014). 사이코드라마전문가의 성장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7(1), 1-14.
김계현 (1992). 상담교육방법으로서의 개인수퍼비전 모델에 관한 복수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4, 19-53.
김동민 (2018). 예술치료 수퍼바이저 발달과정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질적탐구, 4(2), 275-302.
김민정, 조화진 (2015). 교육수준, 실무, 수퍼비전 경험과 교육 분석 경험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 비교연구. 상담학연구, 16(3), 67-84.
김상희 (2011). 사이코드라마에서 디렉터의 저항.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4(2), 1-19.
김영근 (2013).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03- 226.
김주현 (2012). 디렉터와 주인공이 지각하는 사이코드라마 치료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주현, 이지연 (2014). 디렉터가 경험한 주인공의 사이코드라마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7(2), 31- 50.
김진숙 (2001). 상담자발달모형과 청소년상담자발달연구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9-37.
김창대, 권경인, 한영주, 손난희 (2008).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상담학연구, 9(3), 961-986.
김헌수, 원유미 (2000). Q방법론. 서울:교육과학사.
김혜경, 이지연 (2016). 사이코드라마가 반복적 대인간 외상 경험자의 자기체계에 미치는 효과-알코올 의존자 배우자 중심으로.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9(2), 33-55.
김혜련 (2003). 심리극 기법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대인간 갈등해결 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혜미, 오인수 (2016). 숙련상담자의 좌절경험 및 극복과정의 구조 분석. 상담학연구, 17(5), 159-180.
김흥규 (1992).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간호학논문집, 6(1), 1-11.
김흥규 (2008).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 커뮤티케이션북스.
나현미, 정남운 (2016). 상담자의 성인애착, 상담자 발달수준 및 공감과 상담 초기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및 상담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339-369.
박수병 (2014).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7(1), 65-78.
박수영, 최한나 (2013). 상담자가 지각한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4(5), 2969-2986.
소수연 (2012). 수퍼바이저의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 탐색과 수퍼비전 수행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심흥섭 (1998).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양진영 (2005). 불안정 고용시대의 경력개발유형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유다솜 (2017). 상담자발달과 역전이, 상담성과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성경, 이문희, 조은향 (2010). 상담자 교육분석 경험 및 태도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8(2), 17-35.
이난복 (2011). 심상유도음악치료(GIM) 과정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주관적 인식 유형과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문희 (2011). 상담자의 심리치료와 전문성 발달. 사회과학연구논총, 25, 27-59.
이미선 (2008).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정, 박승민 (2015).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6(1), 1-29.
이윤주, 김계현 (2002). 상담자의 사례개념화 수행 능력과 상담 경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 257-272.
임전옥, 장성숙 (2015). 상담자의 정서지능과 상담관계 및 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491-518.
임지연, 소혜진 (2017). 음악치료사들의 음악적 학위과정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3(3), 197-222.
장세미 (2016). 수퍼바이저 발달 요소 탐색 및 수퍼바이저 발달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재홍, 권희경 (2002). 상담자 개입의 적절성과 상담자 태도가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487-509.
정문주, 조한익 (2016). 상담자 발달과 관련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상관관계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6(1), 1-29.
주혜연 (2003). 여자소년원생의 자기개념향상을 위한 심리극 집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한나 (2005). 상담자 발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상담학 연구, 6(3), 713-727.
최한나, 김창대 (2008). 좋은 수퍼비전 관계에 대한 수퍼바이지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21.
허미경 (2011). 사이코드라마 치료요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허재경, 신영주 (2015). 여성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발달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615-639.
Baakman, P. (2002). Principles of supervision. ANZPA Journal, 11(1), 38-47.
Borders, L. D. (1990). Developmental changes during supervisees’ first practicum. The Clinical Supervisor, 8(2), 157-167.
Borders, L. D., & Usher, C. H. (1992). Post-degree supervision: Existing and preferred practice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0(5), 594-599.
Brown, S. R. (1980). Political Subjectivity. Yale Univ. Press.
Ekstein, R., & Wallerstein, R. (1972).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sychotherapy (2nd ed.).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Ellis. M. V. (2001). Harmful Supervison, a Cause for Alarm: Comment on Gray et al. (2001) and Nelson and Friedlander (2001).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4), 401-406.
Frey, D. H. (1972). Conceptualizing counselling theories: A content analysis of process and goal statement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11(4), 143-250.
Grant, J., & Schofield, M. J. (2012). Managing difficulties in supervision: supervisors’ perspectiv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4), 528-541.
Hogan, R. A. (1964). Issues and approaches in supervision.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3), 139-141.
Huppert, F. D., Bufka, L. F., Barlow, D. H., Gorman, J. M., Shear, M. K., & Woods, S. W. (2001). Therapists, therapist variables,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utcomes in a multicenter trial for panic disorder.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6), 747-755.
Jennings, L., & Skovholt, T. M. (1999). The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master therapis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1), 3-11.
Leach, M. M., Stoltenberg, C. D., McNeill, B. W., & Eichenfield, G. A. (1997). Self-efficacy and counselor development: Testing the integrated developmental model.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37(2), 115-124.
Loganbill, C., Hardy, E., & Delworth, U. (1982).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0(1), 3-42.
Moreno, J. L. (1977). Psychodrama. New York : Beacon House.
Scholl, M. B., & Smith-Adcock, S. (2007). Using Psychodrama Techniques to Promote Counselor Identity Development in Group Supervision. Journal of Creativity in Mental Health, 2(1), 13-33.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Allyn and Bacon. 유성경, 유정이, 이윤주, 김선경 공역.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서울: 학지사.
Skovholt, T. M. (2005). The Cycle of Caring: A Model of Expertise in the Helping Profession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7(1), 82-93.
Skovholt, T. M., & Rønnestad, M, H. (1992).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pment, 70(4), 505-515.
Smith, A., & Koltz, R. L. (2015). Supervision of School Counseling Students: A Focus on Personal Growth, Wellness, and Development. Journal of Sohool Counseling, 13(2), 1-34.
Stephenson, W. (1953). The study of behaviour: Q 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toltenberg, C. D. (1981). Approaching supervision for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ounselor complexity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1), 59-65.
Stoltenberg, C. D., & Delworth, U. (1987). Supervising counselors and therapists. San Francisco, CA, US: Jossey-Bass.
Tabib, S. L. (2017). Effective Psychodrama Supervision: A Grounded Theory Study on Senior Supervisors’ Perspectives. Expressive Therapies Dissertations 4. Lesley University.
Wampold, B. E. (2001).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models, methods, and findings.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Weiß, K. (2007). Über-Blicke (Zurück)-gewinnen. Wirkfaktoren in der Supervision. Zeitschrift für Psychodaranma und Soziometrie 2(6), 185-200. Wiesbaden: VS 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