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한 單語의 意味價가 주어진 背景에 따라 어떻게 變化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順應水準理論을 적용, 數量形容詞에서 分析을 시도했다. 얻어진 結果는 위의 理論에 좇아 單語의 意味價는 背景의 크기가 커지면 작게, 背景의 크기가 작아지면 크게 判斷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背景効果는 單語에 따라 일관성 있는 結果를 얻지 못했다. 이와 같은 원인을 Helson 과 그의 同僚들(1957)은 個人의 順應水準에서의 距離의 函數로서 해석했으나 本 研究의 結果, 이 해석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밝혀졌다. 實驗結果에 따르면 오히려 單語의 意昧價는 一定한 背景의 크기에서 變하지 않는 範圍가 있으며 이 範圍가 單語마다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욱 타당한 것 같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background .on the evaluations of 15 quantitative common words and phrases were investigated with 12 background numbers. One hundred high school boys were asked to estimate the stimulus words and phrases in each background, and followings are the main findings; 1. In general, the meaning of the stimulus words and phrases decreased, as the background increased (nine out of 15). 2. In six words, the meaning was constant over a fairly wide range of background and these words and phrases were not only those, close to the extreme evaluations, but also those situated near the AL in the stimulus series of each background. This i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f Hselson et al.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