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국내외에서 발표된 성격특성 용어의 목록들이 주로 인쇄매체에서 사용된 자료에 근거를 두고 있는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쇄매체 뿐만아니라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특성 용어들을 포함시켜서 성격특성 용어의 목록을 만들었다. 이 특성용어들은 총 인원 1331명의 전국 대학생들에게 특성용어로서의 사용 빈도, 개인적 호오도 및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정도를 평정토록 하여 각각의 척도치를 얻었다. 개인적 선호에서는 성차나 지역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성별 및 지역별 평정치도 얻기 위하여 서울, 강원, 충청, 경상, 전라도 지역의 7개 대학 남녀 대학생들이 남성이나 여성 성격으로서의 호오도를 평정하였다. 개인적 호오도와 사회적 바람직성을 평정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들에서 가정한 바와는 달리, 다수의 특성에서 개인적 호오도와 사회적 바람직성 간의 차이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적 호오도, 사회적 바람직성, 및 사용 빈도의 재평정을 통한 평균들의 신뢰도 계수는 각각 r=.99, r=.99, r=.81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ile personality-trait words and obtain the scale values of usability, lik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of those words. First, approximately 1,000 one-word trait names were compiled from the written materials and the everyday language. Those words were then screened to 785 by the writer and three assistants. 643 college students (male: 331, female: 312) from five regional areas in Korea rated each of those trait words on usability, lik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as male and femal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obtained mean rating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are tabul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ik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ratings on many trait-words. The results also showe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ik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ratings and sex of the raters.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of usability, lik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ratings, calculated by the product moment correlation, were .81, .99, and .99,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comparing with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 and abroad. And the implications for use of those scale values were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