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개구리 심보 : 심리적 반발심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Validation of Hong's Psychological Reactance Scale and its relationship with some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94, v.13 no.1, pp.153-166
홍성묵 (호주 웨스턴 시드니 대학 심리학과)
김선주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이만영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Hong 심리적 반발심 척도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한국 대학생 표집을 이용하여 척도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로 번역한 심리적 반발심 척도가 심리적 반발심이라는 성격 구성 개념에 대한 적절한 측정치라는 것을 제안한다. 전채 표집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명백한 4-요인 구조가 산출되었고 전체변량 중 4-요인 구조에 의해 설명되는 설명 변량의 양 및 신뢰도 등이 전반적으로 만족스런 수준이었다. 남자와 여자의 자료를 분할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해 보았고, 아울러 심리적 반발심과 다른 성격구성개념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호주자료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들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나타난 몇 가지 차이점은 호주에 비해 남녀 간의 성역할 차이가 비교적 강하게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적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어로 번역한 Hong 심리적 반발심 척도 또한 심리적 반발심 특성을 적절히 측정하고 있으며, 따라서 여러 연구목적을 위해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ranslate the Hong Psychological Reactance Scale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to validate the translated scale with a sample of 1159 Korean university students. 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with the total sample yielded a four-factor structure which was almost congruent with those of various Astralian samples. Other psychometric properties such as alpha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with other personality constructs were also found to be very satisfactory for the translated scale. These results were highly compatible to those fo earlier Australian studies, except gender differnces in the factor structur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terms of sex-role expectation. In conclusion, the findings clearly indicate that the translated Hong Psychological Reactance Scale is highly recommendated for use in research.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