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문화와 심리학의 관계에 관한 이론은 단순히 문화가 어떻게 심리학적으로 다루어 질 수 있는가와 관련된 "문화변인 (culture-vaiable)"에 관한 토론을 넘어서는 심리학의 문화, 또는 심리학하기의 문화와 관련된 것이다. 본 논문은 "비교문화심리학 (cross-cultural psychology), "민족심리학 (Volkerpsychologie)", "문화심리학 (cultural psychology) 등의 문화와 관련된 대표적인 심리학이론을 비판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아울러 대안으로 제시되는 문화심리학과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인식론적 전세들에 관해 토론하고 있다. 문화심리학적 이론구성을 위해 첫째로 현재의 심리학 이론들의 암묵적 전제가 되는 서구중심주의가 해체되어야 하며, 둘째로는 실증 주의적 과학관을 기초로 하는 자연과학적 심리학의 한계에 관한 인식이다. 대안으로 너무도 익숙하여 인식되지 않는 문화적 현상에 대한 "낯설게 하기"를 통한 개념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질적 연구 방법론을 통한 문화심리학적 토론이 활성화되며 맹목적적인 서구추수주의를 벗어난 토착심리학적 이론구성이 가능해 질 것이다.
In the following paper we will discuss how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Psychological theories is possible. In doing so we will critically analyse various approache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psychology, particularly Wundtian Völkerpsychologie, Cross-Cultural Psychology and Schweders version of Cultural Psychology. For an alternative construction of Cultural Psychological theory, the authors suggest the method of Defamiliaris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logic of Abduction in the sense of Peirce. Cultural phenomena are difficult to recognise as they ritualised and automated. Through the method of Defamiliarisation, Cultural Psychology will be able to conceptually grasp cultural phenomena and categorise them. The formation of concepts of the cultural is the first step in overcoming the Euro-centric point of view which lies at the heart of academic psychology. Whereby the " Wissenschaftlichkeit" (scientific-ness) of the Cultural psychological enterprise can not be easily judged by the standards and ideology of experimental psychology or quantitative methodology. The scientific integrity of psychological theories is themselves are a product of the cultural historical construc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