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통사 정보 처리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실문법증(agrammatism)을 조사하기 위해, 문장-그림 일치 과제(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문장완성과제(sentence completion task)를 실시하였다. 문장-그림 일치 과제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이해 과정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데, 실험에서 사용된 문장은 "악어가 상어를 물고 있다"처럼 의미나 세상 지식 정보를 이용해서는 추론할 수 없고 격조사를 온전히 이해해야 문장의 뜻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험 결과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문장-그림 일치 과제에서 거의 완벽하게 격조사를 이해하였다. 문장완성과제는 두 종류가 사용되었는데 하나는 격조사의 보기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문법에 맞는 문장을 구성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환자 스스로 빈칸에 적절한 조사를 채워 넣는 것이었다. 여러 격조사 보기 중에서 주어진 문장에 맞는 격조사를 선택하는 과제에서 환자의 정확율은 50%이었다. 문장-그림 일치 과제와 문장완성과제에서의 수행 정도를 보면 브로카 실어중 환자는 문장의 이해를 위해 격조사를 이해하는 능력은 완벽하나 문장의 산출에서 격조사를 사용하는 능력에서는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통사 지식의 사용 기제가 문장 이해 과정과 산출 과정에서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환자 스스로 빈칸에 적절한 조사를 채워 넣어 문장을 완성하는 과제는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를 산출하는 데에서 차이가 있는 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는데, 실험 결과는 목적격에서보다 주격에서 더 많은 실수를 일으켰다. 주격에서의 실수가 목적격에서보다 더 빈번히 발생한 본 연구 결과는 김사향(1997)과 이하원(1998)의 결과와는 정반대이다. 즉, 김사향(1997)과 이하원(1998)에서는 목적격에서의 실수가 주격에서보다 더 컸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와 다른 두 연구자의 결과는 이중해리(double dissociation)를 보이고 있으며, 이런 결과는 주격조사의 정보 처리 기제와 목적격 정보 처리 기제가 분리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격조사를 스스로 채워 넣는 과제에서 시제(tense)를 나타내는 어미 산출과 존칭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산출에서 해리를 보였다. 시제 어미 산출에서는 50% 정도의 실수를 보인 반면에 선어말어미 산출에서는 거의 실수를 보이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어미 산출에서도 선어말어미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정보 처리가 작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In the current study, the syntactic processing related with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rocesses was examined. In order to see agrammatism in comprehending and producing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s, the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and the sentence completion task were employed. The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was to measure the comprehension performance of the semantically reversible sentences. The semantically reversible sentences can't be understood correctly without understanding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 postpositions. The results of the sentence-picture task showed that the agrammatic Broca patient comprehended the semantically reversible sentences 100% correctly. Two sentence completion tasks were used to evaluate the production processing of the case postpositions and morphological inflections. In the sentence completion task, the patient produced the correct case postpositions about 50% correctly. The dissociation in comprehending and producing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 postpositions found in the sentence-picture matching and sentence completion tasks implicates that the syntactic processes involved in comprehending and producing the case postpositions are distinct. In the two sentence completion tasks,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in producing correctly the subject case postpositions was much lower than that in the objective case postpositions. This fact provides the double dissociation in considering the previous studies(Kim, 1997; Lee, 1998). That is, Kim(1997) and Lee(1998) reported that two Broca patients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producing the objective cases to the performance in the subjective cases. Thus, the current and the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different case postpositions are processed differently. Also, the single dissociation in inflection for tense and aspect was found. Based on this single dissoci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inflections for the tense and aspect might be modular in the respects of the functional localization or information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