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요인이 아동 청소년 문제행동의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수집된 CBCL의 자료를 Achenbach 와 Edelbrock(1983)이 보고한 미국 CBCL자료와 비교하였다. 한국의 자료는 만 4세-16세 연령의 임상군 남아 952명, 여아 426명, 그리고 동일한 연령의 정상군 남아 778명, 여아 740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한국 임상군 CBCL자료의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된 문제행동 증후군들은 미국의 CBCL 증후군들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았다. 또한 공격성, 비행 등의 외현화장애 중후군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문항 구성이 매우 유사한 반면, 우울 불안등의 내면화 중후군의 경우는 한국과 미국의 문항구성이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 아동 청소년집단은 외현화증후군에서 미국 아동 청소년보다 낮은 점수를, 그리고 내면화증후군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부모들이 빈번하게 호소하는 문제들은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미국의 경우는 외현화 문제가 전문기관에 의뢰될 확률이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문제행동 양상에서의 문화적 차이는 양육방식의 차이, 탈의 판단기준, 그리고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믿음과 태도의 차이와 관련시켜 논의되었다.
In this paper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ild and adolescent behavior problem pattern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data collected in Korea and the U.S. The Korean CBCL data were from the clinic referred sample of 952 boys and 426 girls between the ages of 4 and 16 and the non-referred sample of 778 boys and 740 girls in the same age range recruited from schools. The U.S data were from the standardization sample for the original CBCL as reported by Achenbach & Edelbrock(198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parisons of behavior problem syndromes empirically derived from factor analyses of the Korean and American CBCL revealed considerable similarities, particularly in externalizing syndromes such as Aggressive and Delinquent syndromes. There was less similarity in the pattern of internalizing syndromes such as Anxious and Depressive syndromes. Second,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ared to their American pe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Aggressive and Delinquent scales bu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internalizing scales such as Somatic Complaints, Social Problems and Attention Problems. Third, there was considerable similarity in the type of problems frequently reported by parents from the two countries, but externalizing problems were much more likely to get clinic referral in the U.S. than in Korea. The crossnational differences outlined above were discussed in terms of cultural differences in childrearing practices, criteria for judgment of behavioral deviance, and beliefs and attitudes about mental health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