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맥락요인이 수행평가에서의 기억-평정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textual Factor on the Memory-appraisal Relation in Performance Appraisal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2, v.21 no.1, pp.45-65
윤소연 (연세대학교)
김범준 (연세대학교)

초록

수행평가 과정에서는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기억과 요약적인 판단 모두가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기억과 요약적인 판단 중 인지적 경제 원칙에 따라 적은 노력을 들이고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요약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수행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수행평가 과정에서 온라인 방식으로 형성된 피평정자에 대한 요약적인 판단에 근거한 평정과 피평정자의 구체적인 행동 정보에 대한 기억에 근거한 평정 중 무엇이 더 정확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수행평가의 정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어떠한 정보처리 방식을 발생시키는 것이 유리한지에 대해서도 결론을 지을 수 없다. 그러나 수행평가에서의 다음 세 가지 사항들은 기억에 근거한 정보처리 과정의 중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첫째, 최소한 어느 정도는 평정자들이 기억 내에 저장된 정보에 의지하여 평정을 내려야하며, 둘째, 평정자들이 평가 과제 외에 그들의 시간과 에너지를 써야하는 다른 과업들 때문에 온라인 정보처리에 필요한 범주를 쉽게 형성하거나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DeNisi & Peters, 1996), 마지막으로, 기억 근거 판단의 경우 정보의 재처리 과정을 구조화함으로써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온라인 판단은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우며, 온라인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기억 내에 존재하는 전반적인 인상보다는 행동적 코드를 사용하도록 해야한다는 점(DeNisi & Williams, 1988)이다.이상의 논의에 근거해볼 때, 빠르고 경제적인 요약적 판단에 근거하는 정도를 감소시키거나,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기억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하는 맥락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한편, 기억-근거 판단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낸다면 수행평가의 정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용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performance appraisal, contextual factor, the memory-appraisal rel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ype, appraisal procedure, interpersonal affect, performance appraisal, contextual factor, the memory-appraisal rel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ype, appraisal procedure, interpersonal affect, 수행평가, 맥락요인, 기억-평정 관계, 정보처리 유형, 평정절차, 대인감정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e contextual factors of performance appraisal affect the rater's memory and appraisal to the ratee's behaviors. Among the contextual factors, the study testified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procedure and the rater's affect toward the ratee on the relation between memory and appraisal.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 between memory and appraisal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in the retrieval-rating procedure than in the rating-retrieval one. In the condition that the rater has positive affect toward the ratee, appraisal is based on on-line processing appeared. Whereas memory significantly related appraisal using evaluation through memory-based process in the negative affect condition. The effect of the interpersonal affect was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ppraisal procedure. In the retrieval-rating procedure, appraisal significantly related memory when the rater has positive affect toward the ratee. However, in the positive affect condition, on-line process appeared, even though the retrieval-rating procedure was used. Moreover, regardless the interpersonal affect condition, the relation between memory and appraisal did not show significance in the rating-retrieval-memory procedure. The research implication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performance appraisal, contextual factor, the memory-appraisal rel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ype, appraisal procedure, interpersonal affect, performance appraisal, contextual factor, the memory-appraisal rel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ype, appraisal procedure, interpersonal affect, 수행평가, 맥락요인, 기억-평정 관계, 정보처리 유형, 평정절차, 대인감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