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보호관찰분류지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System for Probation Case Classific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5, v.24 no.1, pp.141-165
이수정 (경기대학교)
이민식 (경기대학교)
홍영오 (경기대학교)
김양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보호관찰대상자들의 초기면담과정에서 수거된 자료들을 토대로 하여 잠재적인 위험유발 인자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위험인자들에는 기존의 정적 위험요인 이외에 역동적 위험요인을 포함시키고 재범유발 인자로서의 효력을 평가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2004년도의 Y 지소와 C 지소의 보호관찰 대상자 64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여기에는 청소년 300명, 성인 342명이 포함되었다. 청소년들의 재범지수에 차이를 보인 변수는 처분의 근거가 된 법령 및 처분, 공범의 수, 동종전과의 유무, 벌금, 집행유예 경력, 전과, 교육연수, 학업의 안정성과 학업에 대한 태도, 동거가족 유무, 결손의 정도,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에 대한 순응정도, 범행에 대한 책임수용 여부, 본 신고서 작성태도와 보호관찰관 질문에 답변하는 태도 및 직업에 대한 신고사항 일치 여부로 나타났다. 성인 보호관찰대상자들의 재범관련 문제행동 지표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들은 청소년들의 재범예측 변수들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몇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위반한 법령별로 보자면 사회보호법과 성폭력법을 위반한 자들이 재범관련 문제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범 연령은 소년에서와는 달리 성인에게 있어 재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과 달리 성인들의 재범지수는 보호관찰 횟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연한이나 중퇴의 경험 및 생업에 대한 태도나 안정도가 재범발생에 차이를 가져왔다. 중다회귀분석을 추가로 실시한 결과, 청소년들의 재범지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해준 변인들은 자신의 범행에 대한 책임수용의 정도, 학업의 안정성, 교육연수, 보호관찰관의 질의에 대한 답변태도, 본건 범행의 공범 수 및 집행유예 전력이었다. 성인들의 재범지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해준 변수들은 청소년대상자들과는 달리 보호관찰전력, 처분의 근거 법령, 신고사항 중 직업/신분의 일치여부, 신고기일 내 신고여부, 생업에 대한 태도, 가정의 결손정도, 처분의 종류 및 신고서 작성의 충실도였다.

keywords
보호관찰, 재범예측, 위험성평가, 역동적 위험요인, probation, recidivism prediction, risk assessment, dynamic risk factor, probation, recidivism prediction, risk assessment, dynamic risk factor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tent risk factors at probation on the in-take case interview. Besides static risk factors dynamic risk factors were included in order to find out more effect predictors of recidivism. 642 probationers were participated from Y and C probational offices. Among them, 300 juveniles and 342 adults were included. For juvenile probationers, recidivism-related behavior was related to the types of measures and dispositions, number of accomplice, same kinds of crime, previous fine, previous probation, presence of criminal records, years of education, attitude on education, family to live with, family breakdown, parent' attitude on child-rearing, relationship with parent, admitting responsibility of current crime, attitude on intake interview and completeness of registration forms, and accordance of contents on registration forms. Prediction of recidivism-related behaviors for adult probationers had similar patterns to juveniles' but there were some dissimilarities. For adults, violation of Society Protection Law and early onset of delinquency were relatively more effective predictors to predict recidivism-related behavior compared to other risk factors. Also employment and job attitudes were effective predictors for predicting adults' recidivism.

keywords
보호관찰, 재범예측, 위험성평가, 역동적 위험요인, probation, recidivism prediction, risk assessment, dynamic risk factor, probation, recidivism prediction, risk assessment, dynamic risk factor

참고문헌

1.

이수정, (2004) 유영철에 관한 몇 가지 의문,

2.

Andrews, (1998) The Psychology of Criminal Conduct, Cincinnati Anderson Publishing Co

3.

Dawes, (1993) A handbook for data analysis in the behavioral sciences,

4.

Gendreau,P, (1987) Revivification of rehabilitation:Evidence from the 1980s,

5.

Grann, M.,, (2000) Actuarial assessment of risk for violence Predictive validity of the VRAG and historical part of the HCR-20,

6.

Grove, W. G.,, (2000) Clinical versus statistical prediction: A meta-analysis.,

7.

Grove, W. M., , (1996) Comparative efficiency of informal (subjective, impressionistic) and formal (mechanical, algorithmic) prediction procedures: The clinical-statistical controversy., impressionistic

8.

Hoffman,P, (1994) Twenty years of operational use of a risk prediction instrument:The United States Parole Commission's salient factor score,

9.

Monahan, (1981) The Clinical Prediction of Violent Behavior,

10.

Monahan,J, (1984) The prediction of violent behavior:Toward a second generation of theory and policy,

11.

Monahan,J, (1993) Limiting therapist exposure to Tarasoff liability:Guildlines for risk containment,

12.

Monahan,J, (1996) Violence prediction:The past twenty and the next twenty years,

13.

Van Voorhis, (2000) Correctional Counseling and Rehabilitation 4th ed.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