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The Effect of Gestalt Group Psychotherapy on Self-concept, Depression, Anxiety of Run out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6, v.25 no.2, pp.41-5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Gestalt group therapy for run out Adolescence, thus, it could help to develop a better group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run out Adolescence, nine boys and thirteen girls, who stay at a shelter located in Seoul. According to the gender,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include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 the Gestalt group therapy six times throughout a week. Sungshin self-concept examination questionnaire invented by Jung-Kyu Kim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rsonal trust. CDI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such as depressive emotion, behavior barrier, the loss of interests, self abuse, and natural symptom and STAI is used for the anxiety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stalt group therapy shows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n general including emotional stability and personal trust, and especially, the effect on emotional stability maintains. Secondly, the Gestalt group therapy is effective on decreasing the level of self-abuse, the effect on self-abuse maintains. Finally, the Gestalt group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the level of anxiety, and the effect maintains. Therefore, the Gestalt group therapy is positively effective over emotional stability, the anxiety level and self-abuse, especially right after the therapy, although the effectiveness could fade depending on the personal situation as time goes by.

keywords
Run out Adolescence, gestalt, group psychotherapy, self-concept, depression, anxiety, Run out Adolescence, gestalt, group psychotherapy, self-concept, depression, anxiety, 가출 청소년, 게슈탈트, 집단 심리치료, 자기개념, 우울, 불안

Reference

1.

경찰청 방범국, (2002) 청소년 방범국, 경찰청 방범국

2.

김근혜, (2000) 학급 대상의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3.

김두홍, (1985) 게슈탈트 치료 기법에 의한 집단 상담이 자아개념의 변화와 그 특성에 미치는 효과,

4.

김민동, (2003) 애착유형과 자기개념 우울 및 불안과의 관련성,

5.

김선관, (2001) 가출소녀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6.

김성경, (1997) 가출소녀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7.

김성구, (1985) 중학생의 불안 감소를 위한 형태주의 집단상담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8.

김수진, (2003) 자각중심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9.

김정규, (1995)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10.

김정규, (1999) 성신자기개념검사, 한국 가이던스

11.

김정택, (1978)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12.

김창겸, (1987) 형태주의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여고생의 자아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13.

김혜영, (2000)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14.

노안영, (1996)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15.

박종옥, (1993)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16.

손옥주, (1985) 재가출 아동 치료과정에서 가족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17.

신민섭, (1994) 아동기 우울증의 평가,

18.

오송희, (1999)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19.

윤관현, (1984) 게스탈트 치료이론에 대한 고찰, 서강대학교 생활상담실

20.

이경아, (1999)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21.

이순일, (1997)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존감 과 대인관계 변화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집중적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22.

이영이, (2001) 통합 예술심리치료,

23.

이유경, (1998) 중학교 남학생의 가출특징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원시내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24.

이장호, (1975) 게슈탈트 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학생연구 서울 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25.

이정희, (2000)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26.

이현림, (1995)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고찰 인문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7.

임기순, (1998) 집단상담이 가출 경험 학생의 불안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28.

장영향, (2000) 게슈탈트 집단 상담이 여중생의 자존감과 EQ에 미치는 효과,

29.

조수철, (1990) 소아정신질환의 분류,

30.

한기백, (1995) 게슈탈트 자각증진 집단상담에 의한 내담자 체험수준과 자아 정체감의 변화,

31.

한유진, (1993)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귀인양식과 학업성취,

32.

한혜영, (2000)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불안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33.

황미경, (1997) 가출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안 연구-과제 중심 모델을 적용한 사례를 통하여,

34.

Foulds, (1970)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al 11,

35.

Greenberg,l, (1982) Resolving decisional conflict by Gestalt two chair dialogue:Relating process to outcome,

36.

Kaplan,H.B, (1980) Deviant behavior in defence of self, Academic Press

37.

Kaufman,I.,, (1958) The antisocial child and the school,

38.

Kipper, (1978) The effect of psychodrama on test anxiety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9.

Kovac, (1977) An empirical- 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Raven Press

40.

La Gory M, (1990) Predictors of depression in street youth University of Liverpool,

41.

New York, (19781992) Windows to our children A Gestalt approach to children and adolescents, Real People Press

42.

Perls,F, (1970) Gestalt therapy now, Harper & Row

43.

Perls,F.S, (1976) The gestalt approach and eyewitness to therapy, Bantam Books

44.

Polster, (1973) Contours of theory and practice,

45.

(1970) Self- concept and Ideal self concept of runaway youth,

46.

Rothman, (1991) Strengthening services to family and children, Longman Publishing Group

47.

Spielberger,C.D, (1966) Anxiety and behavior, Academic Press

48.

& Gorsuch,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y Press

49.

Mackenzie, (1985) A risk profile comparison of runaway reac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50.

NY, (1977)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Random Hous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