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신명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고찰

A Study of Conceptualizing Shinmyeong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7, v.26 no.1, pp.83-103
한민 (고려대학교)
한성열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과 신명에 대한 기존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신명의 문화심리학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한은 자기가치감의 손상 혹은 상실에서 비롯된 부정적 정서를 의미하며, 신명은 손상된 자기가치감의 회복으로 인한 긍정적 정서경험을 뜻한다. 이러한 신명은 첫째, 강렬한 긍정적 정서를 수반하며, 둘째, 집단적 전이양상을 보이고, 셋째, 일종의 약속된 무질서 상태를 통해서 누적된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들이 신명을 경험하는 데는 두 가지 경로가 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직접적 한의 해소를 통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한 계기를 통해 부정적 정서를 배설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한을 해소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명 경험의 구체적 과정과 그 의미 등 신명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실제 신명을 경험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문화심리학, 한, 신명, 자기가치감, 부정적 감정의 배설, cultural psychology, Shinmyeong, Han(恨), self-worth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onceptualize Shinmyeong that is important concept to understand mind of Korean people. Shinmyeong is known as a Korean uniqu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Although a few studies have been made on Shinmyeong, little is known about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it. For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researchers examined former studies about Shinmyeong, and summarize traits of Shinmyeong in terms of phenomena and functions. Three phenomenological traits and two functional traits were derived. First, Shinmyeong is an intensive emotional experience. Second, the emotion is co-experienced from individual level to group level. Third, the experience is including expressive or radiating behaviors. Results of Shinmyeong are cleaning up one’s negative emotions and refreshing him/herself. And, the meanings of Han(恨) and Shnmyeong were discussed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psychology. In Korean culture, Han has been thought that it was the negative feeling from loss of self-worth, therefore Shinmyeong might be the feeling related with retrieval of self-worth.

keywords
문화심리학, 한, 신명, 자기가치감, 부정적 감정의 배설, cultural psychology, Shinmyeong, Han(恨), self-worth

참고문헌

1.

가세 히데야키 (1988). 한의 한국인, 황송해하는 일본인. 한국브리태티커(편집실 역), 한국 브리태니커.

2.

강준만 (2006). 한국인 코드. 서울: 인물과 사상사.

3.

경향신문 (2006, 6, 26). 인요한, 이다도시씨가 느낀 한국의 거리응원․붉은 문화.

4.

고영건, 김진영 (2005). 한국인의 정서적 지혜-한의 삭힘. 정신문화연구, 28(3), 255-290.

5.

구본혁 (1985). 한국의 문학, 가악, 음악에서 본 신명고. 인문과학연구논총, 2, 9-30.

6.

국민일보 (2006, 7, 12). 한국 행복지수 102위.

7.

국민일보 (2006, 8, 31). [우리 사회 차별 현주소] (중) “내맘에 안들면 차별” 단순불만 진정 봇물.

8.

김기범, 김지영, 최상진 (2002). 한국인의 자기조망 양식으로서의 팔자귀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2), 17-29.

9.

김병익 (1994). 한의 민족사와 갈등의 사회사. 정현기(편), 한과 삶(pp. 225-254). 서울: 솔출판사,

10.

김열규 (1980). 원한, 그 짙은 안개. 서울: 범문출판사.

11.

김열규 (1981). 한맥원류. 서울: 주우.

12.

김열규 (1982). 한국인의 신명. 서울: 주류.

13.

김열규 (1986). 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 서울: 자유문학사.

14.

김열규 (1987). 한국인 그 마음의 근원을 찾는다. 서울: 문학사상사.

15.

김원호 (1999). 풍물굿 연구. 서울: 학민사.

16.

김준희 (1997). 한국무용 전공자 경력에 따른 신명감과 자아정체성의 비교분석. 용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5.

17.

김준희 (2005). 댄스스포츠 경력에 따른 신명감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8, 49-55.

18.

김지영, 김기범 (2005). 한국인의 자기신세 조망양식으로서 팔자의 이야기분석과 통제신념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85-108.

19.

김진 (2004). 한이란 무엇인가. 한의 학제적 연구.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

나윤선 (1991). 한국 춤의 정서에 나타난 한과 신명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마광수 (1984). 음양사상과 카타르시스. 인문과학, 52, 1-15.

22.

마광수 (1988). 카타르시스의 실제적 효용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24, 1-27.

23.

문순태 (1988). 한이란 무엇인가. 서광선(편), 한의 이야기. 서울: 보리.

24.

문순태 (1991). 한.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편찬부(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울: 웅진출판사.

25.

송성욱 (2004). 춘향전. 서울: 민음사.

26.

송호근 (2006).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7.

신기철, 신용철 (1993). 새우리말 큰 사전 11판. 서울: 삼성출판사.

28.

심혜경 (2000). 기적(氣的) 활용을 통한 춤의 신명적 체험에 관한 연구. 체육학 논문집, 28, 137-147.

29.

안신호 (1997). 한, 한국인의 부적 감정? 심리과학, 6(2), 61-74.

30.

양옥경, 최명민 (2001). 한국인의 한(恨)과 탄력성(Resilience).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 7-29.

31.

오율자 (1995). 춤에서의 신명체험에 관한 연구. 무용학회논문집, 18, 161-172.

32.

요시카와 로죠 (2001). 신바람 한국 가미카제 일본. 서울: 다락원.

33.

유미희 (1989). 한국춤에 나타난 신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유진, 김장우 (2004). 프로 한국무용수의 신명경험.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1), 97-112.

35.

윤재석 (1990). 풍물과 마당굿의 공동체적 신명. 승가, 7, 50-60.

36.

이규태 (1991a). 한국인의 버릇. 서울: 신원문화사.

37.

이규태 (1991b). 한국인의 의식구조. 서울: 신원문화사.

38.

이누미야 요시유키 (2004). 한일 비교 성격론. 인본연구, 11, 101-124.

39.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윤주 (2006). 긍정적 환상의 한일비교: 주체성 자기와 대상성 자기에 의한 설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9-34.

40.

이동숙 (1996). 통영오광대의 신명적 특성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면우 (1992). W이론을 만들자. 서울: 지식산업사.

42.

이부영 (1980). 원령전설과 한의 심리. 김홍규(편), 전통사회와 민중예술. 서울: 마음사.

43.

이상일 (1981). 굿과 놀이. 서울: 문음사.

44.

이시형 (1993, 1, 1). 신바람이 나면, 중앙일보.

45.

이어령 (1978). 한국인 재발견. 서울: 교학사.

46.

이어령 (1982, 9, 23). 푸는 문화, 신바람의 문화, 중앙일보.

47.

이어령 (2003). 푸는 문화 신바람의 문화. 서울: 문학사상사.

48.

이장우, 이민화 (1997). 신바람 관리. 경영학연구, 24(2), 339-370.

49.

정욱, 한규석 (2005). 자기고양 현상에 대한 조절변인으로서 자존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99-216.

50.

정은희 (1998). 한국 민속춤에 내재된 공동체적 신명에 관한 심리적 접근.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조긍호 (2002). 문화성향과 허구적 독특성 지각 경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91-111.

52.

조긍호, 명정완 (2001). 문화성향과 자의식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 (2), 111-139.

53.

조동일 (1996). 연극미학의 세 가지 기본 원리, ‘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 비교연구. 구비문학연구, 3, 439-473.

54.

조동일 (1997). 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연극․영화미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생극론의 해명. 서울: 지식산업사.

55.

조선일보 (2006, 4, 24). 신바레이션이 홈플러스 쑥쑥 키운다.

56.

조윤경 (2002).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 척도개발 및 타당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7.

조향 (1987). 무속에 나타난 한과 신명, 그 양상에 관한 연구-살풀이춤과 탈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지만원 (1993). 신바람이냐 시스템이냐. 서울: 현암사.

59.

채희완 (1983). 집단연희에 있어서 예술체험으로서의 신명. 호서문화논집, 2, 107-121.

60.

천이두 (1993). 한의 구조연구. 서울: 문학과 지성사.

61.

최길성 (1991). 한국인의 한. 서울: 도서출판 예진.

62.

최상진 (1991). ‘한’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한국심리학회 91’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pp. 339-350). 서울: 중앙대학교, 10월.

63.

최상진 (1993). 한국인과 일본인의 ‘우리’의식 비교. 한국심리학회 ‘93’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pp. 229-244).

64.

최상진 (1997a). 한국인의 심리특성. 한국심리학회(편), 현대심리학의 이해(pp. 695-766). 서울: 학문사.

65.

최상진 (1997b). 당사자 심리학과 제3자 심리학: 인간관계 조망의 두 가지 틀.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엄 발표논문집(pp. 131-143).

66.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67.

최상진, 김기범 (1999). 한국인의 심정심리: 심정의 성격, 발생과정, 교류양식 및 형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8(1), 1-16.

68.

최상진, 최수향 (1990). We-ness: A Korean discourse of collectivism. 한국심리학회 주최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

69.

최재선 (1997). 신바람의 교육적 의미와 활용방안. 연세교육연구, 10(1), 96-121.

70.

최준식 (2002). 한국인은 왜 틀을 거부하는가: 난장과 파격의 미학을 찾아서. 서울: 소나무.

71.

한완상, 김성기 (1987). 한에 대한 민중사회학적 시론. 서울대학교 사회학연구회 편. 서울: 한길사

72.

허원기 (2001). 판소리의 신명풀이 미학. 서울: 박이정.

73.

Anderson, C. R. (1977). Locus of control, coping behaviors, and performance in a stress setting: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446-451.

74.

Choi, S. C. (1998). The third-person-psychology and the first-person psychology: Two perspectives on human relations.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25, 239-264.

75.

Choi, S. C., & Kim, K. (1999). Shimcheong: The key concept for understanding Koreans’ mind. Paper presented at the 3rd Conference of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August 4-8, Taipei, Taiwan.

76.

Edwards, A. L. (1957). The social desirability variable in personality assessment and research. New York: Dryden Press.

77.

Fouts, G. (1994). Moments of “connection” on television and in the movies. Paper presented to the Canadian Communications Association, Calgary, Alberta.

78.

Jussim, L., Yen, H., & Aiello, J. R. (1995). Self-consistency, self-enhancement, and accuracy in reactions to feedback.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1, 322-356.

79.

Kendall, P. C., Howard, B. L., & Hays, R. C. (1989). Self-referent speech and psychopathology: The 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think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3, 583-598.

80.

Langer, E. J. (1975). The illusion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2, 311-328.

81.

Langer, E. J., & Rodin, J. (1976). The effects of choice and enhanced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 aged: A filed experiment in an institutional sett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 191-198.

82.

Lather, P. (1993). Fertile obsession: Validity after poststructuralism. Sociological Quarterly, 34, 673-693.

83.

McFarlin, D. B., & Blascovich, J. (1981). Effects of self-esteem and performance feedback on future affective preferences and cognitive expec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8, 108-114.

84.

Pittman,N. L., & Pittman, T. S. (1979). Effects of amount of helplessness training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on mood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39-47.

85.

Smith, B. (1999). The abyss: Exploring depression through narrative of the self. Qualitative Inquiry, 5(2), 264-279.

86.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 & Company Inc.

87.

Swann, W. B., Jr., Griffin, J. J., Predmore, S. C., & Gaines, B. (1987). The cognitive-affective crossfire: When self-consistency confronts self-enhanc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881-889.

88.

Taylor, S. E., & Brown, J. D. (1988).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49, 972-973.

89.

Wertsch, J. V. (1998). Mind as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