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한국 노인의 인지기능 측정에서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제한점

Limitations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in Assessing Cognitive Functions of Korean Older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8, v.27 no.3, pp.859-874
이강희 (대구대학교)
김홍근 (대구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인지기능 측정에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에만 의거하는 방식의 제한점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상은 독거노인, 시설노인, 일반노인 각각 20명이었으며 각 군의 학력이 동등하도록 표집하였다. 모든 피검자에게 MMSE와 종합적 인지검사인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CSOA)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 두 가지였다. 첫째, MMSE 총점에서 독거노인군, 시설노인군, 일반노인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MMSE 총점을 기준으로 인지장애 여부를 판별할 시 세 군 간에는 인지장애의 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률적 절단점(cutoff score)은 연령과 학력을 고려하여 조절된 절단점에 비해 인지장애로 분류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CSOA로 측정할 시 독거노인군과 시설노인군은 일반노인군에 비해 여러 인지기능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CSOA 수행을 기준으로 인지장애 여부를 판별할 시 독거노인군이나 시설노인군은 일반노인군에 비해 인지장애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독거노인군과 시설노인군은 각각 인지장애 ‘고위험군’에 속한다. 그러므로 MMSE에서 독거노인군, 시설노인군, 일반노인군이 동일한 것은 간이형 인지검사가 갖는 제한점을 제시한다. 반면 CSOA에서 독거노인군과 시설노인군이 일반노인군에 비해 낮은 것은 종합적 인지검사의 효용성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인지기능 측정에서도 간이형 검사의 효용성은 제한적이며 인지기능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keywords
MMSE, dementia,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test, neuropsychological test, MMSE, dementia,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test, neuropsychological test, MMSE, 치매, 인지기능, 인지검사, 신경심리검사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limitations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in assessing cognitive functions of Korean older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20 older adults living alone (Group I), 20 older adults living at nursing home (Group Ⅱ), and 20 older adults living at home (Group Ⅲ). All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MMSE and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CSOA). There were two main findings. First, when MMSE was used as the assessing instrument, the 3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gnitive functions and in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classified as having cognitive impairment. The cutoff score that did not reflect testee’s age and education level yielded a less accurate classification result than the cutoff score that reflected testee’s age and education level Second, when CSOA was used as the assessing instrument, Group I and Ⅱ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veral cognitive functions and had a higher proportion of participa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relative to Group Ⅲ. Group I and Ⅱ are known to be a high-risk group for cognitive impairment. Thus, the finding of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MMSE scores suggests limitations of an abbreviated cognitive scale in assessing cognitive functions of Korean older adults. The finding of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CSOA scores suggests efficiency of a comprehensive cognitive scale. In conclusion, cognitive functions of Korean older adults can be more properly assessed by a comprehensive cognitive scale than by an abbreviated scale.

keywords
MMSE, dementia,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test, neuropsychological test, MMSE, dementia,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test, neuropsychological test, MMSE, 치매, 인지기능, 인지검사, 신경심리검사

참고문헌

1.

강복수, 빅경범, 이경수, 황태윤, 김상규 (2005). 노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기능 측정도구 간의 일치도. 영남의대학술지, 22, 141- 149.

2.

강연욱 (2006).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 1-12.

3.

강연욱, 나덕렬 (2003). 서울신경심리검사(SNSB). 인천: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Co.

4.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5, 300-308.

5.

김규연, 김홍근 (2008). 뇌졸중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노인용 인지검사(CSOA)를 중심으로. 심사중.

6.

김명아, 김현수, 김은정 (2005). 서울 일지역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노인간호학회지, 7, 176-184.

7.

김승혜, 신동균, 이대희 (1992). 가정노인과 시설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증상에 관한 비교 연구. 고려대논집, 29, 175-194.

8.

김홍근 (2001).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출판 신경심리.

9.

김홍근 (2003).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는 무엇이 다른가?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 141-158.

10.

김홍근, 김태유 (2007). 노인용 인지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출판 신경심리.

11.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3). 한국형 치매평가검사. 서울: 학지사.

12.

박병탁, 김진성, 정성덕 (1986). 양로원 재원노인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I.기질성 뇌증후군을 중심으로. 영남의대학술지, 3, 111-117.

13.

박종한, 권용철 (1989). 노인용 한국판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28, 508-513.

14.

박종한, 김창수, 권오양, 김남수 (1997). 어느 농촌 노인들의 인지기능. 신경정신의학, 36, 530-535.

15.

서경현, 김영숙 (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115-137.

16.

신경림, 김미영 (2001). 한국 일 도서지역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3, 32-41.

17.

안수연 (2007).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능력과 인지정도. 노인간호학회지, 9, 68-75.

18.

오민아, 신윤오, 이태용, 김정선 (2003). MMSE를 이용한 도시지역 노인들의 인지기능검사 성적. 충남의대잡지, 30, 101-113.

19.

우종인, 이정희, 홍진표 (1996).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이 한국판 MMSE 점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5, 122-132.

20.

원종순, 김계하 (2008). 방문간호 대상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생활만족도 평가. 대한간호학회지, 38, 1-10.

21.

이동영, 이강욱, 이정희, 김기웅, 주진형, 윤종철, 김성윤 우성일 우종인 (2002).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한국 노인 정상규준 연구. 신경정신의학, 41, 508-523.

22.

이현수, 박병관, 안창일, 김미리혜, 정인과 (2000). 한국판 기억평가검사(K-MAS) 전문가용 실시/채점요강. 서울: 한국가이던스.

23.

최성환, 정은기, 김유광 (1993). 양로원 노인에서 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2, 928-936.

24.

최승원, 안창일, 김용희 (2003).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잔류 인지문제 판단의 타당도 연구: K-MMSE와 K-MAS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547-564.

25.

최진영 (1998).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K-DRS). 서울: 학지사.

26.

Folstein, M., Folstein, S., & McHugh P.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 189-198.

27.

Hays, W. L. (1981). Statistics (3rd ed.).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28.

Lee, D. Y., Lee, K. U., Lee, J. H., Kim, K. W., Jhoo, J. H., Kim, S. Y., et al. (2004). A normative study of the CERA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0, 72-81.

29.

Mamikonyan, E., Moberg, P. J., Siderowf, A., Duda, J. E., Have, T. T., Hurtig, H. I., et al. (2008).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common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 normal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scores. Parkinsonism and Related Disorders, in press.

30.

Mitchell, A. J. (2008). A meta-analysis of the accuracy of the mini-metal state examination in the detection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in press.

31.

Park, J. H., Ko, H. J., Kim, J. B., Choi, S. Y., Cho, H. C., & Lee, S. K. (1995).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gnitive impairment diagnosing instrument (CIDI)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0, 287-293.

32.

Rey, A. (1941). L'examen psychologique dans les cas d'encéphalopathie traumatique. Archives de Psychologie, 28, 286-340.

33.

Román, G. C., & Royall, D. R. (1999). Executive control function: a rational basis for the diagnosis of vascular dementia.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3(Suppl. 3), S69-80.

34.

Scazufca, M., Almeida, O. P., Vallada, H. P., Tasse, W. A., & Menezes, P. R. (2008). Limitation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screening dementia in a community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from the Sao Paulo Ageing & Health Study.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in press.

35.

Srikanth, V., Thrift, A. G., Fryer, J. L., Saling, M. M., Dewey, H. M., Sturm, J. W., et al. (2006). The validity of brief cognitive instruments in the diagnosis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fter first-ever strok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8, 295-305.

36.

Stokholm, J., Vogel, A., Gade, A., & Waldemar, G. (2005). The executive interview as a screening test for execu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dementi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 1577-1581.

37.

Stroop, J. R. (1935).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8, 643-662.

38.

Tangalos, E. G., Smith, G. E., Ivnik, R. J., Petersen, R. C., Kokmen, E., Kurland, L. T., et al. (1996).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general medical practice: clinical utility and acceptance. Mayo Clinic Proceedings, 71, 829-837.

39.

Tombaugh, T. N., & McIntyre, N. J. (1992).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0, 922-935.

40.

Voss, S. E., & Bullock, R. A. (2004). Executive function: the core feature of dementia?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18, 207-216.

41.

Wind, A. W., Schellevis, F. G., Van Staveren, G., Scholten, R. P., Jonker, C., & Van Eijk, J. T. (1997). Limitation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diagnosing dementia in general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 101-10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