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MMPI-2 when it was applied to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observation of 210 female refugees who were benefited from the treatment provided by Psychiatry of Hanawon (Settlement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Refugees) from June 2008 to June 2009. The psychiatric outpatient group consists of anxiety group (100), depression group (30), somatization group (80). In comparison, the normal control group consists of 210 female refugees who were in the same age and received the same level of education with the psychiatric outpatient group. The means of T scores from validity scales and clinical scales of MMPI-2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Moreover, a serie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clarify predictors of influencing on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ddition, based on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predictors were compared in each T score of the final predictors. The analysis represented that the anxiety group showed mild elevation on Pa and Pt scales and the depression group had high scores on D, Pt, and Si scales. In the somatization group, there were no scales over 60T in any clinical scales, but they had relatively higher T scores in D, Pt, and Si scales than in the rest of the scales.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y, Hs, and Sc scales prove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in distinguishing the anxiety group from the normal control group. D, Hs scales in the depression group; Hs and D scales in the somatization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OC analysis, Hy scale (with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45T)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distinguishing the anxiety group from the normal control group. D scale (59T) had the most effective efficiency in the depression group; Hs scale (50T) in the somatization group. Finally, the required attention in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MPI-2 to clinical setting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and limits, future study were suggested.
강성록 (2000). 탈북자들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숙정 (2008). 가양동 새터민 MMPI 검사 결과와 새터민 심리상담적 접근방안.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 306-307.
계윤정, 최정윤 (199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MMPI 프로파일: 교통사고 이후 소송과 관련된 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2(1), 30-40.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김미정, 정계숙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새터민 부모의 양육 이야기. 아동학회지, 28(1), 71-88.
김정희 (1999).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화 표현의 문화적 차이와 가족 신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 151-165.
김중술 (1996).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서울: (주) 마음사랑.
김현아, 전명남 (2004).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 129-160.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20.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미석, 이종남 (1999). 탈북 가족의 남한 사회 적응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 방안. 통일논총, 17, 3-74.
박영숙 (1991). 전환장애와 신체화장애의 MMPI 반응 비교 연구. 이화의대지, 14(2), 155-163.
박영숙 (1994). 심리평가의 실제. 서울: 하나의학사.
박철옥 (2007).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적 외상 경험, 용서, 경험 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주연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2). 정신장애 아동들의 어머니의 MMPI 유형 분석.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3(1), 97-105.
엄태완 (2004).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유정자 (2006).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소래 (1997). 사회적 지지가 남한 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5(1), 209-247.
이수진, 하은혜, 오경자 (2008). ROC 분석을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변별: K-CBCL 소척도를 기준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197-207.
이숙영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과 남한 내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북한, 탈북과정, 남한 적응 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장호, 김용범, 김경웅 (1997).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문화적 갈등 해소방안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이지현, 김유숙, 최영안 (2004). 전쟁으로 인한 PTSD 집단과 사고로 인한 PTSD 집단의 MMPI 프로파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1), 221-229.
전우택 (2004).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경제적 자생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통일부 연구용역보고서.
전우택, 윤덕룡, 엄진섭 (2004). 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2001년도 553명의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7(1), 155-208.
정윤경, 박은희, 전덕인, 석정호, 홍나래 (2009). 임상현장에서 MMPI-2의 진단적 유용성: 우울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 환자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2), 339-362.
조영아, 전우택 (2005).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채정민, 김종남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상대적 박탈감과 심리적 적응: 개인적 정체감과 사회적 정체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1), 41-63.
채정민, 이종한 (2004).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문화의 이질성: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79-101.
최정윤, 정진복 (1991). 우울증 환자의 MMPI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34-41.
한경희, 임지영, 한정원 (2002). 한국판 MMPI-2의 임상적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27-842.
한상익, 이정표, 유태열 (1985). 내과에 입원하여 정신과에 자문의뢰된 우울증 환자의 임상양상. 신경정신의학, 24, 490-500.
한인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6), 78-94.
홍은주 (2003). 북한이탈부모의 자녀양육 변화와 문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창형, 유정자, 노영아, 엄진섭, 구현지, 서승원, 안은미, 민성길, 전우택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신경정신의학, 45(1), 49-5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Blank, A. A. (1993). The longitudinal cours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J. R. T. Davison & E. B. Foa (Ed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SM-Ⅳ and Beyond. 3-2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Carlier, I. V., & Gersons, B. P. (1995). Parti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The issue of psychological scars and the occurrence of PTSD symptoms. Journal of Nervous Mental Disease, 183, 107-109.
Derogatis, L. R. (1977). SCL-90-R (revised) manual Ⅰ.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onnelly, E. R., Murphy, D. L., & Goodwin, R. K. (1976).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comparisons of bipolar and unipolar depressed groups on the MMPI.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2), 233-236.
Greenblatt, R. L., & Davis, W. E. (1999). Differential diagnosis of PTSD,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with the MMPI-2.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2), 217-223.
Molica, R. F., & Lavelle, J. P. (1988). The trauma of mass violence and torture: An overview of the psychiatric care of the Southeast Asian refugees. In L. Comas-Diaz & E. H. Griffith (Eds.), Clinical guidelines in cross-cultural mental health, 262-303. New York: Wiley.
Munley, P. H., Busby, R. M., & Jaynes, G. (1997). MMPI-2 findings in schizophrenia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Assessment, 9(4), 508- 511.
Park, S. H., Goo, J. M., & Jo, C. H. (2004).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ROC) curve: Practical Review for Radiologist. Korean Journal of Radiology, 5(1), 11-18.
Parson, E. R. (1990). Post traumatic demoralization syndrom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20, 17-33.
Talbert, F. S., Albrecht, N. N., Albrecht, J. W., Boudewyns, P. A., Hyer, L. A., Touze, J. H., & Lemmon, C. R. (1994). MMPI profiles as a function of comorbidit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0, 529-537.
Tyhurst, L. (1982). Coping with refugees. A Canadian experience: 1948-1981.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28, 105-109.
Walters, G., & Greene, R. (1988). Differentiating between schizophrenic and manic inpatients by means of the MMPI.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91-95.
Westermeyer, J. (1985). Mental health of Southeast Asian refugees: Observations over two decades from Laos and the United States. In T. C. Owan (Ed.) Southeast Asian mental health: Treatment, prevention, services, training, and research. Washington, D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etzler, S., Kahn, R., Strauman, T. J., & Dubro, A. (1989). Diagnosis of major depression by self-re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3, 22-30.
Winster, K. C., Weintraub, S., & Neale, J. M. (1981). Validity of MMPI codetypes in identifying DSM-Ⅲ schizophrenics, unipolars, and bipola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9(3), 486-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