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결혼과 성교육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Marriage and Sex Education Program Using a University Liberal-Art Cours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0, v.29 no.4, pp.1017-1032
김희수 (한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인간 행복의 중요한 변인인 건강한 결혼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에게 자신에게 어울리는 이성 친구를 선택하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며, 결혼 준비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건강한 성생활을 계획하고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프로그램은 체계적 상담모형의 개발 절차에 따라, 예비실시를 통하여 참가한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연구자의 평가과정을 거친 후, 상담전문가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한 학기 총 16회기(시험을 치른 2회기를 제외하면 실제 내용은 14회기)로 구성하여 대학의 교양강좌(3학점)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양강좌 수강생들 중, 실험-통제집단 각각 55, 52명을 대상으로 사랑유형, 관계만족도, 성지식 질문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위해 실험집단에 교과목에 대한 충실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균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결혼과 성교육 교과목에 참가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사랑유형, 관계만족, 성지식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결혼과 성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사랑 유형 정립, 관계만족 및 성지식 함양에 도움을 준다는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keywords
결혼과 성교육, 사랑유형, 관계만족도, 성지식, Marriage and Sex Education, Love-Style, Relational Satisfaction, Sexual Knowledge

Abstract

This study aims 1) to develop a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that helps them to get a suitable match, have a satisfactory relation, plan their wedding and have a healthy sexual life, 2) to analyze its effects. According to a systematic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model, participant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were involved in develop and validation of the program. This program, consisting of 16 lectures (include 2 weeks for midterm and final test), was designed for a university liberal-art cours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dependent variables of ‘Love-Style’, ‘Relational Satisfaction’, ‘Sexual Knowledge Questionnaire’ pre-post ANCOVA. This program shows a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improving ‘Love-Style’, ‘Relational Satisfaction’, ‘Sexual Knowledge’ and their evaluation for this program was positive, too. These result could lead to a conclusion that this program helps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Love-Style’, ‘Relational Satisfaction’, ‘Sexual Knowledge’.

keywords
결혼과 성교육, 사랑유형, 관계만족도, 성지식, Marriage and Sex Education, Love-Style, Relational Satisfaction, Sexual Knowledge

참고문헌

1.

권경인 (2001). 집단상담 활동의 유형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김광수 (2001).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개발론, 한국청소년상담원.

3.

김동원, 김정희, 김지현 (2004).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 개관. 상담학연구, 5(4), 1035-1049.

4.

김요완 (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지식 수준의 성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5.

김영화 (1991). 청소년 성의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중술 (1997). 신 사랑의 의미. 서울: 서울대 출판부.

7.

송명자․이현림 (2008).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69-290.

8.

안빈, 김효영, 안혜선 (2002). 아름다운 결혼으로의 초대. 서울: 삼성북스.

9.

이민재 (2000). 성인 전기의 사랑 유형과 자아존중감, 신뢰감, 관계만족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이효재 (1986). 가족과 사회. 서울: 경문사.

11.

장순복 (1989). 자궁절제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 분석.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2.

통계청 (2008). 2007 이혼 통계 결과 보도자료. 통계청.

13.

홍성묵 (1999). 아름다운 사랑과 성. 서울: 학지사.

14.

Blumstein, P. & Schwartz, P. (1983). American Couples.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

15.

Derogatis, L. R. (1980). Psychological assessment of psychosexual functioning. Psychiatric Clininc of North America, 3(1), 113-131.

16.

Hendrick, C. & Hendrick S. (1989). Research on Love: Does it Measure Up? Journal .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5), 784-789.

17.

Hendrick, C., Hendrick S., Dicke A. (1998). The Love Attitudes Scale Short Form.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 15, No.2, 147-159.

18.

Gottman, John M. and Silver, Nann (2002).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The Seven Principles for making marriage work}. (임주현 역) 서울: 문학사상사 (원전은 1999에 출판).

19.

Lasswell, M. & Lobsenz, N. M.(1980). Styles of Loving. New York : Double day.

20.

Lee. J. A. (1976). Colours of Love. Toronto: General.

21.

Levinger, G. A. (1976).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on in Marital Dissolu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Winter, 1976, 34-35.

22.

Montogomery, M. J., Sorell G. T. (1997). Differences in Love Attitudes Across Family Life Stages. Family Relations. 46, 55-61.

23.

Sanderson, C. A. & Cantor, N. (1997). Creating Satisfaction in steady dating relationships: The role of Personal goals and situational afforda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1424-143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