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감이 지각된 가해의도에 따라 용서동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that Empathy according to Perception of offender's intention have on Forgive-motiv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1, pp.325-339
김상현 (대구대학교)
금명자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용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는 공감이 피해자가 지각하고 있는 가해자의 가해의도에 따라 용서동기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사실험연구로서 공감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게 가해자의 고의적인 가해상황을 나타내는 지문이나 우연적인 가해상황을 나타내는 지문을 제시한 후, 지문 속의 가해자에 대한 용서동기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피험자가 가해자의 가해의도를 우연적인 것으로 지각할 때, 공감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 보다 용서동기가 높았으나, 가해자의 가해의도를 고의적인 것으로 지각하고 있을 때에는 공감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사이에 용서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해자의 가해의도를 고의적인 것으로 지각할 때에는 공감수준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보복하지 않으려는 비보복동기는 증가하지만 회피하지 않으려는 비회피동기는 오히려 감소하기 때문이었다. 가해 의도성이 용서동기에 미치는 공감의 영향을 조절하고 있다는 결과는 용서동기를 높이려는 프로그램과 상담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Self-Silencing,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용서동기, 공감수준, 가해의도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that Perception of offender's intention and victims' empathy have on forgive-motivation. For this, we measured the empathy-level of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and conduc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measuring offenders' forgive-motivations in texts after presenting texts about offenders' intentional conditions and coincidental conditions. This study showed that when subjects are perceive of offenders' intention as coincidence, the improvement of victims' empathy-level help victims' forgive-motivations to improve because of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low empathy-level group and high empathy-level group. Also when subjects are perceive of offenders' intention as intentional, the improvement of empathy-level can't give some help to improvement of forgive-motivations because there aren't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low empathy-level group and high empathy-level group. To find the details about how the offenders' intention have effects on victims' forgive-motivations in analysis result, we conducted seco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garding sub-factors of forgive-motivations(not-revenge motivation, not-avoidance motivation) as dependent variables. In result, the not-revenge motivation were higher in high empathy-level group than low empathy-level group when both subjects are perceive of offenders' intention as coincidence and subjects are perceive of offenders' intention as intentional. But whereas the not-avoidance motivation were high in high empathy-level group than low empathy-level group when subjects are aware of offenders' intention as coincidence, it was low in high empathy-level group than low empathy-level group when subjects are perceive of offenders' intention as intentional. Through this result, the reason why there a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forgive-motivations between high empathy-level group and low empathy-level group when subjects are perceive of offenders' intention as intentional is seemed that the not-revenge motivation of high empathy-level group increase but the not-avoidance motivation decrease than low empathy-level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way that we searched empathy reported as it has the correlation with the forgive-motivations may have the meaningful effects on forgive-motivations by offenders' intention that subjects are perceive of but may not.

keywords
Self-Silencing,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용서동기, 공감수준, 가해의도성

참고문헌

1.

김기범. 이효진 (2006). 대인관계 용서의 심리적 과정 탐색: 공감과 사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33.

2.

김광수 (1999). 용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광수 (2002). 용서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상처경험자의 자존감, 불안, 분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0(1), 165-191.

4.

김광수 (2008). 초등학생 용서 능력 증진을 위한 굥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학연구, 46(4), 207-231.

5.

김광수 (2004). 경험과학적 용서연구의 반성 적 고찰과 제언. 교육연구심리 18(4), 33-49.

6.

김난희 (2009). 독서치료활용 공감증진프로그램이 공감수준과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시은 (2000). 도덕 판단에서 취학 전 아동의 의도 사용과 의도성 구분의 발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지연 (2006). 공감, 정서와 동기 유형 및 심장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8(1), 21-37.

9.

김현주 (2009). 공감수준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해연 (2009).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수준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미수 (2010). 대학생의 성별과 종교의 유무에 따른 용서와 공감능력. 단국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성희 (2003). 공감 교육에 대한 개관 연구. 교육학연구, 41(3), 499-518.

13.

박종효 (2006). Enright 용서심리검사(EFI-K)의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20(1). 265-282.

14.

박주영 (2010), 용서 귀인이 용서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성향을 매개변인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진순 (2006).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 용서의 관계.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배정은 (2006). 성격특성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서신화 (2008). 기혼남녀의 용서와 관련변인 연구: 용서과정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신경일 (1994).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간의 관계. 연구보, 29(1), 1- 37.

19.

양영숙 (2008).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오영희 (1995). 용서를 통한 한의 치유: 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7(1). 70-94.

21.

이남숙 (2003). 청소년의 문화성향과 공감, 동조, 허구적 독특성 및 유사성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2.

이은희 (2003), 또래상담훈련 경험이 자아존중감과 공감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선자 (2006). 공감훈련이 교사의 공감수준과 교사-학생 간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4.

이지선 (2009). 부모-자녀 갈등과 공감이 용서 및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 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지연 (2008). 용서받기와 용서하기가 심리적 안녕감과 대인신뢰감에 미치는 효과: 완벽주의와 문화성향을 조절변인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지영 (2006). 공감을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과 용서수준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임효진 (2005). 정성향과 사과 및 인고, 공감이 대인관계의 용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전병성 (2003). 共感과 利他行動과의 關係.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조긍호, 김지용, 홍미화, 김지현(2002). 문화성향과 공감 및 고독의 수준.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조긍호 (2002). 문화유형과 동기의 차이: 한국인의 동기 이해를 위한 시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83-122.

31.

최인숙 (2005). 부부의 위기에 대한 용서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연구.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효인 (2004).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과 도움행동.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하요상 (2006). 용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용서수준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Berndt, T. J., & Berndt, E. G. (1975). Children's use of motives and intentionality in person perception and moral judgement. Child Development, 46, 904-912.

35.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36.

Flavell, J. H., Miller, P. H. & Miller, S. A. (1993). Cognitive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7.

Enright, R. D. et al. (1992). Interpersonal forgiveness within the helping professions: An attempt to resolve differences of opinion. Counseling and Values, 36, 84-103.

38.

Enright, R. D., & the human Development Study Group (1994). Piaget on the moral developmet of forgiveness. Human Development, 37, 63-80.

39.

Enright, R. D. (1999).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 (2) 218.

40.

Enright, R. D. (2004). Forgiveness is a choice. 채규만 역. 용서는 선택이다. 서울; 학지사.

41.

Hoffman, M.L.(1982). Development of prosocial motivation: Empathy and guilt, In N. Eisenberg(Ed.),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Y: Acaemicpress.

42.

Piaget, J. (1932).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London: Kagan Paul: Trensh, Trubner.

43.

Keams, J. N., & Fincham, F. D. (2004). A prototype analysis of forgive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0(7), 838-855.

44.

McCullough, M. E., Worthington, E. L. Jr., & Rachal, K. C. (1997).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2), 321-336.

45.

Mead, G. H.(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ty of Chicago Press.

46.

Rogers, C.R.(1957).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nal of Conunseling Psychology, 2 ,95-103.

47.

Shultz, T. R. (1980).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intention. In S. A. Collins(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Vol. 13), Hillsdale, NJ : Erlbaum.

48.

Shultz, T. R. (1982). Rules of causal attribu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7(194).

49.

Takaku, S. (2001). The effects of apology and perspective taking on interpersonal forgiveness: A dissonance attribution model of interpersonal forgivenes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20(1-2), 144-166.

50.

Wade, N. G., & Worthington, E. L. Jr. (2003). Overcoming interpersonal offenses: Is forgiveness the only way to deal with unforgivenes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1, 343-353.

51.

William ICKES (2003), Everyday Mind Reading. 권석만 역. 마음읽기; 푸른 숲.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