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노인을 위한 단순 Rey 도형 검사 수행에 미치는 연령 및 교육의 영향

Effects of age and education on the Simple Rey Figure Test in elderly Korean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1, pp.99-115
박선희 (화인 정신과의원)
김은영 (신지용 소아청소년 클리닉)
김호영 (서울대학교)
최진영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시지각 및 시각 기억 능력 검사 도구로서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단순 Rey 도형 검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검사 시행과 해석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인지 장애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정상 노인 374명이었다. 정상 노인들의 연령, 교육연한, 성별이 단순 Rey 도형 검사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단계적 중다회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복사 수행에는 교육연한 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과 같은 기억 수행에는 연령과 교육연한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회상 과제인 즉각회상과 지연회상은 연령의 영향이 더 큰데 비해, 재인회상은 교육의 영향이 더 컸다. 본 검사의 4개 과제에서는 교육의 효과가 가장 광범위하고 컸으며 국내 노인 인구의 학력 특성을 고려해 교육연한을 보다 세분화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예상대로 무학력 노인 집단의 수행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는 특히 복사 수행에 반영되는 시지각 및 구성 능력이 교육의 유무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복사 수행에 연령의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음은 단순 Rey 도형 검사의 단순화된 그림 자극이 노인들의 시각적 기억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로 타당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단순 Rey 도형 검사의 정상 노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과 교육연한의 효과와 본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Simple Rey Figure Test,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visual perception, visual memory, education, age, 단순 Rey 도형 검사, 복합 Rey 도형 검사, 시지각, 시각적 기억, 연령, 교육

Abstract

The Simple Rey Figure Test(SRFT) was developed to assess visual perception and visual memory abilities of the elderly people by simplifying the figure of the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RCF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RFT performance of 374 normal elderly Koreans with wide-range of age(55-84 years) and education (0-24 years). We examined the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age, education, and gender on the SRFT. We found that the age and education influenced the performance on the SRFT. There was no sex effect. The age and education affected the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and recognition of the SRFT, but age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on the Copy task. Furthermor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5 educational levels(0, 1-6, 7-9, 10-12, and more than 13 years of schooling)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 on the copy. The result showed the uneducate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than the other groups including education of 1-6 years. In conclusion, the SRFT performance in elderly Koreans were affected by educa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in uneducated elderly people should employ norms that specify performance of this group.

keywords
Simple Rey Figure Test,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visual perception, visual memory, education, age, 단순 Rey 도형 검사, 복합 Rey 도형 검사, 시지각, 시각적 기억, 연령, 교육

참고문헌

1.

강연욱, 진주희, 나덕렬 (2002).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11-922.

2.

김은영 (2001). 단순 Rey 도형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3.

문혜성 (2001). 한국 노인의 문식성(Literacy)과 인지기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4.

송호정 (2002). 한국 노인의 숫자외우기 및 시공간폭 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5.

송호정, 최진영 (2006). 한국 노인의 숫자폭 및 시공간폭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 299-328.

6.

안효정, 최진영 (2004). 노인용 이야기 회상 검사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 435-454.

7.

이나영 (2001). 노인인지행동 인터뷰를 통한 임상전 치매 환자 감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8.

정은영, 지연경, 최승원, 허지원, 안창일 (2006). 한국 노인의 단기기억폭 수행에 미치는 연령 및 교육 연한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3), 533-544.

9.

최진영 (1998). 한국판 치매 평가: Korean- Dementia Rating Scale(K-DRS).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 423-433.

10.

최진영 (2007). 노인 기억장애 검사(Elderly Memory disorder Scale). 학지사.

11.

Ardila, A., & Rosselli, M. (1989).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rmal aging.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5, 307-320.

12.

Boone, K. B., Lesser, I.M, Hill-Gutierrez, E., Berman, N. G., & D'Elia, L.F. (1993).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performance in healthy, older adults: Relationship to age, education, sex, and IQ.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7, 22-28.

13.

Chervinsky, A.B., Mitrushina, M., & Satz, P (1992). Comparison of four methods of scoring the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Drawing test on four age groups of normal elderly. Brain Dysfunction, 5, 267-287.

14.

Chey, J., & Kim, H. (2010). Effects of education, literacy, and dementia on the Clock Drawing Test performanc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6, 1-9.

15.

Chey, J., Na, D.R., Park, S., Park, E., & Lee, S. (1999). Effects of education in dementia assessment: Evidence from standardzing the Korean-Dementia Rating Scal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3, 3, 293-302.

16.

Chiulli, S. J., Haalnad, K. Y., LaRue, A., & Garry, P. J. (1995). Impact of age on drawing the Rey-Osterrieth Figur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9, 219-224.

17.

Christensen, K. J., Multhaup, K.S., Nordstroa, S., & Voss, K. (1991). A cognitive battery for dementia development an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Assessment, 3, 168-174.

18.

Cummings, J. L., & Benson, D. F. (1986).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n inventory of diagnostic clinical featur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34, 12-19.

19.

Hartman, M., & Potter, G. (1998). Sources of Age Differences on the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2, 513-524.

20.

Heaton, R. K., Lee, R., Grant, I., & Matthews, C. G. (1996). Demographic influences on neuropsychological test performance. In. I. Grant, & K. M. Adams (Ed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2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1.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

Mayers, J. E., &. Lange, D. (1994). Recognition subtest for the Complex Figur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8(2), 153-166.

23.

Meyers, J. E., & Meyers, K. R. (1995a). Rey Complex Figure Test under four different administration procedures.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9(1), 63-67.

24.

Meyers, J. E., & Meyers, K. R. (1995b). The Meyer Scoring System for the Rey Complex Figure and Recognition Trial: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5.

Milberg, W.P. Geriatric Evaluation of Mental Status(GEMS). Unpublished manuscript, GRECC, Boston.

26.

Poulton, R. G., Moffitt, T. E. (1995). The Rey-Osterreith Complex Figure Test: Norms for Young Adolescents and an Examination of Validity.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0(1), 47-56.

27.

Rosselli, M., & Ardila, A. (1991).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gender on the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5, 370-376.

28.

Rosselli, M., & Ardila, A. (2003). The impact of culture and education on non-verbal neuropsychological measurements: A critical review. Brain and Cognition, 52, 326-333.

29.

Shorr, J. S., Delis, D. S., & Massman, P. J. (1992). Memory for the Rey-Osterrieth Figure: Perceptual clustering, encoding and storage. Neuropsychology, 6, 43-50.

30.

Streen, O. & Strauss, E. (1998). Compendium of Neuropsychological Tests(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

Zec, R. F. (1993).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Alzheimer's disease. In R. W. Parks, R. F. Zec, and R. S. Wilson (Eds.). Neuropsychology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