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go-identity of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on Career Maturit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3, pp.743-762
최윤희 (광운대학교)
김순자 (루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결혼가정 분포가 높은 경기, 서울, 전남, 충남에 소재하는 10개 초, 중, 고의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13세-20세의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차이에서는 학교형태와 학업성적, 한국어실력, 국가소속감이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진로성숙도의 경우 성별, 학교형태,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한국어실력 좋을수록 국가 소속감의 이중적 자기규정의 변인이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진로성숙도 평균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정체감 하위요인은 ‘자기수용성’과 ‘미래 확신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과 진로성숙도 하위요인의 중다회귀분석에서 주체성은 진로성숙도의 결정성(-), 미래확신성은 진로성숙도의 결정성(+), 주체성은 진로성숙도의 관여성(-), 자기수용성은 진로성숙도의 관여성(-). 주도성은 진로성숙도의 독립성(+), 미래확신성은 진로성숙도의 성향(+), 자기수용성은 진로성숙도의 타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고, 자기수용성과 미래 확신에 대한 믿음을 가질수록 학교적응과 진로를 잘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차이에 따른 개별화를 통하여 이중문화라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문화 사회의 주역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 및 상담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들의 이중적 자기규정에 기반을 둔 자아정체감과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에 대한 보다 많은 상담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국제결혼가정 자녀, 다문화청소년, 자아정체감, 진로성숙도,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Multicultural Youth, Ego-Identity, Career Matur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the Ego-identity of a child from an international marriage on career maturity of multicultural youth. The questionnaires were done by 125 students in 13-20 years old who attend general schools and alternative schools of 10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 Seoul, Jeonnam and Chungnam where families of international marriage are intensively distrib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school type, scholastic achievement, fluency in Korean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affect sub-factor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the ego-ident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dual self-regulation of national identity affects sub-factors of variables when gender, school type, scholastic achievement and higher and fluency in Korean language is better in the case of career maturity. Second, it is found that ego-identity and career maturity are in correlation and the sub-factors of ego-identity which affects the average of career maturity are self-receptivity and confidence in the future. Finally, it is found that subjectivity affects the determination of career maturity(-), confidence in the future affects the determination of career maturity(+), subjectivity affects the involvement of the determination of career maturity(-), self-receptivity affects the involvement of career maturity(-), initiative affects the independence of the career maturity (+), confidence in the future affects the career maturity(+) and self-receptivity affects the compromise of career maturity(+) in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of sub-factors of ego-identity and those of career maturity. This may implies that the higher ego-identity of multicultural juvenile is the higher career maturity is and if they trust self-receptivity and confidence in the future to heighten the above they well adapt to the school and perform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ir course. Thus, this result becomes the mileston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career education and consultation so that children in the family of international marriage can overcome the difficulty of double culture through difference and individualization of general school and alternative school as the principal of multicultural society. Further, it suggests that more consultation is required in the aspect of ego-identity based on the double self-regulation of multicultural juvenile and its career maturity.

keywords
국제결혼가정 자녀, 다문화청소년, 자아정체감, 진로성숙도,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Multicultural Youth, Ego-Identity, Career Maturity

참고문헌

1.

강호경 (2003).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란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신, 이선미(1998). 중년부부의 노부모부양부담과 관련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93-106.

4.

김길정 (2003).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옥 (1993).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과의 상관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미옥 (1994).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과의 상관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봉환 (1997). 진로상담에서의 심리검사의 활용.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8.

김수리 (2004).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연미 (1997).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인간이해, 19, 69-88.

10.

김은진 (2001).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22, 97-116.

11.

김현옥 (1989). 청소년 진로성숙과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형태 (1989).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발달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희진 (2001).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5, 369-393.

14.

남동호 (1993).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순희 (2000). 중학생의 내외통제성 및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아청 (1996).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5(1), 140-162.

17.

변기흠 (2001). 여중생의 자기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봉연 (1979). 한국과 서독청소년의 identity 발달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연구 제2집, 한국사회과학연구소.

19.

송선진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 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미자 (2002). 자아정체감과 양육태도가과 비행경험이 중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리리 (2003). 화교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양은정 (2002). 고등학생의 진로 미결정과 자아 정체감 및 인생목적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유난영 (2008).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김포시 일반 청소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유순화․강승희․윤경미 (2004).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수준 및 진로성숙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5(4), 1111-1123.

25.

이상인 (2001).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배근 (2006). 다문화가정청소년 사회적응 실태 지원방안: 혼혈청소년도 당당한 한국인입니다., 한국청소년상담원.

27.

이승국 (1999).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영숙 (1997).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와 진로성숙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영주 (2007). 다문화가정의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전경숙 (2008). 다문화가정 청소년 증가에 따른 교육지원 정책과제. 경기도: (재)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제7호.

31.

정미란 (2004).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삶의 의미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하성 (2009). 여러 나라 사람들의 삶. 한국학술정보(주).

33.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 (2007). 다문화청소년이해론.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편. 서울: 양서원.

34.

조성권 (2000). 자체부자유 고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 성숙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채가란 (1999).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정아 (2005).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희경 (2006).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의사결정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통계청 (2010). 국제결혼현황. 통계청.

39.

김승권외(2010). 다문화가족실태조사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한영준 (2006).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홍영숙 (2007). 다문화가정이 봉착하는 자녀교육 문제와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홍향연 (2007). 경남 지역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Blustein, D. L., Devenis, L. E., & Kidney, B. A. (1989).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196-202.

44.

Blustein, D. L., & Phillips, S. D. (1990). Relation Between Ego Identity Statuses & Decision- Making Styles.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37, 160-168.

45.

Blustein, D. L., & Walbridge, M., Friedlander, M. L,. & Palladino, D. E. (1991). Contribution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38, 39-51

46.

Blustein, D. L. (1994). "Who am I": The question of self and identity in career development. Convergence in career development theorise. 139-153.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y Press.

47.

Blustein, D. L., & Noumair, D. A. (1996). Self and Identity in career development: I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4, 433-441.

48.

Crites. J. O. (1961).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8.

49.

Crites. J. O. (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Administration and usr's manual (2nd ed). New York. McGraw-Hill Book Co.

50.

Crites. J. 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 Methos and Materials. New York: McGraw- Hill Book Co.

51.

Erikson. E. H. (1959). Identity and life cycle. Psychology Issue. Monograph 1, 1-171.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52.

Erikson. E. H. (1963). Identity youth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53.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ocial science. New York: McMilan Co. $ Free.

54.

Galinsk, Y., & Fast, M. D. (1966). Vocational choice as a focus of the identity 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3, 89-92.

55.

Ginzberg, E. (1951). Occupational Choice. New York: Columbia Univ Press.

56.

Gribbons, W.& Lohnes, P. R. (1964). 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13-20.

57.

Harre, R., & Lamb, R. (1983). Encyclopedic Dictionary of Psychology.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58.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Counselor instructor guide. Unpub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ios University at Carbondale.

59.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119-133.

60.

Holland, J. L & Holland, J. E.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414.

61.

Holland, J. L., Diager, D. C.. & Power, P. G. (1980).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s. Press.

62.

Holland, J. L., Gottfredson, D. C., & Power, P. G. (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1200.

63.

Hoyt. K. B. (1997). The school Counselor and Career Education. Washington, D.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64.

Marcia, J. E. (196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 Identity St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5), 551-558.

65.

Marcia, J. E. (1980). Identity in adolescence. In J. Adelson,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157-187. New York: John Willy & Son.

66.

Munley, P. H. (1975). Erik Erikson's theory of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vocation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2. 314-319.

67.

Super, D. E. (1953). A theory of va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68.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57, 151-163.

69.

Super, D. E. (1963). Career development: Self-concept theory, New York: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70.

Super, D. E. (1976). Career education and meaning of work. Washington, D.C.: U.S. Office of Education.

71.

Tiedeman, D. V. (1961). Decision and vocational development: A paradigm and its implications.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40, 15-20.

72.

Tolbert, E. L. (1980).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Co.

73.

Vondracek, F. W., Hosteler, M., Schulenberg, J. E., & Shimiu, K. (1990). Dimension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98-106.

74.

Vondracek, F. W. (1992). The construct of identity and its use in career theory and research.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1. 130-14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