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인용 구직장애요인탐색 검사 개발

Development of the Job-Seeking Barriers Exploration Scale for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4, pp.1165-1188
정선형 (광운대학교)
탁진국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성인 전반을 대상으로 이들이 구직활동을 하는 중에 경험하거나 지각하게 되는 장애의 내용을 파악하여 객관화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직지원센터에서 서비스를 받는 고객 50명과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451개의 구직장애 진술문을 확보하였고, 이를 다시 3개 대범주, 11개 중범주, 44개 소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항목들에 대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 및 항목빈도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70개의 문항을 선정하여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25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10개 요인구조, 41개 문항이 가장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요인은 정보탐색 및 구직서류 작성능력부족, 기업 및 취업시장 문제, 성격․심리적 특성 및 태도,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 부족, 경력관리부족, 외부의 시스템적 지원 부재, 체면유지에 따른 어려움, 가족부양에 따른 어려움, 변화에 대한 준비부족, 면접대응능력부족으로 명명되었다. 각 요인별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만족할만한 신뢰도 계수를 보였다. 또한 구직장애요인탐색검사는 준거인 구직강도, 구직효능감, 그리고 정신건강과 모두 유의하게 관련되어, 검사의 준거관련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또한 여성은 정보탐색 및 구직서류작성능력부족, 면접대응능력부족에 더 많은 장애를 느끼고 있었고, 남성은 변화에 대한 준비부족에서 더 많은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 및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Job-seeking barriers, Career barriers, Outplacement, Adult career, Re-employment, 구직장애, 진로장벽, 전직지원, 성인 진로, 재취업

Abstract

Most of the studies concerning career barriers have been limited to women, students, or employe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scales to measure job-seeking barrier factors for the unemployed people. First,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50 unemployed people, 451 statements of job-seeking barriers were obtain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methods of previous studies and professionals’ advice, 3 large categories and 11 medium categories and 44 small categories were classified. Secondly,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70 job-seeking barrier items and 28 criterion variables items were distributed to vocational schools, search firms and mostly outplacement service center. 2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10 factor model was most meaningful. These factors were as follows: 1) lack of information search and writing abilities of job applications, 2) company and job market problem, 3) personality․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4) lack of reemployment support program, 5) lack of career management, 6) absence of external systematic support, 7) difficulties by retaining dignity, 8) difficulties by support of family, 9) lack of preparation for the change, and finally 10) lack of abilities about dealing with job interview. Reliabilities of 10 factors were generally satisfactory. Also the scal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the three criteria, confirm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Job-seeking barriers, Career barriers, Outplacement, Adult career, Re-employment, 구직장애, 진로장벽, 전직지원, 성인 진로, 재취업

참고문헌

1.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권성욱․탁진국 (2002). 경력장애척도 개발 및 타당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1), 1-18.

3.

김 균 (2009). 구직 강도의 선행요인과 구직명료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고용지원센터 이용구직자를 대상으로. 노동정책연구, 9(3), 113-141.

4.

김동준 (1997). 진로미결정 문제와 심리적 변인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명언․장재윤․조성호․노연희 (2003). 성취 프로그램의 효과: 구직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 (2), 181-204.

6.

김미희․탁진국․한태영․한영석․유태용 (2007). 중․장년층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37-557.

7.

김봉환․김계현 (1995). 진로 미결정에 관한 연구동향과 향후의 연구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7(1), 20-43.

8.

김은영 (2001).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김정미 (2003).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정수․이성원 (2004). 청소년의 진로미결정, 진로내외통제성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실업계 고교생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학생활연구, 22,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11.

김진구 (1999). IMF 경제위기 이후 실업자들의 재취업 결정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 15(2), 43-64.

12.

김진숙․이종희 (2003).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학장벽. 상담학연구, 4(4), 773-788.

13.

김학주․우경숙 (2004).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 (2), 97-110.

14.

류만희 (1999). 실업자의 재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서효석 (2007). 중간관리직 경력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손은령 (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손은령․김계현 (2002).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121-139.

18.

신선인 (2001). 한국판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한국사회복지학, 46(9), 210-235.

19.

양안나 (2002). 관리직․전문직 경력자의 재취업 결정요인 및 전직의도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이은설 (2005). 초․중․고 여학생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정소영 (2007). 청년실업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진미석, 윤형한 (2003). 성인 진로개발지원체제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03-12.

23.

탁진국 (1996). 경력미결정과 부적응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9(2), 81-94.

24.

한태영․안상수․신강현․한영석․탁진국․유태용․이세란 (2005). 장년층구직자의 구직효능감에 대한 귀인과 강인성의 영향: 정신건강과 재취업 제한요건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3), 611- 637.

25.

홍혜경 (1998). 진로결정상태 모형에 의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의 유형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황매향․이아라․박은혜 (2005). 청소년용 남성 진로장벽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및 잠재평균비교. 한국청소년연구, 16(2), 125-159.

27.

김용하. “2010 베이비붐 세대의 이동이 시작된다”, 신동아 2010년 1월 1일 통권 604호: 446-452

28.

Astin, H. S. (1984). The meaning of work in women’s lives: A sociopsychological model of career choice and work behavior. The Counseling Psychologies, 12, 117-126.

29.

Crites, J. O. (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 Hill.

30.

Farmer, H. S. (1976). What inhibits achievement and career motivation in wome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6, 12-14.

31.

Gottfredson, L. S.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Monograp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545-579.

32.

Nieva, V. F., & Gutek, B. A. (1981). Woman and work: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Praeger.

33.

Osipow, S. H. (1999). Assessing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5, 147-154.

34.

Osipow, S. H. (1980). Manual for the Career Decision Scale(Rev.ed.). Columbus, OH: Marathon Consulting and Press.

35.

Salomone, P. R. (1982). Difficult cases in career counseling: Ⅱ-The indecisive client.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0, 496-500.

36.

Sobol, M. G. (1963). Commitment to work. In F. I. Nye & L. W. Hoffman(Eds.), The employed mother in America(pp.40-63). Chicage: Rand McNally.

37.

Swanson, J. L., & Tokar, D. M. (1991a).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8, 92-106.

38.

Swanson, J. L., & Tokar, D. M. (1991b).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 344-361.

39.

Swanson, J. L., & Woitke, M. B.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 431-45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