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군내 스트레스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진단 척도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he Stress Diagnostic Scale on Samples of Korean Military Personnel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2, pp.345-367
김용주 (육군사관학교)
강성록 (육군사관학교)
고재원 (육군사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인의 정도를 측정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자살, 폭행, 탈영 등의 사고행동 가능성을 예측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 번째 단계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스트레스 관련 연구들을 개관하고 군대 내 병사의 스트레스 유발요인들을 파악하고 망라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본 연구의 스트레스 모델에 기초하여 총 178개의 예비문항풀을 작성하고, 이들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육·해·공군 병사 1,5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본 조사단계로서,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문항들을 사용하여, 육·해·공군 병사 3,6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87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은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반응, 사고행동 등의 3개 변인군에 17개 하위척도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군 내부에서 식별된 사고자 집단(육군교도소의 재소자 53명)과 일반 병사집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 병사집단과 사고자 집단 간에는 대부분의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됨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keywords
causes and current level of stresses, stress reactions, accident-related behavior, stress diagnostic scale,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반응, 사고행동, 스트레스 진단 척도, causes and current level of stresses, stress reactions, accident-related behavior, stress diagnostic scale

Abstract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gnostic questionnaire for Korean soldiers to predict accident-related behaviors such as suicide, physical violence, and desertion from barracks by measuring one's causes and current level of stresses, and stress reactions.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s, we conducted this study with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we reviewed prior studies on stress which were conducted with civilian samples and identified potential causes of stress in military setting. In the second step, we compos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178 items based on our stress model and carried out a pilot study with 1,500 soldiers of Korean Armed forces. With this result, we selected final items for the main study. In the final step,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690 privates who were sampled from Korean Armed forces. Final version of our questionnaire contains 87 items and it is composed with three variable groups which have seventeen sub-scales. In addition, validation of the diagnostic questionnaire was tested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normal soldier group with those from soldiers(N=53) who were prisoned in Army jail by committing in a violation of law.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isoned group in most of the sub-scale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Stress Diagnostic Scale is a valid tool in predicting one's possibility of committing in a violation of law or an accident.

keywords
causes and current level of stresses, stress reactions, accident-related behavior, stress diagnostic scale,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반응, 사고행동, 스트레스 진단 척도, causes and current level of stresses, stress reactions, accident-related behavior, stress diagnostic scale

참고문헌

1.

권승재 (2001). 병영스트레스가 군 범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정인 (1988).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반응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정호, 김선주 (2006).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시그마프레스.

4.

김정휘 (199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 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A형 성격과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 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정희 (1995).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관계.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7, 44-69.

7.

김진익 (2003). 해외파병부대원의 스트레스 요인과 행동성향이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흥수 (1990). 군 조직에서의 사병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응섭, 김용주, 이현엽 (2010). 한국군의 심리적 위기와 상담정책 발전방안. 미래사회, 1, 1-20.

10.

신응섭, 이재윤, 남기덕, 문양호, 김용주, 고재원 (2004). 리더십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1.

안정숙, 채규만 (2007). 스트레스, 성격특성과 우울증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813-832.

12.

유태현 (2004). 병영 스트레스가 군 범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육군본부 (1999). 병영 스트레스 원인과 대책. 육군인쇄창.

14.

육군본부 헌병감실 (2005). ’05년 사고 분석.

15.

이영자 (1994).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종목, 박한기 (1988). 직무 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 연구(I), 사회심리학 연구, 4, 241-262.

17.

이평숙 (1984).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 양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장현갑, 강성군 (1998). 현대인의 스트레스 관리. 학지사.

19.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833-850.

20.

전겸구, 김교헌 (2003). 한국 주부의 생활 스트레스와 대처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1-39.

21.

진석범 (2000).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광표 (1999). 신세대 장병의 지휘통솔.『한국군 리더십, 오점록, 이종인 대표편집』. 박영사.

23.

최광현 외 8명 (2011). 2011년 인성검사 및 병영생활 적응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4.

최대현 (1995). 군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미례 (2000).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혜림 (1986). 한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인지: 행동적 상담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한국심리학회 (1998). 심리검사 제작 및 사용지침서. 중앙적성출판사.

28.

Aldwin, C. M. (2007).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4

29.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343-352.

30.

Billings, A. G., Cronkite, R. C., & Moss, R. H. (1983). Social-environmental factors in unipolar depression: Comparison of depressed patients and nondepressed control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2, 119-113.

31.

Brown, D. H., Chorpita, B. F., & Barlow, D. H. (1996).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mensions of the DSM-IV anxiety and mood disorders and dimensions of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autonomic arousa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7, 179-192.

32.

DeLongis, A., Folkman, S., & Lazarus, R. S. (1988).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486-496.

33.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34.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35.

Jacobs, B. J. (2002). The influence of a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perceived quality of life.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62.

36.

Johnson, J. H., & McCutcheon, S. (1980). Assessing events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Preliminary findings with the life events checklists. In I. G. Sarason & C. D. Spielberger (Eds.), Stress and Anxiety (Vol. 7, pp. 111-125). Washington, DC: Hemisphere.

37.

Kahn, R. L., & Byosiere, P. B. (1992). Stress in organizations. In M. D. Dunnette & L. M. Hough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3, pp. 571-650).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8.

Kessler, K. H., McGonagle, K. A., Swartz, M., & Blazer, D. G. (1992). Sex and depression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I: Lifetime prevalence, chronicity and recurrenc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9, 85-93.

39.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40.

MacDonough, T. S. (1991). Noncombat stress in soldiers: How it is manifested, how to measure it, and how to cope with it. In R. Gal & A. D. Mangelsdorff (Eds.), Handbook of military psychology, (pp. 531-558). Oxford, England: John Wiley & Sons.

41.

Mason, L. J. (2001). Guide to stress reduction. Berkely, CA: Celestial Arts.

42.

Matteson, M. T., & Ivancevich, J. M. (1979). Organizational stressors and heart disease: A research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 347-357.

43.

Quick, J. C., & Quick, J. D. (1984). Organizational stress and preventive management. New York: McGraw-Hill.

44.

Reynolds, W. M. (1987).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5.

Sarason, I. G., Johnson, J. H., & Siegel, J. M. (1978). Assessing the impact of life changes: Development of the life experiences surve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6, 932-946.

46.

Selye, H. (1976). The stress of life (Revised Ed.). New York: McGraw-Hill.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