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outcomes was examined with meta-analytic methods across 66 independent studies (N = 25,353) extracted from electronic databases between 1995 and 2011. The mental health outcome measures were categorized as negative mental health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itive mental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religiosity.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depressive symptoms was -.176, indicating that greater religiosity is mildly associated with fewer symptoms.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is .263, indicating that greater religiosity is moderat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anxiety was insignificant (r = -.024). The results were not moderated by gender or age, but by the type of measure of religiosity used in the study. Specifically, in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negative mental health (i. e., anxiety and depression) religious behaviors,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whil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igios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measure of religiosity.
강경아, 김신정, 송미경 (2009). 중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 생의 의미 및 영적 안녕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15, 343- 349.
*강은실, 조향숙. 송양숙. 강성년 (2003). 청소년의 자살의도와 우울, 영적안녕과의 관계. 전인간호과학연구 학술모음집, 2, 93- 111.
*공은숙, 서혜석 (2010). 기독대학생의 영적안녕, 공격성, 및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3, 266-275
*권양순, 송정아 (2010). 영적 건강과 자아존중감이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0, 53-80.
*김경혜, 김경덕, 변혜선, 정복례 (2010).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 자아존중감 및 죽음에 대한 태도. 종양간호학회지, 10, 1-9.
김달숙, 문원희 (2005). 종교 관련 변수와 희망의 관련성에 대한 메타 분석. 충남대 간호학술지, 8, 45-51.
*김동기 (2007). 행복과 종교적 태도의 개념관계 모형들에 대한 비교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47-365.
*김수정 (2006). 노인의 종교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노인복지연구, 33, 29-50.
*김수정 (2007). 기독청년의 신앙성숙도와 자존감과의 관계. 신학과 목회, 27, 287-313.
*김신열 (2004). 종교 활동 참여가 미주 한인 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5, 147-168.
*김연숙, 권영은, 성기숙, 곽혜련 (2007). 입원노인의 삶의 질, 죽음 불안, 영적 안녕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9, 143-153.
*김유심 (2010).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빈곤층 여성 한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영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8, 187-218.
*김정호, 은희진 (2010). 경험논문: 성경의 웰빙인지와 웰빙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673-685.
*김정희, 전선영, 최윤신, 김한나 (2010). 대학생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 ACOAs†의 영성과 주관적 안녕.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1, 103-115.
*김지숙 (2008).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성을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5, 5-20.
*김혜숙, 최진호 (1997). 한국인의 모임활동과 주관적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3, 41-60.
*김후자 (1997). 입원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 및불안과의 관계. 영남이공대학 산업기술연구소, 10, 67-92.
*남기민, 박현주 (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9, 405-427.
*노경이 (2009). 영성과 자아존중감 및 종교 간의관계 연구. 상담학연구, 10, 2591- 2606.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441-470.
*박준성, 박은미, 정태연 (2009). 종교성이 일반적 신뢰, 자기효능감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미치는영향 -개신교인과 비종교인의 생활양식 비교-. 한국종교학회, 55, 159- 190.
*배은주 (2004). 기독신학생의 신앙성숙도와 자존감의 관계 연구. 복음과 상담, 3, 178- 189.
*서경현, 정성진, 구지현 (2005). 대학생의 영적 안녕과 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 1077-1095.
*서경현, 김신섭, 박성연 (2007). 고등학생의 영적 안녕과 사회불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599-616.
*석말숙 (2004). 중도지체장애인의 종교적 특성이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기독 교인을 중심으로. 교회사회사업, 2, 145-179.
*소희영, 민효숙 (2006). 유방암 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태도. 재활간호학회지, 9, 5-14.
*손병덕 (2004). 일반청소년, 범죄청소년의 특성, 우울성향과 영적복지와의 상관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11, 371-397.
*손병덕 (2009). 이혼, 재혼가정 아동의 공격, 위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분석: 일반가정아동과 비교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113-136.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2009).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 465-480.
*손의성 (2008). 배우자 사별노인의 종교참여와 대처자원 및 우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 183-204.
*신건호 (2005). 청소년의 자아개념, 불안, 희망과 낙관성이 종교정향 발달에 미치는 효과. 종교교육학연구, 20, 147-166.
*신건호 (2008). 연구논문: 중․고등학생의 영적 안녕감이 교사와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종교교육학연구, 26, 237-250.
*신경숙 (2009). 예비유아교사의 학과적응, 진로결정도 및 종교 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교사교육연구, 48, 1-20.
*안준희 (2010). 노인의 종교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 203- 233.
*염형욱, 정성덕, 서완석, 구본훈, 배대석 (2005). 노년기 영성과 불안․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영남의대학술지, 22, 27- 2.
*오복자 (1997). 암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9, 189- 198.
*윤예진, 신성만 (2009). 대학생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권태감, 삶의 의미, 신앙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8, 187- 215
*윤현숙, 원성원 (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 1077-1093.
*이강오, 윤현정 (2006).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영적 안녕, 우울 및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조선대학학교부설의학연구소 의대논문집, 31, 85-99.
*이성배, 제석봉 (1995). 종교성향검사(ROS)의 개발과 종교적 성향이 적응 및 종교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종교학회 종교연구, 11, 281-291.
*이지연, 김영혜 (2009).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의 매개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10, 123-143.
*이진아 (2005). 성인들의 영성, 대인관계, 생의 의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연구교류처 대학원논문집, 34, 193-205.
*이해리 (2007). 의지적, 영적 유연성이 고 역경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8, 317-332.
*이해숙 (2003). 호스피스 환자와 비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성인간호학회지,15, 364-372.
*임은기, 정태연 (2009). 한국 노인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개발. 한국노인학, 29, 1141-1158.
*장동진, 김용태 (2008). 영적 초월과 심리적 안녕간의 관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6, 165-186.
*장인순 (2004).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영적안녕,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 91-98.
*전겸구, 정봉도, 김용환 (2000). 생활 스트레스, 영적 안녕 및 우울간의 관계. 한국재활과학회, 23, 311-325.
*전영자, 박경란 (2006). 노인의 종교성,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5, 239-249.
*전혜원 (2010). 휴먼서비스 전공분야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3, 207- 216.
*정성진, 성경현, 김신섭, Chang Ho C. Ji (2010). 종교지향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 대한 종교적 원리주의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 19-41.
*정숙희 (2009). 사회복귀시설 정신상애인의 영적안녕정도에 따른 희망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11, 39- 66.
*제석봉, 추진규 (1996). 외재적-내재적 종교성향과 불안 및 부적응과의 관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연구논문집, 53, 121-134.
*조발그니, 류정희 (2008).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안녕감의 관계 -천주교 광주대교구의 경우-. 한국종교학회 종교연구, 51, 193- 225.
*조발그니, 김병욱 (2009).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사회연구, 17, 83-109.
*조영임 (2000). 당뇨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동남보건대학 논문집, 18, 123-132.
*조인주 (2010). 원불교 교역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4, 145- 175.
*조혜윤, 손은정 (2008). 종교성향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종교적 대처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 773-793.
*채유경 (2005). 지각된 가족 기능성, 부부 갈등, 자아존중감, 영성 및 청소년 공격성 간의 관계. 예술심리치료연구, 1, 74-90.
*최금주, 제석봉 (2007). 노인의 영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38, 109-125.
*최명심, 손정락 (2010). 내재적 종교 성향과 삶의 의미에서 종교적 대처의 매개역할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91-105.
*한내창 (2002). 종교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36, 157- 182.
*한내창 (2005). 종교성과 주관적 삶의 질.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33, 179-212.
*허 윤, 문유선, 손봉기, 이상규, 이 강, 노현진, 김도훈 (2008). 한국의 일 지역 독거노인에서 종교성 및 영성이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2, 87-94.
*황혜리, 김경탁 (2005). 기독교 대학생의 하나님 이미지와 자존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6, 275-286.
Allport, G. W., & Ross, J. M. (1967).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prejud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 432-443.
Ano, G. G., & Vasconcelles, E. B. (2005).Religious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stress: a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1, 461-480.
Baier, C. J., & Wright, B. R. (2001). If You LoveMe, Keep My Commandments: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 of Religion on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8, 3-21.
Bergin, A. E. (1983).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critical reevaluation and meta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14, 170-184.
Bergin, A. E. (1991). Values and religious issues in psychotherapy and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46, 394-403.
Borenstein, M., Rothstein, D., & Cohen, J. (2005).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Computer software]. Englewood, NJ: Biostat.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e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John Wiley & Sons, Ltd.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tion). Hillsdale, NJ: Erlbaum.
Cooper, H. M. (2010).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Dezutter. J., Soenens, B., & Hutsebaut, D. (2006)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further explor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ligious behaviors vs. religious attitud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807- 818.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 75.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in Meta-Analysis. Biometrics, 56, 455-463.
Emmons, R. A., & Paloutzian, R. F. (2003). Annual Review of Psychology. The Psychology of Religion, 54, 377-402.
Francis, L. J., Jewell, A., & Robbins, M.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personality, and purpose in life among an older Methodist sample. Mental Health, Religion & Culture, 13, 777-791.
Gartner, J., Larson, D. B., & Allen, G. D. (1991). Religious commitment and mental health: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19, 6-25.
Hackey, C. H., & Sanders, G. S. (2003).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Meta- Analysis of Recent Studies.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42, 43-55.
Hill, P. C., Pargament, K. I., Hood, R. W., McCullough, M. E., Swyers, J. P., Larson, D., & Zinnbauer, B. J. (2000). Conceptualizing religion and spirituality: Points of commonality, points of departure.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ior, 30, 51-77.
Hill, P. C., & Pargament, K. I. (2003). Adva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Implications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58, 64-74.
Keyes, C. L. Shmotkin, D., & Ryff, C. D. (2002). Optimizing well-being: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 1007-1022.
Koenig, H. G., McCullough, M. E., & Larson, D. B. (2001). Handbook of religion and health.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Larson, D. B., Sherrill, K. A., Lyons, J. S., Craigie, E. C., Thielman S. B., Green wold, M. A., & Larson, S. S. (1992). Associations between dimensions of religious commitment and mental health.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9, 557-559.
Lipsey, M. W. & Wilson, D. B. (2001). Practical Meta-Analysis. Thous and Oaks: Sage.
McCullough, M. E., & Larson, D. B. (1999). Religion and depress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Twin Research, 2, 126-136.
McCullough, M. E., Hoyt, W. T., Larson, D. B., Koenig, H. G., & Thorsen, C. (2000). Religious involvement and mortality: a meta- analytic review. Health Psychology, 9, 211-222.
McCullough, M. E., & Willoughby, B. L. B. (2009). Religion, self-regulation, and self- control: Associations, explanations, and implications. Psychological Bulletin, 135, 69-93.
Miller, L. & Kelley, B. S. (2005). Relationships of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with mental health and psychopathology In R. F. Paloutzian & C. L. Park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pp.460-478). New York: Guilford.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 the quality of life. In Peplau, L. A. & Perman, D.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 Y.: John Wiley &Sons.
Pargament, K. I., Ensing, D. S., Falgout, K., Olsen, H., Reilly, B., Van Haitsma, K., & Warren, R. (1990). God help me: I. Religious coping efforts as predictors of the outcomes to significant negative life even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 793-824.
Pargament, K. I., Koenig, H. G., & Perez. L. M. (2000). The many methods of religious copi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COP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 519- 543.
Peterson, R. A., & Brown, S. P. (2005). On the use of beta coefficients in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175-181.
Powell, L. H., Shahabi, L., & Thoresen, C. E. (2003). Religion and spirituality: Linkages to physic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58, 36- 52.
Richards, P. S., & Bergin, A. E. (1997). A spiritual strategy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osenthal, R.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 638-641.
Rosenthal, R. (1991). In Meta-analytic procedures for social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Ryff, C.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Shadish, W., & Haddock, C. K. (1994). Combining estimates of effect size. In H. Cooper & L. Hedges (Eds.).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NY: Russell Sage Foundation.
Shreve-Neiger, A. K., & Edelstein, B. A. (2004). Religion and anxiety: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 379- 397.
Smith, T. B., McCullough, M. E., & Poll, J. (2003). Religiousness and Depression: Evidence for a Main Effect an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Stressful Life Events. Psychological Bulletin, 129, 614-636.
Spilka, B., & McIntosh, N. D. (1997). The Psychology of religion: Theoretical approaches. Boulder, CO: Westvies.
Wong, Y. J., Rew, L., & Slaikeu, K. D. (2006). Asystematic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adolescent religiosity/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Mental Health Nursing, 27, 161-183.
Tsang, J., & McCullough, M. E. (2003). Measuring religious constructs: A hierarchical approach to construct organization and scale selection. In S. J. Lopez and C. R. Snyder (Eds.),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pp.345-36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Yonker, J, E., Schnabelrauch, C, A., DeHaan, L, 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on psychological outcomes in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 A meta- analytic review. Journal of Adolescence, 35, 299-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