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학교 장면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우울취약성 감소와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School-Based Cognitive-Behavioral Program on Depressive Vulnerability Redu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Promotion in Elementary-School Childre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3, pp.687-711
신현균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실시된 예방적 개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자존감 향상 및 역기능적 태도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기존의 우울취약성 수준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개입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개입효과에 미치는 조절변인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93명의 개입집단과 94명의 통제집단 아동, 총 187명의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개입 사전과 사후에 한국판 아동 역기능적 태도 척도, 자존감 척도와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개입집단은 수업시간에 총 10회기로 구성된 인지행동적 접근과 긍정심리치료를 결합한 구조화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에 역기능적 태도가 더 많이 감소하고 자존감은 더 향상되었다. 또한 개입집단 아동들의 경우, 주관적 안녕감 하위영역 중 정적 효능감이 향상되고, 부적 효능감과 부적 정서는 감소하여 주관적 안녕감의 여러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개입효과에 미치는 우울취약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도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사전 역기능적 태도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경향성을 보여 사전 역기능적 태도 점수가 높았던 아동의 경우에만 프로그램 참여 후 부적 안녕감이 감소되는 경향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 장면에서 실시되는 예방 목적의 프로그램이 일반 아동과 취약한 아동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규명했다는 것이다.

keywords
인지행동 프로그램, 우울취약성, 주관적 안녕감, 역기능적 태도, 자존감, cognitive-behavioral program, depressive vulnerability, subjective well-being, dysfunctional attitudes, self-esteem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a school-based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could redu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promote subjective well-being. It also explored the roles of moderator variables, which could affect the intervention effects, through the analysis of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depressive vulnerability levels. The participants were 187 fifth- and sixth-grade elementary-school students, with 93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program and 94 in the control condition. To measure the intervention effects, I used the Korean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for Children, the Global Self-Esteem Scale and Subjective Well-Being Scale for the pre- and post-tests. This intervention program comprised ten sessions that were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and positive psychotherapy.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s dysfunctional attitudes and a greater improvement in that group's self-esteem than i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negative self-efficacy and negative emotion,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positive self-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showed that the level of pre-dysfunctional attitudes might be a moderator variable affecting intervention effects; that is, the program might be more effective for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re-dysfunctional attitudes than for children with low levels in the reduction of negative well-be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hen administered at school, is effective in both normal and vulnerable children.

keywords
인지행동 프로그램, 우울취약성, 주관적 안녕감, 역기능적 태도, 자존감, cognitive-behavioral program, depressive vulnerability, subjective well-being, dysfunctional attitudes, self-esteem

참고문헌

1.

강영하 (2008). 초등학생의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교육연구, 21(2), 159-177.

2.

곽금주 (1997). 자기지각 검사에 의한 자기개념 연구 (Ⅱ): 자기가치감과 우울 및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0(1), 15-26.

3.

김교헌 (2004). 한국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0, 55-68.

4.

김상아, 박웅섭 (2007). 행복에 초점을 둔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이 입소기간에 따른 시설아동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288-319.

5.

김수현 (2010). 낙관성 향성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 대안적 사고능력과 결과적 사고능력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순복 (2007).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지영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대처양식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9.

김태희, 신현균 (2011).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빈곤 가정 아동의 우울 취약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역기능적 태도와 낮은 자존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0(4), 907-927.

10.

도남희 (2008). 소년소녀가장의 탄력성: 사회적 유능성과 주관적 안녕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1.

박병기, 송정화 (2007). 주관적 안녕의 2X3 다차원 요인구조. 교육심리연구, 21(3), 591- 611.

12.

박영신, 김의철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5(3), 399-429.

13.

서윤주, 신현숙 (2010).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성향적 낙관성,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7(3), 295-313.

14.

신현균 (2009). 아동,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 부모양육방식 및 부정적 자동적사고 간 관계: 연령과 성에 따른 부모양육방식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083-1105.

15.

신현균 (2011). 한국판 아동 역기능적 태도척도(K-DAS-C)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2), 587-601.

16.

윤차선 (2002). 낙관성 훈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선화 (2007).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옥란 (2006). 낙관성 증진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낙관성,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심희옥 (1997).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우울성향: 일상적 스트레스,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3), 133-144.

20.

유슬기 (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낙관성, 부모관련 스트레스, 또래지지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이보람, 박혜준 (2011). 학령기 아동의 주관적인 삶의 질 양상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4(3), 129-152.

22.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3.

이정아, 이인경, 김정원 (2008). 아동인지 및 정신건강;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및 놀이성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 151.

24.

이정숙, 권영란, 김수진, 최봉실 (2007).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6(4), 337-347.

25.

이혜미, 김유미 (2010).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아동교육, 19(3), 185-200.

26.

전경숙, 정태연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5(1), 133-153.

27.

정계숙, 최은아, 강인설 (2008). 아동의 행복 상황 및 판단에 대한 조사 연구: 문화적 특수성 접근. 아동학회지, 29(6), 207-223.

28.

정영은, 강민재, 송광헌, 최영실, 우종민, 채정호 (2008). 긍정심리학 배경의 인지행동치료기법을 이용한 행복증진기법개발- 참가자 만족도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8(2), 51-62.

29.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 (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아동학회지, 30(2), 129-144.

30.

조성진, 전홍진, 김무진, 김장규, 김선욱, 류인균, 등 (2001). 한국 일 도시지역 청소년의 우울 증상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0(4), 627-639.

31.

조수철, 고복자, 김봉석, 김붕년, 김재원, 신민섭, 등 (2005). 2005년도 역학사업보고서 - 서울시 소아청소년 정신장애 유병률 조사. 서울시소아청소년광역정신보건센터.

32.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강지현 (2004).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263-279.

33.

한상철 (2001).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7(1), 1-21.

34.

Avenevoli, S., & Merikangas, K. R. (2006). Implications of high-risk family studies for prevention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1, 126-135.

35.

Beaver, B. R. (2008). A positive approach to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9, 129-136.

36.

Chansky, T. E., & Kendall, P. C. (1997). Social Expectancies and Self-Perceptions in Anxiety- Disordered Childre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1, 347-363.

37.

D'Alessandro, D. U., & Burton, K. D.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for children: tests of Beck's cognitive diathesis-stress theory of depression, of its causal mediation component, and of developmental effec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0, 335-353.

38.

Froh, J. J., Yurkewicz, C., & Kashdan, T. B. (2009).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early adolescence: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Adolescence, 32, 633-650.

39.

Goodyer, I. M., Germany, E., Gowrusankur, J., & Altham, P. (1991), Social influences on the course of anxious and depressive disorders in school-age children.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8, 676-684.

40.

Haraldsson, K. S., Lindgren, E. M., Fridlund, B. G. A., Baigi, A. M. A. E., Lydell, M. C., Marklund, B. R. G. (2008). Evaluation of a school-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me for adolescents aged 12-15 years with focus on well-being related to stress. Public Health, 122, 25-33.

41.

Harter, S., & Connell, J. P. (1984). A structural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achievement and children's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control and motivational orientation in the cognitive domain. In J. Nicholls(Ed.),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Greenwich, CT: JAI Press.

42.

Hollon, S. D., Mun˜oz, R. F., Barlow, D. H., Beardslee, W. R., Bell, C. C., Bernal, G., et al. (2002). Psychosocial intervention develop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promoting innovation and increasing access. Biological Psychiatry, 52, 610-630.

43.

Horowitz, J. L., & Garber, J. (2006). The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3), 401-415.

44.

Jaycox, L. H., Reivich, K. J., Gillham, J., & Seligman, M. E. P. (1994).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school childre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2, 801-816.

45.

Joseph, S., & Linley, P. A. (2009). 긍정심리치료 [Positive therapy: a meta-theory for positive psychological practice]. (이훈진, 김환, 박세란 역). 학지사. (원전은 2006에 출판).

46.

Kendall, P. C. (2006). Child and adolescent therapy: cognitive-behavioral procedures(3rd ed.). The Guilford Press.

47.

Kraai, V., Garnefski, N., de Wilde, E. J., Dijkstra, A., Gebhardt, W., Maes, S., et al. (2003).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bonding and cognitive coping as vulnerability fact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2(3), 185 -193.

48.

Marold, D. B., Harter, S., & Whitesell, N. R. (1993). Dimensions of depression among an inpatient sample of adolescents with psychiatric diagnosis of depression. Unpublished manuscript, Denver University.

49.

Mun˜oz, R. F., Le, H. N., Clarke, G., & Jaycox, L. (2002). Preventing the onset of major depression. in Gotlib, I. H., & Hammen, C. L., (eds.) Handbook of depression (pp. 383-403). New York: Guilford,

50.

Mun˜oz, R. F., Mrazek, P. J., & Haggerty, R. J. (1996). Institute of medicine report on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s-summary and commentary. American Psychologist, 51, 1116- 1122.

51.

Mun˜oz, R. F., Ying Y. W., Bernal, G., Perez-Stable, E. J., Sorensen, J. L., & Hargreaves, W. A. (1995). Prevention of depression with primary car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3, 199-222.

52.

Pattison, C., & Lynd-Stevenson, R. M. (2001). The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immediate and long-term outcomes of a school-based program. Behavior Change, 18, 92- 102.

5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4.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 774-788.

55.

Shochet, I. M. Dadds, M. R., Holland, D., Whitefield, K., Harnett, P. H., & Osgarby, S. M. (2001). The efficacy of a universal school-based program to prevent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 303-315.

56.

Sims, B. E., Nottelmann, E., Koretz, D., & Pearson, J. (2006). Prevention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1, 99-103.

57.

Spence, S. H., & Reinecke, M. A. (2003). Cognitiv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treating child and adolescent depression. In A. T. Beck, M. A. Reinecke, & D. A. Clark (Eds.), Cognitive therapy across the lifespan: evidence and practice (pp.358-3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Spence, S. H., Sheffield, J. K., & Donovan, C. L. (2003). Preventing adolescent depression: an evaluation of the problem solving for life program.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 3-13.

59.

Strauss, C. C., Forehand, R. L., Frame, C., & Smith, K. (1984).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extreme scores on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3, 227-231.

60.

Teri, L. (1982). Depression in adolescence: Its relationship to assertion and various aspects of self-imag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1, 101-106.

61.

Thaper, A., & McGuffin, P. (1994). A twin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ldhood.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5, 259-265.

62.

Tomba, E., Belaise, C., Ottolini, F., Ruini, C., Bravi, A., Albieri, E., et al. (2010). Differential effects of well-being promoting and anxiety-management strategies in a non- clinical school setting.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4, 326-333.

63.

Wood, A. M., Froh, J. J., & Geraghty, A. W. A. (2010). Gratitude and well-being: a review and theoretical integrat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90-905.

64.

Wood, A. M., & Tarrier, M. N. (2010).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a new vision and strategy for integrated research and practice.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19-82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