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개별정서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screte Emotions Scale (D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1, pp.63-89
김송이 (충북대학교)
유성은 (충북대학교)
엄진섭 (충북대학교)
노은여 (University of Notre Dame)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정서단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개별정서 요인들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정서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한덕웅과 강혜자(2000)가 수집한 834개의 단어목록의 정서단어로서의 적절성을 재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 결과와 한덕웅과 강혜자(2000)에서 도출된 정서단어로서의 적절성과 경험빈도의 두 가지 기준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할 146개의 초기단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정서단어 선별을 위해 10명의 대학원생들이 정서단어 카드를 사용한 유사성 분류과제를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도출된 11개의 요인 중 사랑/호감, 연민, 대인관계 안정감/친밀감 요인 세 개를 제외하고 기쁨, 경멸/혐오, 슬픔, 수줍음/수치심, 공포, 죄책감/자기혐오, 성취감, 화로 분류할 수 있는 8개 요인을 대표하는 단어로 구성된 35개의 한국어 정서단어를 최종 선별하였다. 연구 2는 연구 1에서 선별된 정서단어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345명의 대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35문항으로 구성된 개별정서척도와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척도, 차별적 정서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 단축형 행복척도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죄책감/자기혐오, 즐거움, 화/경멸/혐오, 공포, 성취감, 수치심/수줍음, 슬픔의 7요인 구조가 자료와 가장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와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35문항으로 구성된 개별정서척도가 7개의 개별정서 요인들을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함을 밝혔다.

keywords
Discrete Emotions Scale(DES), reliability, validity, emotion structure, 개별정서척도, 신뢰도, 타당도, 정서구조

Abstract

The aim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ere to develop a self-report measure assessing discrete emotions based on Korean emotion words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 preliminary study, 153 undergraduate students evaluated 834 emotion terms collected by Han and Kang(2000)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of appropriateness to be used as emotion terms. A final list of 146 emotion terms to be used in study 1 was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two criteria: the appropriateness as emotion terms determined by the preliminary study and the frequency in which we experience these emotions in our daily lives as reported in Han and Kang(2000). In study 1, an emotion card sorting task was administered to 10 graduate students who were blin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Principle components analyses with varimax rotation yielded 11 factors, from which 3 factors (i.e., love, compassion, and interpersonal stability/intimacy) were eliminated. From the final 8 factors (i.e., enjoyment, contempt/disgust, sadness, guilt/hostility, fear, shame/shyness, feeling of achievement, anger), 35 representative emotion terms were selected to form our Discrete Emotions Scale(DES). In study 2, 345 undergraduate students and community adults completed the Discrete Emotions Scale(DES),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Differential Emotions Scale-Ⅳ(DES-Ⅳ), Symptom Checklist-90(SCL-90), and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Scale(COMOSWB).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the 7 factor structure of guilt/hostility, enjoyment, anger/contempt/disgust, fear, feeling of achievement, shame/shyness, and sadness. Our Discrete Emotions Scale(DES) showed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conclusion, the Discrete Emotions Scale(DES) has a potential to be used as a valid measure of seven discrete emotion factors in Korea.

keywords
Discrete Emotions Scale(DES), reliability, validity, emotion structure, 개별정서척도, 신뢰도, 타당도, 정서구조

참고문헌

1.

강혜자, 한덕웅 (1994). 정서의 공발생 경험 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3(1), 207-218.

2.

구재선, 김의철 (2005). 한국인의 행복한 생활경험과 정서경험: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168-169.

3.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4.

남기숙, 조선미, 이훈진 (2006). 한국어 단어를 기초로 한 수치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063 -1085.

5.

박인조, 민경환 (2005).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 작성과 차원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09-129.

6.

서상규 (1998). 현대 한국어의 어휘 빈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7.

서은국, 구재선 (2011).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5-113.

8.

안신호, 이승혜, 권오식 (1993). 정서의 구조: 한국어 정서단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7(1), 107-123.

9.

이만영, 이흥철 (1990). 형용사 서술 의미의 구조에 관한 연구: 정서관련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 118 -138.

10.

이선화, 김보미, 유성은 (2012). 차별적 정서척도(DES-Ⅳ)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147-167.

11.

이준웅, 송현주, 나은경, 김현석 (2008). 정서 단어 분류를 통한 정서의 구성 차원 및 위계적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1), 85-116.

12.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 -946.

13.

한덕웅, 강혜자 (2000). 한국어 정서 용어들의 적절성과 경험 빈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2), 63-99.

14.

홍창희 (2004). 한국 정서경험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771-787.

15.

Bagozzi, R. P., Wong, N., & Yi, Y. (1999). The role of culture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Cognition and Emotion, 13, 641-672.

16.

Chen, X., Rubin, K. H., Li, B-S., & Li, D. (1999). Adolescent outcomes of socail functioning in Chinese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ahavioral Development, 23, 199-223.

17.

Derogatis, L. R. (1977). Scl-90(Revised) ManualⅠ.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8.

Diener, E., Smith, H., & Fujita, F. (1995).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130-141.

19.

Eid, M., & Diener, E. (2001). Norms for experiencing emotions in different cultures: Inter- and intranational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 869-885.

20.

Ekman, P., & Cordaro, D. (2011). What is meant by calling emotions basic. Emotion Review, 3, 364-370.

21.

Ekman, P., Sorenson, E. R., & Friesen W. V. (1969). Pan-Cultural Elements in Facial Displays of Emotion. Science, 164(3875), 86 -88.

22.

Hutcherson, C. A., & Gross, J. J. (2011). The moral emotions: A social-functionalist account of anger, disgust, and contem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 719-737.

23.

Izard, C. E. (1977). Human Emotions. New York: Plenum Press.

24.

Izard, C. E., Libero, D. Z., Putnam, R., & Haynes, O. M. (1993). Stability of emotion experiences and their relations to traits of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847-860.

25.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26.

Rapee, R. M., Kim, J., Wang, J., Liu, X., Hofmann, S. G., Chen, J., Oh, K. Y., Bogels, S. M., Arman, S., Heinrichs, N., & Alden, L. E. (2011). Perceived impact of socially anxious behaviors on individuals' lives in Western and East Asian Countries. Behavior Therapy, 42, 485-492.

27.

Scherer, K. R., & Wallbott, J. G. (1994). Evidence for universality and cultural variation of differential emotion response patter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310-328.

28.

Scollon, C. N., Diener, E., Oishi, S., & Biswas-Diener, R. (2004). Emotions across cultures and method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5, 304-326.

29.

Scollon, C. N., Diener, E., Oishi, S., & Biswas-Diener, R. (2005). An experience sampling and cross-cultur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pleasant and unpleasant affect. Cognition and Emotion, 19, 27-52.

30.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4). Cross-cultural convergence in the structure of mood: A Japanese replication and a comparison with U.S. find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27-144.

31.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