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Perceived Conflict with Spouse and Adult Children of the Korean Elderl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2, pp.389-409
서수균 (부산대학교)
이윤희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안정신 (부산대학교)
정영숙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이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갈등을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노년기의 주된 대인관계인 부부와 성인자녀 사이에서 노인이 경험하는 갈등을 탐색한 후, 갈등 영역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0세 이상 남자 노인 53명, 여자 노인 62명, 총 115명(평균연령 68.99)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이 경험하는 부부갈등은 부부관계 영역, 공동생활 영역, 개인 내 영역, 부부 외 가족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노인은 부부관계 영역에서 여자 노인보다 더 많은 갈등을, 여자 노인은 개인 내 영역에서 남자 노인보다 더 많은 갈등을 겪고 있었다. 셋째, 노인이 경험하는 성인자녀와의 갈등은 관계 영역, 자녀의 자립 및 자기관리 영역, 손자녀 문제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 노인은 관계 영역, 자녀의 자립 및 자기관리 영역, 손자녀 문제 영역 모두에서 남자 노인보다 성인자녀와의 사이에서 갈등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keywords
노인, 부부 갈등, 성인자녀 갈등, 탐색적 연구, elderly, conflict with spouse, conflict with adult children, exploratory study

Abstract

This study was purposed to explore Korean elderly's conflict with 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we examined elderly's conflicts with spouse and adult children that were elderly's primary personal relationships. confirmed the areas of conflict, and tested gender differences of it. 115 elderly people(the average age 68.99) who were over 60 years old, had a spouse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reas of marital conflict in the elderly consisted of marital relationships, communal living, intra-individual, relationships of other family except spouse relationship. Second, in marital conflict, men and women differed from two areas of marital relationship and intra-individual. Third, areas of conflict with adult children consisted of relationships, chlidren‘s independence and self-management, grandchildren. Fourth, in conflict with adult children, in all areas, women was experienced more conflict.

keywords
노인, 부부 갈등, 성인자녀 갈등, 탐색적 연구, elderly, conflict with spouse, conflict with adult children, exploratory study

참고문헌

1.

강 인 (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 95-116.

2.

강주령 (1990). 노년기 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강혜원 (2011).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연구: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경신 (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 노년, 중년,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5.

김경신, 이선미 (2003).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1(1), 139- 153.

6.

김길현, 하규수 (2012).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256-271.

7.

김귀애, 홍창희 (2012). 성인 자녀와의 갈등과 통제 전략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03-321.

8.

김명자, 이윤정 (1995). 성인자녀의 노부모 부양분담정도와 부양에 따른 부담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 125-137.

9.

김미령 (2012).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2, 1-27.

10.

김양희, 이형실 (1997). 결혼과 가족. 서울: 중앙대 출판부.

11.

김영자 (1992). 도시 지역 주민이 경험한 부부 간의 갈등요인, 갈등정도, 정신건강상태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김은정 (2008). 여성노인의 생애구술을 중심으로 본 노년기 자아정체성의 형성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0(1), 27- 67.

13.

김재엽 (1998). 한국노인부부의 부부폭력실태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18(1), 170-183.

14.

김재엽, 김동배, 최선희 (1998). 노인부부의 스트레스와 갈등, 우울증, 그리고 권력. 한국노년학, 18(3), 103-122.

15.

김지영, 허성호, 고해리 (2005). 한국사회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 그 문제점: 부모와 성인자녀 간의 세대간 갈등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50-351.

16.

김태현 (1998). 노년학. 서울: 교문사.

17.

김태현, 전길양 (1997). 노년기 부부의 상호간 지지와 역할공유 및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7(2), 167-182.

18.

김희국 (2010).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음주문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1(2), 95-106.

19.

노치영 (1995). 한국 부부의 부부문제해결과정: 자아상태, 문제인지, 문제해결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민무숙 (1995). 노모와 성인 딸/며느리 간의 상호원조 유형이 부양부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1), 74-90.

21.

박경란, 이영숙 (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22.

박인욱, 엄기욱 (2007). 노부모의 의존성이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아동기 피학대경험과 부모부양의식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7(1), 179-194.

23.

변화순 (1999). 노인의 부부관계.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노인과 한국사회, 33-70,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24.

서병숙, 이신숙 (1991). 농촌 기혼여성 노부모 부양 의식 부양 수행도. 한국노년학. 11(2), 191-211.

25.

서병숙, 이신숙 (1993a). 부양자 스트레스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3(1), 39- 54.

26.

서병숙, 이신숙 (1993b). 기혼여성의 노모 부양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4), 67-81.

27.

서병숙, 이신숙 (1994). 기혼여성(며느리, 딸)의 노부모 부양스트레스와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4), 57-71.

28.

성혜영, 유정헌 (2002).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22(2), 75-93.

29.

송다영 (2004). 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 지원정책 방향성: 기혼여성의 부양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207-233.

30.

송다영, 김미경 (2003). 여성의 취업실태별 노인부양부담과 역할갈등. 한국여성학. 19(2), 145-176.

31.

송성자 (2002). 한국가족문화와 가족치료. 한국사회복지논문집, 6:105-122.

32.

송현애, 김순옥 (1988). 부양을 중심으로 한 노모 성인자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6(2), 83-101.

33.

신일진, 김태현 (1991).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27-44.

34.

안정신 (2005).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전생애 발달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년학, 25(2), 245-266.

35.

안정신, 정영숙, 정여진, 서수균, Cooney, M. T. (2011). 성공적 노화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3), 35-54.

36.

오진주 (1998). 노인의 성생활 경험에 대한 서술적 연구. 대한보건간호학회, 12(2), 236- 251.

37.

옥경희 (1996).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 부양: 의무에서 성숙의 차원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265-276.

38.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39.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0.

이영자, 김태현 (1992). 노인 부양자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할머니와 며느리의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12(1), 1-18.

41.

이윤정, 이신숙, 신효식 (1994).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갈등 및 우울에 관한 연구. 가정과학연구. 4, 41-56.

42.

이정화, 한경혜 (2000). 농촌지역 며느리의 부양의식이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1), 169-182.

43.

이희자, 김영미 (1996). 청소년의 부모 부양의식과 중년기 부모의 노후 준비도. 대한가정학회지, 34(2), 117-128.

44.

전길량 (1993). 노모와 성인 딸 간의 상호작용과 부양기대감-부양기대요인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전길양, 임선영 (1998). 노년기 부부갈등과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6), 1-12.

46.

전지혜 (2012). 노인의 관계욕구와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7.

정경희, 오영희, 석재은, 도세록, 김찬우, 이윤경, 김희경 (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48.

정여진, 안정신 (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3(4), 143-161.

49.

정연표, 이홍직 (2011). 노년기 부부의 결혼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RI 연구논총. 13(2), 151-180.

50.

조경자, 한동희, 조은희 (1996) 노부모와 기혼자녀의 동거관계에서 발생하는 세대간 갈등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6), 261-273.

51.

천혜정, 최혜경, 강 인 (2006). 결혼 지속 연수에 따른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 방법의 차이와 결혼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179-202.

52.

최상진, 이장주 (1999). 정(情)의 심리적 구조와 사회. 문화적 기능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219-234.

53.

최정혜 (1992).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4.

최정혜 (1993).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들의 성인자녀와의 갈등 비교. 한국노년학연구. 2, 55-63.

55.

최재석 (1982). 한국가족 연구. 일지사.

56.

최혜경 (2008).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145-168.

57.

통계청 (2005). http://Kosis.kr. E통계자료실.

58.

통계청 (2010). 고령자 통계. 서울: 통계청.

59.

한경혜, 홍진국 (2000). 세대 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가족과 문화, 12(2), 55-80.

6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6). 가족 내 돌봄노동 실태조사. 2006 연구보고서-2.

61.

한은주, 김태현 (1994). 가족주의 가치관에 따른 부양만족도와 부양부담도. 한국노년학. 14(1), 95-116.

62.

홍달아기, 동환숙 (1996). 성인자녀-노부모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논문집. 32(2), 571- 588.

63.

홍숙자, 이형실, 전길양 (1995). 성인자녀를 위한 노인부양 교육프로그램. 대한가정학회지. 33(5), 197-209.

64.

Ade-Ridder, L. (1990). Sexuality and marital quality among older married couples. H. Brubaker (Ed.), Family relationships in later life. BeverlyHills, CA: Sage.

65.

Ade-Rider, L. & T. H. Brubaker (1983). The quality of long-termmarriagers. T. H. Brubaker (Ed) Family relationships in later life, Sage Publications, 21-30.

66.

Allen, K. R., Blieszner, R. & Roberto, K. A. (2000). Families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A re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in the 1990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911-926.

67.

Antonucci, T. C. (1985). Social support Theoretical advances, recent findings and pressing issues. In L. G. Sarason & B. R. Sarason (Eds.),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Boston: Nijhoff.

68.

Antonucci, T. C., & Akiyama, H. (1997). Concern with others ot midlife; Care, comfort or compromise? In M. E. Lachman & J. B. James (Eds.), Multiple paths of midlife development (pp.145-170).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9.

Atchley R. C. (1994). Social Forces &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Belmont, CA: Wadsworth Publishers.

70.

Bernsten, D. (2002). Tunnel memories for autographical events: Central details are remembered more frequently from shocking than from happy experiences. Memory & Cognition, 30, 1010-1020.

71.

Ikkink, K. K, & Tilburg, T. V. (1999). Perceived instrumental support ex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elderly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Normative and structural explan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4), 831-844.

72.

Lee, G., & Shehan, C. (1989). Retire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4, S226-230.

73.

Marks, S.R. (1989). Toward a systems theory of marital qua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1), 15-26.

74.

McCulloch, B. J. (1990). The relationship of intergenerational reciprocity of aid to the morale of older parents: Equity and exchange theory comparisons, Journal of Gerontology, 45(4)

75.

Rozin, P., & Royzman, E. B. (2001). Negativity bias, negativity dominance, and contag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 296-320.

76.

Seelbach, W. C. (1978). Correlates of aged parents’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relations, The Family coordinator, 27(4), 342.

77.

Suitor, J. J. & Pillemer (1988). Explain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en adult-children and elderly parents live together.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0, 1037-1047.

78.

Wagner, C. C., Kiesler, D. J., & Schmidt, J. A. (1995). Assessing the interpersonal transaction cycle: Convergence of action and reaction interpersonal circumplex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938-949.

79.

Walker, W. R., Skowronski, J, J., Gibbons, J. A., Vogl, R. J., & Thompson, C. P. (2003). On the emotions that accompany autobiographical memories: Dysphoria disrupts the fading affect bias. Congintion & Emotion, 17, 703-72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