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적대감 사이에서 부적응적 대처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ping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Hostilit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3, pp.533-548
김은혜 (부산대학교)
서수균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적대감 사이에서 부적응적인 인지 및 행동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자기비난,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 부적응적인 분노대처행동(회피, 공격적 표현), 적대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현적 자기애성향은 부적응적인 인지 및 행동적 대처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2)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적응적인 인지 및 행동적 대처는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적대감 사이를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내현적 자기애성향자들의 적대감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이들이 사용하는 부적응적 대처에 대한 인지적․행동적인 치료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keywords
내현적 자기애성향, 부적응적인 인지 및 행동적 대처, 적대감, covert narcissism, maladap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coping, hostility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coping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hostility were exploratively examined in this study. Covert Narcissism,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Self blame, Blaming others, Rumination, Catastrophizing), Maladaptive Anger Coping Behavior(Avoidance, Aggressive expression) and Hostility were measured from 404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vert narciss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ladap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coping. 2) maladap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coping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hostility as the verification results about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procedure which a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gnitive and behavioral therapeutic intervention such as stopping catastrophizing or avoidant coping patterns be effective for covert narcissistic individuals in order to help themselves lower their level of hostility.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 at the point of understanding cle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hostility.

keywords
내현적 자기애성향, 부적응적인 인지 및 행동적 대처, 적대감, covert narcissism, maladap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coping, hostility

참고문헌

1.

강문선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내면화된 수치심 관계에서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0-990.

3.

고은경 (2011). 내현적 자기애와 편집성향간의 관계: 자존감과 분노표현양식,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5.

김계령 (1997). 자기애적 성격과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진희 (2011). 청소년의 자기애성향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55-266.

9.

박지영 (2009). 남녀 중학생의 스트레스, 분노, 대처행동과 또래 괴롭힘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백승혜 (2004).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선이 (2007).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조절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수균 (2007). 자존감과 자기애 수준에 따른 분노사고, 신념, 분노표현의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719-734.

13.

서수균 (2012). 공격성 및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3), 849-867.

14.

서수균, 권석만 (200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87-501.

15.

서수균, 김윤희 (2010). 대학생용 분노대처행동 척도 개발과 그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973-992.

16.

신혜인 (2009).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정서경험특성과 정서조절방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승현 (2011).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원희 (2001). 자기애와 완벽주의, 적대감 및 자기 효능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463-477.

20.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21.

정남운 (2001). 과민성 자기애 척도(HSNS)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93-216.

22.

조은영 (2011).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특성과 전위공격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차타순 (2002). 자기애적 성격성향자의 자존감과 적대감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4(1), 95-114.

24.

최승미 (2012).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분노표현양식, 방어기제유형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최정인 (2009). 평가적 피드백에 따른 자기애성향자의 자존감 변화 및 정서조절방략.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6.

Buss, A., & Perry, M. (1992).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4), 452-459.

27.

Cooper, A. (2000). Further developments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F. Elsa, & E. Ronningstam(Eds), Disorders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London: Jason Aronson Inc.

28.

Cooper, A, M. & Ronningstam, E. (2002). Narcissic personality disorder. In A. Tasman, & M, B. Roba(Eds.) American psychiatric press review of psychiatry, 11(pp.80-9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29.

Gabbard, G. O. (1989). Two subtype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Bulletin of the Menninger Clinic, 53, 527-532.

30.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31.

Hart, P. L., & Joubert, C. E. (1996). Narcissism and hostility, Psychological Reports, 79, 161-162.

32.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ity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588-599.

33.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34.

Lasch, C. L. (1976). The culture of narcissism. New York: Norton.

35.

Lazarus, R.,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36.

McCann, J. M., & Biaggio, M. K. (1989). Narcissistic personality features and self- reported anger. Psychological Reports, 64, 55-58.

37.

Patalano, F. (1997). Narcissism and hostility. Psychological Reports, 80, 289-290.

38.

Rathvon, N., & Holmstrom, R. W. (1996). An MMPI-2 portrait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1), 1-19.

39.

Rhodewalt, F., & Morf, C. C. (1998). On self-aggrandizement and anger: A temporal analysis of narcissism and affective reactions to success and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3), 672-685.

40.

Robbins, S. B., & Dupont, P. (1992). Narcissistic needs of the self and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4), 462-467.

41.

Rose, P. (2002).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379-391.

42.

Spielberger, C. D., Jacobs, G. A., Russell, S., & Crane, R. S.(1983).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2, N.J; LEA, 159-187.

43.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590-59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