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업무환경 위험요소가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개인자존감과 집단자존감의 역할

The Effect of Occupational Stress on Counselor Burnout: The Role of Person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3, pp.755-775
장미화 (가톨릭대학교)
유금란 (가톨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업무환경 위험요소, 개인자존감 및 집단자존감, 상담자 소진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 1년 이상의 상담자 243명의 설문자료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첫째,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업무환경 위험요소와 두 자존감들의 관계를 가정한 연구 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에서 집단자존감이 상담자소진에 미치는 경로계수가 유의하지 않아 수정을 통하여 최종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모형에 따르면 업무환경 위험요소는 개인자존감을 매개하여 상담자 소진에 영향을 주었으나,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개인자존감은 집단자존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이 영향이 소진에까지 미치지는 못하였다. 둘째, 경력 3년을 기준으로 초심과 경력 상담자로 구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최종모형의 적용성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에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 상담자의 경우 초심 상담자와 비교하여 업무환경 위험요소가 개인 및 집단 자존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personal self-esteem, collective self-esteem, counselor burnout, occupational stress, 개인자존감, 집단자존감, 상담자 소진, 업무환경 위험요소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personal self-esteem and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burnout and occupational stres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43 counselors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the occupational stress, personal self-esteem, collective self-esteem and burnout. The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us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sonal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but collective self-esteem did not.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final model can be used both novice and experienced counselors groups in the same way. When counselors have high level of personal self-esteem, they experience low level of burnout.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sonal self-esteem could be a preventive factor for counselor's burnou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personal self-esteem, collective self-esteem, counselor burnout, occupational stress, 개인자존감, 집단자존감, 상담자 소진, 업무환경 위험요소

참고문헌

1.

권이경 (2004). 상담종결경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명아 (2010). 집단자존감과 역전이 관리능력이 초심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

김지경, 박수애, 이훈구 (1999). 개인자아존중감과 집단지위가 집단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53-63.

5.

김혜숙 (1994). 한국 집단자아존중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8, 103-116.

6.

박성호 (2001).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박정해 (2006).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안녕 및 상담자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희현 (2005).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burnout) 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박희현 (2006). 상담자의 의욕상실 관련변인 고찰. 놀이치료연구, 10(1), 19-34.

10.

박희현, 김광웅 (2006).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에 대한 상담자 개인적 특성의 영향. 아동학회지, 27(3), 29-51.

11.

배병렬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2.

성태제 (2007). 알기 쉬운 통계분석: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서울: 학지사.

13.

송지준 (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 21세기사.

14.

어주경 (1999).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여선영 (2005).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우종필 (2009). 구조방정식 모델에서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적용. 2009 AMOS Day 세미나 자료집.

17.

유성경, 박성호 (2002). 상담환경의 위험 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389-400.

18.

윤아랑, 정남운 (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19.

윤부성 (2000). 아내학대 관련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윤은주 (2008). 상담자의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이영준 (1991). 다변량 분석. 서울: 석정.

22.

이주리 (1994). 아동의 역량지각과 관련변인들 간의 인과모형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2(4), 193-208.

23.

이자영, 남숙경, 박희락, 김동현, 이미경, 이상민 (2008). 상담경력과 상담자 소진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23-42.

24.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1999). 상담심리학의 기초. 서울: 학지사.

25.

임정임 (2012). 청소년동반자의 성격 5요인 및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전병제 (1974).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 109-129.

27.

정경빈 (2009). 초보상담자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

차재호, 정지원 (1993).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집합주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7(1), 150-163.

29.

최미례, 이인혜 (2003).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와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63- 383.

30.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81-598.

31.

최혜윤 (2002).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2.

최혜윤, 정남운 (2002).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33.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4.

홍세희 (2001).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와 응용, 워크샵 교재. Departments of Education and Psycholos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35.

Arricale, F. (2001). A study of burnout of counselors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36.

Beutler, L. E., Crago, M., & Arizmendi, T. G. (1986). Therapist variables in psychotherapy process and outcome. In Garfield S. L. & Bergin A. E. (Ed.).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3rd), 257-310. New York: Wiley & Sons.

37.

Biihler, K. E., & Land, T. (2003). Burnout and personality in intensive care: An empirical study. Hospitial Topics: Research and Perspectives in Healthcare, 81, 5-12.

38.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39.

Cole, D. A. & Turner, H. E. (1993). Models of cognitive mediation and moderation in chil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 271-281.

40.

Crocker, J., & Luhtanen, R. (1990 a). Collective self-esteem and ingroup bia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55-66.

41.

Crocker, J., & Luhtanen, R., Baine, B., & Broadna, S. (1994). Collectiv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white, Black, and Asia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Bullutin, 20, 503-513.

42.

Cherniss, C. (1980).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 human services. Beverley Hills: Sage Publications.

4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Lawrence Erlbaum.

44.

Corey, M. S., & Corey, G. (1989).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

45.

Daley. (1979). Preventing Worker Burnout in child welfare.. Child welfare.

46.

Delia, C., & Patrick, T. (1996). Stress in clinical psychologis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42, 141-149.

47.

Edelwich, A., & Brodsky, D. (1980). Burnout: Stage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 NY : Pergamon Press.

48.

Farber, B. A., & Heifetz, L. J. (1982). The process and dimensions of burnout in psychotherapis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 Practice, 13, 293-301.

49.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 150-165.

50.

Freudenberger, H. J. (1975). The Staff burnout syndrome in alternative institutions. Psychotherapy, 12, 73-82.

51.

Golembiewski, R. T. & Kim. (1989). A note on Leiter's study: HIGHLIGHTING TWO MODELS OF BURNOUT, Group & Organization Studies, 14(1).

52.

Gover, J. (1991). Building self-esteem. ERIC Information service, No.373, 298.

53.

Gurman, A. S. (1977). Therapist and patient factors influencing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rapeutic conditions. Psychiatry, 40, 16-24.

54.

Hubble, M. A., Duncan, B. L., & Miller, S. D. (1999). The heart and Soul of Chang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55.

Jayaratne, S., & Chess, W. A. (1981).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social work. NY: Fergamon.

56.

Kim, B, S., Omizio, M. M. (2005). Asian and European American cultural values, Collective self-esteem, acculturative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and general self-efficacy among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412-419.

57.

Kottler, J. A. (1993). On being a therapist (rev.de.). SanFrancisco, Co: Jossey-Bass.

58.

Lee, S. M., Baker, C. R., Cho, S. H., Heckathorn, D. E., Holland, M. W., Newgent, R. A., et al. (2007).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burnout in professional counselors. Measurement and Evaluatio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0(3), 142-154.

59.

Luhtanen, R., & Crocker, J. (1990). A collective self-esteem scale: Self-evaluation of one's social ident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3), 301-318.

60.

Maslac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New York: Prentice Hall.

61.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Research edition.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62.

Mussen, P. H., Conger, J. J., Kangn J. & Huston, A. C. (1984). Child Development and personality (6th Ed), New York: Harper & Row Pub.

63.

Norcross, J. C. (2000). Psychotherapist self-care: Practitioner-tested, research-informed strategi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1(6), 710-713.

64.

Pines, A. M. (2002). Teacher burnout: A psychodynamics existential perspective.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8, 121-140.

65.

Pines, A. M. (2004). Adult attachment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burnout: A preliminary, cross cultural investigation. Work & Stress, 18, 66-80.

66.

Raquepaw, J. M., & Miller, R. S. (1989). Psychotherapist burnout: A componential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 Practice, 20, 32-36.

67.

Rosenberg, M. (1962).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8.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MA: Allyn & Bacon.

69.

Skovholt, T. M., & Ronnestad, M. H. (1992).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 505-515.

70.

Tajfel, H. (1982).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3, 1-39.

71.

Tucker, L. R., & Lewis, C.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 1-10.

72.

University of Colorado Colorado springs. (n. d.) http://www.uccs.edu/~faculty/lbecker/.

73.

Youngsin Kim (2012). Music therapists' job satisfaction, collective self-esteem, and burnout. The Arts in Psychotherapy, 29(1), 66-71.

74.

Yu, K. (2007). A Cross-cultural Validation Study on Counselor Burnout: A Korean Samp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Arkansas, U.S.A.

75.

Yu, K. (2008). The Role of Counselor's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ounselor Burnout. 교육방법연구, 20(1), 197-213.

76.

Veninga, R. L. & Sparadley, J. P. (1981). The Word-Stress Connection, 6-13. Boston: Little, Brow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