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비행입문과정 학생조종사의 비행교수에 대한 바람직한 특성지각 및 소통노력 연구

The Research of Intro-Level Student Pilots’ Desired Traits from the Aviation Professors and the Students’ Efforts to Communic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4, pp.949-966
윤유경 (공군사관학교)
김영호 (공군사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비행교육 특성상 학생조종사와 비행교수의 상호작용이 중요함에 따라 학생조종사가 비행교수에 대해 지각하는 바람직한 특성 및 소통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비행입문과정 학생조종사 91명을 대상으로 학생조종사가 지각하는 비행교수의 바람직한 특성과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 학생조종사들이 비행교수와 소통을 위해 노력하는 정도를 요인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조종사가 비행교수에 대해 바람직한 특성으로 지각하는 요인은 수용성, 확신감이었으며 학생조종사가 비행교수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각하는 요인은 소통부족, 부정적 정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조종사들이 비행교수와 소통을 위한 노력요인들은 소통기회 마련, 궁정정서이었으며 이러한 노력이 비행성적과 관련되는지 분석한 결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따라서 학생조종사가 비행교수와 소통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임에도 불구하고 비행교육에서 노력의 효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조종적성에 대한 규명 및 규준의 제시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비행입문과정, 학생조종사, 비행성적, 요인분석, 심리검사, entering flight training course, student pilots, flight results,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test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traits of the aviation professors that the intro level students desire and also the students’ efforts to communicate with the professors 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 and the professor is important in the aviation training due to the training’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91 intro-level student pilot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desired and undesired traits of the aviation professors from the students, and the level of effort the students put in to communicate with the professor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the desired traits include acceptive teaching style and confidence while the undesired traits include negative emotions and lack of communication. The efforts students made to communicate with the professors were creating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thorough preparation for the flight, and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 but the analysis found out that there was no evidence that these efforts have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with the aviation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despite the efforts student pilots make to communicate with the aviation professors, these efforts turned out to have no effect and therefore the aviation aptitude henceforth calls for an urgent investigation.

keywords
비행입문과정, 학생조종사, 비행성적, 요인분석, 심리검사, entering flight training course, student pilots, flight results,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test

참고문헌

1.

강한태, 최성옥 (2000). 성격특성과 초등비행교육 성적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 공학회 춘계학술대회, 129-132.

2.

공군사관학교 (2001). 공군사관학교 요람. 공군교재창, 277-281.

3.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4.

김동균, 김근수, 유도상, 김정운 (2012). 비행입문과정 학생조종사들의 자기관리 행동이 비행 성적에 미치는 영향. 공사논문집, 제63집 제2권, 427-440.

5.

김동균, 전상윤 (2003). 심리적 요인이 비행교육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4), 37-50.

6.

김동균, 홍길동 (1999). 심리적 요인과 초등비행 훈련성적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0(2), 1999. 159-169.

7.

김도형, 손영우 (2006). 성격유형에 따른 확신수준 및 반응편향-비행 상황인식 과제를 중심 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1), 85-104.

8.

김성민 (2005). 교관과 학생조종사간의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에니어그램 적용방안 연구.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택, 심헤숙 (2007). MBTI 성격유형검사, 어세스타.

10.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69-142.

11.

김칠영, 정재훈 (1999). Enneagram에 의한 조종사 성격특성과 선호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항공운항학회지, 12, 39-50.

12.

손소영, 조용관, 최성옥, 김영준 (2007). 단계별 비행교육 성공 및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829-832.

13.

양재학 (2006). 성격유형에 적합한 교관관리와 효과적인 비행교수법에 관한 연구: 에니어그 램 이론을 활용한 공군비행교육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연세대학교 항공전략연구원 (2013). 조종적성 진단 모형개발 자문회의. 미간행.

15.

윤유경, 김영호 (2013). 입문과정 학생조종사의 심리적 특성과 비행성적의 관련성 연구. 미간행.

16.

윤지연, 최승혁, 허태균 (2013). 여가강박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2), 235-257.

17.

이달호, 김진호 (1999). 조종적성검사 항목의 비행교육 성취도 예측력에 관한 연구. 대한인 간공학회 학술논문집. Vol.1999-1. 175-179.

18.

이순묵 (1994). 요인분석의 관행과 문제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7(1), 1-27.

19.

이종선, 조현주 (2012). 한국판 내적 속박감 및 외적 속박감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239-259.

20.

장민식, 최성옥 (1999). 조종사적성검사의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운항학회지, 제7권, 31-42.

21.

주헤선, 안현의 (2013). 자서전적 외상 기억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151-175.

22.

최일규, 최연철 (2003). 조종학생의 학업성적과 조종실기성적에 대한 담당교수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항공운항학회지, 11(1), 1-14.

23.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4.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2(2), 122-147.

25.

Bandura, A. (1984). Recycling misconceptions of perceived self-efficac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8(3), 231-255.

26.

Bandura, A. (1993). Self-regulatory Mechanisms. Government Gender Development.

27.

Duran, T. (2011). Military Flight Aptitude Test. Hanppange, N.Y.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28.

Fabisch, H. C. (2012). Pilot Aptitude Test(PA). IATA Training and Qualification Initiative(ITQI).

29.

Gould, D. (1982). Fostering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young athletics: A relation. In T. Orlidk, J. T. Partington, & J. H. Salmela(Eds). Mental Training for Coaches & Athletes, Ottawa, Ontario: Sport in Perspective.

30.

ICAO, Doc 9684 (2005). Human Factor Training Manual.

31.

ICAO, Doc 9859 (2009). Safety Management Manual(SMM).

32.

McAuley, E. (1985). Modeling and self-efficacy: A test of Bandura's mode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7, 283-295.

33.

Myers, I. B. (1962).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4.

Smallwoood, Tony, Michael Fraser (1995). The Airline Training Pilot. Aschgate Publishing.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