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The Effect of Occupational Stress and Personal Protective Factors on Counselor Burnou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4, pp.967-988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 and protective factors' relative influence upon counselors' burnout and the pathwa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which six protective factors(self-esteem, self-efficacy,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mindfulness, empathy) have with risk factor(job circumstance) and burnout, the degree of influence each factors has on burnout, and the most suitable path model were identified. The result shows that risk factor had positive corelation with burnout and protective factors had negative corelation with burnout. The order of power influence was in order of job circumstance, mindfulness and searching for meaning in life. Also, as the pathway model, risk factor→individual internal personality factors→ individual internal non-personality factors→resilient factor(burnout), was selected for the final model.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소진 보호요인, 소진 위험요인, 상담자 소진, 소진 경로, protective factors for counselor's burnout, risk factors for counselor's burnout, counselor's burnout, the path of burnout

Reference

1.

강민서 (2011). 정서명료성, 마음챙김 그리고 심리적 수용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적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소영 (2006). 임상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구형모, 황순택, 김지혜 (2001). 자아탄력집단의 성격특질.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3). 569-581.

4.

국은선 (2011). 상담자 지혜와 발달수준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례개념화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권재환, 박희현 (2010). 아동상담자의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39-53.

6.

김미경 (1998). 공감훈련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공감반응수준 및 내담자의 지각된 공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민숙 (2012). 상담교사의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담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정모 (2006). 한국판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123_1139.

9.

김정희 (1987). 知覺된 스트레스, 認知세트 및 對處方式의 憂鬱에 대한 作用: 大學新入生의 스트레스 經驗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진수 (2006). 호텔 종사원의 역할 스트레스와 긴장・소진 간의 관계.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택호 (2004).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현미, 최인화, 권현용 (2010). 청소년 상담자의 직무환경, 자아탄력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 논총, 15(2), 173-194.

13.

노안영, 강영신 (2003). 성격심리학. 서울: 학지사

14.

박성현 (2006). 마음챙김척도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15.

박성호 (2001).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성희 (1994). 공감, 공감적 이해. 서울: 원미사

17.

박현선 (1998). 빈곤 청소년의 학교 적응 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18.

송지준 (2011).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19.

신민정 (2007).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공감피로, 소진, 공감만족에 관한 인식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심지은 (2008). 상담자의 마음챙김, 공감 및 역전이 관리 능력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심지은, 윤호균 (2008). 상담자 교육에서의 마음챙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307-328.

22.

안창규 (1997). NEO-PI-R 성격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1), 443-472.

23.

오은화 (2010). 상담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유성경, 박성호 (2002).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389-401.

25.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지, 18(1), 393-409.

26.

윤부성 (2000). 아내학대 관련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7.

윤아랑 (2012). 소진 탄력적인 상담자 집단 특성. 인간이해, 33(2), 159-180.

28.

윤아랑, 정남운 (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29.

윤유경 (1996).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윤혜미, 박병금 (2004).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 3, 279-301.

31.

이영미, 성규탁 (1991). 우리나라 사회사업가들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8, 25-60

32.

이임천, 이상희 (2010). 청소년 동반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효과. 인간이해, 31(2).

33.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1999). 상담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34.

이주희 (1999). 취업부부의 역할갈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및 성역할정체감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이해리 (2007).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적응: 유연성의 역할.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이혜련 (2004). 직업상담원의 소진현상과 작업환경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대학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희경 (2007).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751- 766.

38.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39.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81-598.

40.

홍미혜 (1999).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수준이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42.

홍혜영 (1994).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Bachelor (1999). The heart and soul of change: What works in therapy., 133-17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4.

Billings, A. G. & Moos, R. H. (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4), 877-891.

45.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46.

Boyas, J. & Wind, L. H. (2009). Employment- based social capital, job stress, and employee burnout: A public child welfare employee structural model.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2, 380-388.

47.

Brewer, W. & Clippard, L. F. (2002).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tudent supports services personn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3(2), 169-186.

48.

Brill, P. L. (1984). The need for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burnout, Family and Community Health, 6, 12-24.

49.

Brockner, J. (1988).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low self-esteem individuals: An attributional approac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 642-656.

50.

Brooks-Gunn., J., Klebanov, P. K., & Liaw, F. (1995). The Learning, Physical, and Emotional Environment of the Home in the Context of Poverty: The Infant Health and Development Program.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7, 1-2.

51.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52.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53.

Compas, B. E., Hinden, B. R., & Gerhardt, C. A. (1995). Adolescent development: Pathway and processes of risk and resil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6, 265-293.

54.

Corey. G. (1996).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조현재 외 1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55.

Edelwich, J. & Broadsky, A. (1980).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56.

Farber, B. A. & Heifetz, L. J. (1982). The Process and Dimensions of Burnout in Psychotherapists, Professional Psychology, 13(2), 293-301.

57.

Figley, C. R. (1995). Compassion fatigue: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the costs of car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Self-care issues for clinicians, researchers, and educators. Lutherville, MD: Sidran Press.

58.

Grossman, P., Niemann, L., Schmidt, S., & Walach, H. (2004).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health benefits: A meta-analysi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 35-43.

59.

Hernandez, L. P. (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60.

Hodgins, H. S. & Kneee, C. R. (2002). The integrating self and conscious experience. 87-100,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61.

Jessor, R. (1991).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2, 597-605.

62.

Jones, J. W. (1980). A Measure of staff burnout among health professiona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Montreal, Quebec.

63.

Krasner, M. S., Epstein, R. M., Beckman, H., Suchman, A. L., Chapman, B., Mooney, C. J., & Quill, T. E. (2009). Associ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me in mindful communication with burnout, empathy, and attitudes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2, 1284-1293.

64.

Lee, R. T. & Ashforth, B. E. (1996). A meta-analytic examinati 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 123-33.

65.

Lee, S. M., Baker, C. R., Cho, S. H., Heckathorn, D. E., Holland, M. W., Newgent, R. A., et al. (2007).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Counselor Burnout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0(3), 142-154.

66.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67.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68.

Norcross, J. C. (2000). Psychotherapist Self-Care: Practitioner-Tested, Research-Informed Stragi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1(6), 710-713

69.

O'Halloran, Theresa M. & Linton, Jereny M. (2000). Stress on the Job: Self-care resources for Counselor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2, 354-364.

70.

Olinick, S. L. (1984). A critique of empathy and sympathy. In J, Lichtenberg, M. Bornstein, & D. Silver (Eds.), Empathy(Vol. 1). Hillsdale, NJ: The Analytic Press.

71.

Schaufeli, W. B. & Buunk, B. P. (2003). The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John Wiley & Sons.

72.

Schaufeli, W. B. & Enzmann, D. (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Research: A Critical Analysis. London: Taylor & Francis.

73.

Sexton, I. (1999) Vicarious traumatization of counselors and effects on their workplace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ing, 27, 393-403.

74.

Skovholt, T. M.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 (유성경 외 3인 역). 서울: 학지사.

75.

Steinhardt, M. A., Smith Jaggars S. E., Faulk, K. E. & Gloria, C. T. (2010). Chroic work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ssessing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 burnout. Stress and Health, 27, 420-429.

76.

Taylor, M. S. & Tajen. (1984). Selection for Training: Tabulating Equipment Operators. Personnel Psychology, 1: 341-348.

77.

Yu, K. (2007). A Cross-cultural Validation Study on Counselor Burnout: A Korean Samp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USA.

78.

Weigel, C., Wertlieb, D. & Feldstein, M. (1989). Perceptions of control, competence, and contingency as influences on the stress- behavior symptom relation i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454-464.

79.

Wood, R. & Bandura, A. (1989). Social Cognitive Theor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of Review, 14(3)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