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에 대한 종단모형연구: 노후준비주체성,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와 성별간 다집단분석

A Longitudinal Model Study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Middle and Older adults(over 50 years and over) - Focusing on the mediate effects of the preparation agency for old a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ulti-group analysi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4, v.33 no.1, pp.181-207
임지숙 (이화여자대학교)
조효진(Hyojin Cho) (이화여자대학교)
조윤진(Yoonjin Cho)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4년차 자료를 사용하여 신체적․심리적 건강이 중․노년기의 삶의 만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종단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크게 늘어난 중․고령 시기의 삶의 만족에 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과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각 변인의 관련성에 대한 종단 모형의 검증과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노년기의 삶의 만족을 설명할 수 있는 노후준비 주체성과 대인관계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각각의 경로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신체적․심리적 건강은 우리나라 중․고령자들의 삶의 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연구결과에서는 노후준비주체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삶의 만족을 설명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둘째, 심리적 건강과 삶의 만족사이의 관계에서 성차가 있었다. 남성은 심리적 건강이 삶의 만족을 직접적으로도 설명하고 노후준비주체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설명하는 부분이 모두 유의하였으나, 여성의 경우 심리적 건강과 삶의 만족 사이의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고 노후준비주체성과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분석에 포함 된 모든 변인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이 유의하게 낮은 평균을 보여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삶의 질이 더 열악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령자들의 삶의 만족에 신체적, 심리적 건강과 함께 노후준비주체성과 대인관계가 중요함이 확인되었고, 특히 여성들의 경우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노년기의 삶의 만족에 대한 상담 및 정책적 접근에서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중.고령자, 삶의 만족, 노후준비, 종단모형연구, 매개효과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3rd and 4th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for verifying the longitudin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middle and older adults(50 years and over). Through this, we were willing to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flow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 and older adults with prolonged average life expectancy. We examined how two factors of successful aging-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explai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eparation agency for old age(financial independency, major role of planning for old age, living expenses for old a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s(friend, family, marital relationships) from preceding research. We also identified gender differences in each path.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Korean middle and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And the study result supported partial meditating model explaining preparation agency for old age and life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For men, psychological health directly explains life satisfaction and it was possible to explain with preparation agency for old a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for women,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is not directly related, but just meditating effects of preparation agency and interpersonal are applied. Third, women participants showed lower means all of the factors as compared with men; it means poor quality of life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financial aspects. This resul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eparation agency, including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for women,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 is more emphasized.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in counseling and policy approaches for life satisfaction of older life.

keywords
middle and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planning for old age, longitudinal model, mediating effect
투고일Submission Date
2013-09-28
수정일Revised Date
2014-01-2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4-01-2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