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 on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4, v.33 no.4, pp.903-928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using a meta-analysis, to estimate effect sizes(ES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MBI), particularly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MBSR)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for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In this analysis, several moderators possibly related to the ESs were also explored and tested. The moderators examined here included publication year, facilitators of MBI, number of sessions, participants' gender and age, clinical vs. nonclinical samples, type of study(treatment and control groups vs. treatment group only), experimental designs(random assignment vs. quasi-experiment), type of MBI, type of control group, and type of symptoms(depression vs. anxiety).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29 studies on depressive symptoms and 31 studies on anxiety symptom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till December, 2013. Results showed that MBI was largely effective for treating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For depressive symptoms, MBI's ESs were relatively stable across various study characteristics, with the exception that recent studies reported smaller values of ES. In case of anxiety symptoms, studies using both genders demonstrated larger values of ES than those using only female samples, and MBCT showed larger values than MBSR. In addition, the number of MBI's sessions was positively related to ES. However, other study characteristics we tested were not relat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in our meta-analyses, the estimated ESs were corrected using Trim and Fill method. However, the corrected values can be still interpreted as moderate to large, indicating that MBI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of Korean clients.

keywords
마음챙김, 메타분석, 우울증상, 불안증상, 중재변인, 효과크기, mindfulness, meta-analysis,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moderator, effect size

Reference

1.

*김광현 (2010). 마음챙김 숲 속 걷기명상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명상치유학회지, 1(1), 75-97.

2.

*김덕연, 이봉건 (2011). 청소년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명상의효과 비교. 한국명상치유학회지, 2(1), 121-145.

3.

*김선영, 김윤주, 이호진, 홍혜정 (2013). 마음챙김명상 기반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간호사관생도의 심리적 증상과 삶의 질에미치는 효과. 군진간호연구, 31(1), 110-119.

4.

*김설환, 손정락 (2010).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89-204.

5.

*김수지, 안상섭 (2009).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만성통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5(3), 359-375.

6.

*김완석, 전진수 (2012). 한국형 마음챙김 기반스트레스 감소(K-MBSR) 프로그램이 마음챙김 수준, 심리적 증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자기수련량 및 참여동기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79-98.

7.

김잔디,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16, 143-174.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

김정모 (2008). 정서조절을 위한 마음챙김 인지치료. 미발표 원고.

9.

*김정모, 전미애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41-759.

10.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8.

11.

*김주희, 김미리혜, 김정호 (2013).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예비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53-68.

12.

*김지연, 손정락 (2012). 경험논문: 마음챙김에기반한 인지 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소화불량 증상, 걱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27-42.

13.

*김진철, 손정락 (2010). 마음챙김 명상과 결합한 인지행동집단치료가 발표불안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18(2), 59-68.

14.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688.

16.

*신정연, 손정락 (2011). 경험논문: 마음챙김에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문제음주 대학생의 우울, 충동성 및 문제음주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79-295.

17.

*안양규, 장현갑, 백경임, 김도균, 이 관, 장문선 (2011). 임산부를 위한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의 개발과 심리적 효과에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3(3), 321-337.

18.

양영필, 한창현, 박지하, 이상남 (2010). 국내저널에 게재된 마음챙김 명상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3(1), 91-89.

19.

*엄지원, 김정모 (2013).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MBCT)가 고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우울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20(3), 159-185.

20.

연합뉴스 (2012. 7. 22). ‘청년 실업’ 20대 남성, 스트레스 급증. http://www.yonhapnews.co.kr

21.

*윤지원, 이상혁, 김용우, 김묘정, 육근영, 류미, 최태규, 김근향 (2009). 범불안장애 혹은 공황장애 환자에서 Mindfulness에 기반한 인지치료의 장기치료 효과: 1년 추적관찰. 신경정신의학, 48(1), 36-41.

22.

*이봉건 (2008).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K-MBSR)이 대학생의 우울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7(1), 333-345.

23.

이우경 (2008).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4.

*이원종, 전진수, 김영성, 김완석 (2012). 한국형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감소 프로그램(K-MBSR)이 암환자의 혈압, 심리적 증상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20(1), 1-9.

25.

*이은영, 현명호 (2011), 청소년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MBSR과 REBT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18(11), 165-184.

26.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9(4), 1027-1040.

27.

*이희영, 김정호, 김미리혜 (2012). 경험논문: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가 여자대학생의 우울과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43-63.

28.

*임명철, 손정락 (2012).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823-840.

29.

*장영수 (2010). 마음챙김에 기초한 스트레스감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3(2), 21-32.

30.

장현갑 (2006). 마음챙김 명상. 2006년 한국임상심리학회 동계 연수회 자료집 Ⅰ, 25-86.

31.

*장현갑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단축형(6주)이대학생의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15(1), 43-49.

32.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833-850.

33.

*전미애, 김정모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대학생의 사고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795-813.

34.

*전미애, 김정모 (2011).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BCT)가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과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6(1), 63-78.

35.

*전미애, 김정모 (2011).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정신건강과 분노행동에 미치는 효과. 교정연구, 53, 145-168.

36.

*전미애, 김정모 (2011). 정서조절을 위한MBCT가 임상군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113-135.

37.

*정애자, 전기숙 (2010). MMPI를 이용한 MBSR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한국명상치유학회지, 1(1), 43-55.

38.

*정은실, 손정락 (2011).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4), 825-843.

39.

*조용래 (2012).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정서조절개입이 심리적 건강의 개선에 미치는효과와 그 변화기제: 정서조절곤란과 마음챙김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3), 773-799.

40.

조용래, 노상선 (2009).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심리적 개입 프로그램들의 효과와 작용기제: 탐색적 연구. 2009 한국명상치유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별지본), 3-4.

41.

*조중현, 손정락 (2013).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마약류 중독자의 우울, 충동성 및 단약 자기효능감에 미치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3-31.

42.

통계청 (2013). 한국의 사회지표: 2013 한국의 사회지표. http://kosis.kr/ebook에서 2014, 10, 22 인출.

43.

*한진숙,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증상과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1041-1060.

44.

홍세희 (2013). 메타분석의 이론과 적용. 에스앤엠 리서치 그룹.

45.

Baer, R. A. (2003).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 125-143.

46.

Barlow, D. H., Farchione, T. J., Fairholme, C. P., Ellard, K. K., Boisseau, C. L., Allen, L. B., & Ehrenreich-May, J. (2011). 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Therapist guid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7.

Barrett, L. F., Lane, R. D., Sechrest, L., & Schwartz, G. E. (2000). Sex differences in emotional aware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9), 1027-1035.

48.

Berkeljon, A., & Baldwin, S. A. (2009). A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for psychotherapy outcome research. Psychotherapy Research, 19, 511-518.

49.

Bishop, S. R., Lau, M., Shapiro, S., Carlson, L., Anderson, N. D., Carmody, J., Segal, Z. V., Abbey, S., Speca, M., Velting, D., & Devins, G. (2004).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1, 230-240.

50.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 Rothstein, H. (2005).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Englewood, NJ: Biostat Inc..

51.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 Rothstein, H. (2009). A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ew York: John Wiley & Sons.

52.

Chiesa, A., & Serretti, A. (2009).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r stress management in healthy people: A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15, 593-600.

53.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 455-463.

54.

Feldman, G., Hayes, A., M., Kumar, S., Greeson, J., & Laurenceau, J. (2007). Mindfulness and emotion regulation: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Revised(CAMS-R).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9, 177-190.

55.

Gater, R., Tansella, M., Korten, A., Tiemens, B. G., Mavreas, V. G., & Olatawura, M. O. (1998). Sex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and detection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in general health care setting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5(5), 405-413.

56.

Germer, C. K. (2005). Mindfulness: What is it? Does it matter? In C. K. Germer, R. D. Siegel, & P. R. Fulton(Eds.),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57.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Educational Researcher, 5, 3-8.

58.

Grossman, P., Niemann, L., Schmidt, S., & Walach, H. (2004).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health benefits: A meta-analysi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57, 35-43.

59.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Guilford Press.

60.

Hedges, L. V., &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New York: Academic Press.

61.

Hofmann, S. G., Sawyer, A. T., Witt, A. A., & Oh, D. (2010).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8, 169-183.

62.

Kabat-Zinn, J. (1982). An outpatient program in behavioral medicine for chronic pain patients based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atati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4, 33-47.

63.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l Publishing.

64.

Kabat-Zinn, J. (1994). Wherever you go there you are. New York: Hyperion.

65.

Linehan, M. M. (1993).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Guilford Press.

66.

Lipsey M. W., & Wilson, D. B. (2000). Practical meta-analysis. Thousand Oaks(CA): Sage Publications.

67.

Ma, S. H., & Teasdale, J. D. (2004).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Replication and exploration of differential relapse prevention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 31-40.

68.

Orwin, R. G. (1983). A fail-safe N for effect size in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8(2), 157-159.

69.

Rothstein, H. R. (2008). Publication bias as a threat to the validity of meta-analytic results. Journal of Experimental Criminology, 4(1), 61-81.

70.

Segal, Z. V., Williams, J. M., & Teasdale, J. D. (2002).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New York: Guilford Press.

71.

Thayer, J. F., Rossy, L. A., Ruiz-Padial, E., & Johnsen, B. H. (2003).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3), 349-364.

72.

Van de Velde, S., Bracke, P., Levecque, K., & Meuleman, B. (2010).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in 25 European countries after eliminating measurement bias in the CES-D 8. Social Science Research, 39(3), 396–404.

73.

Zoogman, S., Goldberg, S. B., Hoyt, W. T., &Miller, L. (in press). Mindfulness interventions with youth: A meta-analysis. Mindfulnes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