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The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North Korean, North Korean Refugee, and Unification in Korean Psychology: Analysis of researches in 14 Korean Journals of Psychology(2000-2013)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5, v.34 no.2, pp.541-563

Abstract

By analyzing all fifty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topics on the Korea Unification, North Korea, North Koreans, North Korean refugees in fourteen issues of the Korean Journals of Psychology published in the last 14 years (2000-2013), this study identifies the research trend and preparedness for Korean Unification of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KPA). The research was analysed by structur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tructural features, the study identified the numbers of research by publication issues, years of publication, and sponsoring institutes and in terms of content features, this study identified the number of research and research subjects by the usage of the word, “Korean refugee”, target research subjects and by the North Korean refugees' durations of their stay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difference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al-cultural values, resistant factors against the Korea Unification,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adaptation strategies and programs for the potential conflicts after the Un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nalysis results and follow-up discussions by structural and content features of the published articles and by this comprehensive evaluation, this study provides proposals on future policies and competitive research projects of the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for the Korea Unification in addition to the five proposals on the research topics including the difference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al-cultural values, resistant factors against the Korea Unification,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keyword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North korean refugees, Korea Unification, 한국심리학회, 통일, 북한, 북한이탈주민

Reference

1.

강숙정, 이재창, 이장호 (2010). 새터민 심리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73-706.

2.

강차연 (2005). 재중 탈북여성들의 스트레스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 1, 61-80.

3.

금명자, 권해수, 이희우 (2004). 탈북청소년의문화적응 과정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6(2), 295-308.

4.

금명자, 김은경, 김현아, 조영아, 전연숙, 윤상석 (2009).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 활동매뉴얼. 통일부, 북한이탈주민후원회.

5.

금명자, 조영아, 김현아 (2011). 북한이탈주민종합콜상담센터 운영효과성 평가, 정책연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6.

김금미 (2011). 대학생의 탈북자에 대한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설명하는 변인들: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3), 1-16.

7.

김명식 (2015).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을 위한심리학적 고찰, 디지털융복합연구, 13, 1, 555-562

8.

김승현, 최빛내 (2013).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탈북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533-548.

9.

김영경, 김현아 (2009). 새터민 동료상담자의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81-1009

10.

김용민 (2011). 한반도 통일의 모범이자 반면교사로서의 독일통일. 독일문학, 120, 309-324.

11.

김용민, 정상돈, 원준호 (2004). 갈등을 넘어통일로-화해와 조화의 공동체를 위하여, 통일부 통일교육원.

12.

김은경, 권정혜 (2009). 탈북자 문화적응척도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61-781.

13.

김종남 (2007). 북한이탈주민의 자기보고는 시뢰할 수 있는가?, 심포지움: 양파같은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발표논문집, 86-87.

14.

김종남, 최윤경, 채정민 (2008). CES-D와 로샤검사를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감.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2), 41-61.

15.

김창환, 양금희, 윤재홍 (2002). 독일의 학교및 사회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실패분석, 통일부 용역과제.

16.

김현아, 조영아, 김연희 (2012).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을 위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1), 25-46.

17.

김혜숙 (2000). 북한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2), 115-133.

18.

김혜숙 (2002).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북한사람 및 대북정책에 대한 태도와의관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6(1), 35-50.

19.

김혜숙, 오승섭 (1999). 북한사람에 대한 대학생과 일반인의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외국인에 대한 태도와의 비교, 심리과학, 8(1), 1-22.

20.

김희경 (2010a).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방어기제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 3, 311-329.

21.

김희경 (2010b).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1), 155-173.

22.

김희경 (2012a). 탈북여성과 남한 여성의 우울감, 양육 죄책감 및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4), 535-558.

23.

김희경 (2012b).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004-1022.

24.

김희경, 신현균 (2010).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 증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707-724.

25.

김희경, 신현균 (2013). 탈북 청소년용 심리상태검사 개발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521-541.

26.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20.

27.

김희경, 정진용 (2010), 탈북 여성에서 MMPI-2의 진단적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335-353.

28.

남북하나재단 (2014a). 201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29.

남북하나재담 (2014b). 2014 북한이탈주민 사회조사, 남북하나재단.

30.

도종수 (2000). 남북한 청소년의 사회화 비교, 한국심리학회춘계심포지움 ‘남북한의 심리적 통합’, 한국심리학회, 93-114.

31.

신행우, 이종한, 한성열, 허태균, 채정민 (2004). 이문화권내 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양식:북한이탈주민 남한문화 적응의 관점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1), 147-163.

32.

신현균, 김희영, 임지영 (2010). 북한이탈주민용 간이심리상태검사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3), 777-798.

33.

오수성 (2001). 통일한국과 심리적 화합, 심리과학, 10, 1, 1-17

34.

양계민, 정진경 (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487-518.

35.

유연재, 김혜숙 (2000). 한집단 범주의 점화가북한사람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91-112.

36.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 (2007).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93-718.

37.

이장호 (1993). 남북의 장벽을 넘어서-통일과심리적 화합: 남북통일의 문화심리적 장애요인, 한국심리학회 대외심포지움, 125-133.

38.

이재창, 김영만 (2005).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탈북자들과남한주민들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3), 41-66.

39.

임지영, 신현균, 김희경 (2010). 남한 사회에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스트레스, 지각된 사회적지지, 대처방식과 전반적인심리증상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631-638.

40.

전우택 (2000).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춘계심포지움 ‘남북한의 심리적 통합’, 한국심리학회, 67-92.

41.

전연숙, 강혜영 (2009). 탈북여성이 지각하는진로방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수준: 남한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09-425.

42.

전연숙, 강혜영 (2010). 탈북여성의 진로장벽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69-487.

43.

전우영, 조은경 (2000). 북한에 대한 고정관념과 통일에 대한 거리감.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4(1), 167-184.

44.

전태국 (2000). 사회통합의 전망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움, 한국심리학회, 115-130.

45.

정병호 (2005). 남북한의 이질적 근대화 경험과 미래사회 문화 통합을 위한 중장기 실천 과제 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물, 한양대학교.

46.

정은미 (2013).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변화: 2011-2013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과 변화, 5, 2, 74-102.

47.

정진경 (2002). 북한사람들의 성역할 특성과가치관: 탈북자 자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1(2), 163-177.

48.

정진경, 조정아 (2008). 새터민과 남한주민을위한 문화통합교육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487-518.

49.

정태연, 김영만 (2004).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탈북자에게 미치는 영향: 남한과 자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61-81.

50.

정태연, 송관재 (2006). 한국인의 가치구조와행동판단에서의 이중성: 대학생, 성인 및탈북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 사회문제, 12(3), 49-68.

51.

조영아 (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85-310.

52.

조영아 (2012).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4(1), 197-222.

53.

조영아, 김연희 (2010). 초기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고위험군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509-527.

54.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55.

조영아, 전우택 (2004). 북한출신 대학생들의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67-186.

56.

조영아, 전우택 (2005).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57.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 요인: 3년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58.

차재호 (1992). 외국인에 대한 학생 및 성인의태도. 문교부 학술연구조성비 지원과제보고서.

59.

차재호 (2000). 통일에 있어 심리적 통합의 전망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움, 한국심리학회, 1-18.

60.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3). 북한연구 방법론. 한울 아카데미, 329-330.

62.

채정민 (2006). 북한이탈주민의 귀인양식: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3), 1-22.

63.

채정민, 김종남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상대적박탈감과 심리적 적응: 개인적 정체감과사회적 정체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1), 41-63.

64.

채정민, 이종한 (2004a). 북한이탈주민의 개별성-관계성이 남한 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793-814.

65.

채정민, 이종한 (2004b). 심리학적 관점에서의남북한 문화이질성: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79-101.

66.

채정민, 한성열 (2003). 북한이탈주민의 자기고양 편파가 남한 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2), 101-126.

67.

최빛내,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95-212.

68.

최윤경 (2007). 로샤검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방어성, 심포지움: 양파같은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발표논문집, 88-89.

69.

최윤경, 김종남, 채정민 (2009). 로샤검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대처와 방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4). 507-528.

70.

최현옥, 손정락 (2011).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K-MBSR) 프로그램이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및 수치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469-482.

71.

한덕웅, 강혜자 (1999). 한국 사회문제에 대한 국민의 지각: 1994년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집, 225-229.

72.

한덕웅, 최훈석, 강혜자, 이경성, 박군석 (1995). 한국 사회문제의 지각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9, 1, 99-111.

73.

한성열 (2000). 북한의 문화적 특성과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 한국심리학회춘계심포지움 ‘남북한의 심리적 통합’, 한국심리학회, 131-153.

74.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 채정민, 이영이 (2007).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문화적응 양상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심리학지: 사회문제, 13(2), 33-54.

75.

한인영, 구현자, 오선경 (2010).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 실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여성, 15(1), 87-102.

76.

Kohr, H-U. (1994). 독일 통일에서의 심리적 문제, 이장호, 이춘재(편). 남북의 장벽을 넘어서: 통일과 심리적 화합, 49-77, 서울:중앙적성출판사.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