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ADHD 아동의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The Pilot Research for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5, v.34 no.4, pp.795-810
https://doi.org/10.22257/kjp.2015.12.34.4.795
최혜영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심리학과 임상심리)
임숙희 (충남대학교)
김교헌 (충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을 긍정심리학적 접근으로 조망하여 ADHD 아동의 독특한 강점으로 창의성을 도출하고 이를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강점 개발 기법과 이야기 치료에 기반하여 창의적인 성격, 사고 및 동기를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ADHD 증상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D시의 ADHD 아동 41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n=21), 인지행동 프로그램(n=20)을 실시하였으며 8회기의 프로그램 실시 후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의 향상 정도와 ADHD의 증상감소 정도를 분석하였다. 공변량 분석 결과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인지행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보다 창의성 및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으나 ADHD 증상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Creativity, Creativity Promotion Program, Children with ADHD, Self-efficacy, 창의성,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ADHD 아동, 자기효능감

Abstract

This is the pilot study for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draw and promote creativity with unique strengths of children with ADHD, by taking a view of their problem behaviors through the positive psychologic approach. A program that can promote creative personality, thought and motive was developed based on the strength development technique and narrative therapy. The creativity promotion program (n=21) and cognitive behavior program(n=20) were carried out targeting 41 children with ADHD in D City, Korea; after 8 sessions of those programs, levels of creativity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ADHD symptom redu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covariance analysis, the group to which the creativity promotion program had been carried out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ity and self-efficacy than the group of the cognitive behavior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ADHD symptom. Lastly,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result and the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Creativity, Creativity Promotion Program, Children with ADHD, Self-efficacy, 창의성,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ADHD 아동, 자기효능감

참고문헌

1.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

김민정 (2000). 초등학생의 통제소재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과의 관계.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붕년, 김형인, 조수철, 신민섭 (2012). 12주OROS-Methylphenidate 약물 치료 후 ADHD 아동의 삶의 질 변화.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3(3). 103-108.

4.

김은아 (2005). 아동의 내적 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은아, 정옥분, 정순화 (2007). 아동의 내적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관계: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8(2), 23-47.

6.

박종규, 오경자 (2004).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 행동적 부모훈련의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829-849

7.

배진수, 이영만 (2000).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력 성격과 창의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3(2), 5-29

8.

서경현, 유제민, 안경미 (2008). 초등학생 사회불안의 예측모형: 행동억제,부모양육태도및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675-693

9.

성은현 (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지, 26(1), 1-12.

10.

신현균 (2012). 학교장면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우울 취약성 감소와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687-711

11.

심혜숙, 박정미 (2003). 창조적 음악치료가 학습장애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5(3), 505-527

12.

안상일 (2004). 창의성 사고와 성향을 통합한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상복, 이상훈, 이효신 (1996).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행동지도 방법,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14.

이영나 (2006).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유능감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오경자, 이혜련 (1989).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증 평가 도구로서의 conners 평가 척도의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8. 135-142.

16.

정옥분, 김경은, 박연정 (2006). 청소년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3(1), 35-60.

17.

정진희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창의성과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최수경 (2005).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창의적 인지능력과 창의적 성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최인수, (1998).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여섯가지 질문. 한국심리학회 일반, 17(1), 25-47.

20.

최인수, 이종구. (2004). 창의성 검사, 창의성계발을 위한 창의성 검사의 이해와 활용. 한국가이던스.

21.

한혜진 (2002). 자기주장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Abraham, A., Windmann, S., Siefen, R., Daum, I., & Gȕntȕkȕn, O. (2006). Creative thinking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hild Neuropsychology, 12, 111-123.

23.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New York: Springer-Verlag.

2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ition(DSM-5). Washington, DC: Author.

25.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26.

Baum, S. M., & Olenchak, F. R. (2002). The alphabet children: GT, ADHD, and more. Exceptionality, 10, 77-91.

27.

Bloom B, Cohen RA, Freeman G. (2011). Summary health statistics for U.S. children: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2010. Vital Health Stat 10. 2011 Dec(250):1-80.

28.

Cramond, B.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reativity.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April 4-8.

29.

Cramond, B. (1995). The Coincidenc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Creativity. (RBDM 9508).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Center on the Gifted. 1(1). 123-135.

30.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Learning, UK. Kogan page.

31.

Csikszentmihalyi, M. (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F.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325-339).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Davis, G. (1998). Creativity is Forever. Dubuque: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33.

Daugherty, M., & Logan, J. (1995). Private speech assesment: a medium for studying the cognitive process of young creative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5, 5-17.

34.

Gilman, R., Huebner, E. S., & Furlong, M. J. (2009).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Schools. Routledge.

35.

Guenther, A. (1995). What Educators and Parents Need to Know about ADHD. Creativity and Gifted Students (Practitioners' Guide A9814). Storrs: The National Centre on the Gifited and Talented University of Connecticut.

36.

Honos-Webb, L. (2005). The Gift of ADHD: How to Transform Your Child's Problems into Strengths. Oakland, CA: New Harbinger.

37.

Honos-Webb (2011). ADHD 아동의 문제를 강점으로 바꾸는 101가지 방법(변명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38.

Lara, H. W. (2005). The Gift of ADHD. New Harbinger Publications.

39.

Leroux, J. A., & Levitt-Perlam, M. (2000). The gifited child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challenge. Roper Review, 22, 171-176.

40.

McDermott, S. P. (2000). Cognitive therapy od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T. Brown (Ed.), Attention Deficit Disorders and Comorbidity in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41.

Metcalf. K. (1999). Wiliams syndrome: an update on clinical and molecular aspect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81: 198-200.

42.

Nickerson, R. S. (1999). Enhancing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s.), Handbook of creativity (392-43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Nielsen, M. E. (2002). Gif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Recommendations for identification and programming. Exceptionality, 10, 93-111.

44.

Nielsen, M. E., & Higgins, L. D. (2005). The eye of the storm: Services and programs for twice-exceptional learners. Teaching Exceptinal Children, 38, 8-15.

45.

Parnes, S. J. (1963). The deferment of judgment principle: Clarification of the literature. Psychological Reports, 12, 521-522.

46.

Perkiins, D. N., & Laserna, C. (1986). Inventive thinking. In M. J. Adams (Coordinator), Odyssey: A Curriculum for Thinking. Watertown. MA; Mastery Education Cooperation.

47.

Piirto, J. (1998). Understanding those who create. Gifted Psychology Press, Inc.

48.

Reis, S. M., & Ruban, L. M. (2005). Services and programs for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ory Into Practice, 44, 148-149.

49.

Steven A. S., Susan S., Carol A. P., Michael W. O. (2013). 성인 ADHD 인지행동 프로그램(이성직 역). 서울: 학지사.

50.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51.

Sternberg, R. J., & Williams, W. M. (1996). How to Develop Student Creativity. Alexandria, VA: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52.

Weiss. L. (1997). ADD and Creativity. New York:Taylor Trade Publishing.

53.

White, M., & Epston, D. (1990).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New York: W. W. Norton.

54.

Williams, F. (1980).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CAP). Buffalo, N: D. O. K. Publishers, Inc.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