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tudies on suicide survivors—who are at a high psychological risk—and to direct future studies in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suicide survivor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2 research papers, including 21 thesis papers and 31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under the following categories: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factors contributing to overcoming grief and post intervention program of suicide.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crutiny of basic information of the studies showed a gradually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 counseling on suicide survivors. Second, through examining the research subjec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oncept of suicide survivors as a social community was verified. Third, examining the research methods showed that an insufficient number of studies had appropriately applied treatment methods in various cases. Fourth, examin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overcoming grief and post intervention program of suicide revealed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 counseling, psychological mourning rites, community-level post intervention program of suicide, and religion. Finally, thes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and a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was offered.
강명수 (2015). 자살 유가족을 위한 가족 상담과 치료적 개입. 연세상담코칭연구, 4, 9-31.
권석만 (2015).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가득 (2012).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경험: 참척 고통과 화해. 전북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김벼리, 신현균, 한규석 (2013). 남편을 자살로잃은 여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191-218.
김병철 (2010). 자살보도가 잠재적 자살자에게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일반,18(1), 41-63.
김왕배, 방연상 (2013). 자살예방과 생존자 치유를 위한 의료종교학적 접근의 전망과과제. 보건과 사회과학, 34, 37-60.
김용분 (2005). 자살로 인한 사별 가족 경험.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용분, 이정섭 (2006). 자살피해자의 승화하기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5(4), 446-458.
김은하, 박승민 (2011). 작업동맹(working alliance)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 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25.
김정남 (2015). 부모자살을 경험한 청소년의외상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재활심리연구,22(1), 183-201.
김지경, 장현아 (2014). 외상 후 성장 연구의국내 동향과 과제. 인지행동치료, 14(2),239-265.
김창학 (2011). 언론매체의 자살보도가 청소년의자살 충동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경세, 백종우, 윤미경, 김현수 (2015) 심리부검: 우리나라에서 향후 방향에 대한 검토및 고찰. 신경정신의학, 54(1), 40-48.
남순현 (2008). 청소년 모방 자살사고의 심리적 기제에 관한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19, 51-87.
박은선, 박지아 (2013). 삶의 의미 연구의 국내동향과 과제. 사회과학연구논총, 29(1),267-299.
박지영 (2007).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혜선 (2015). 자살유가족지원 현황과 과제.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05, 159-173.
변재원 (2014). 내재적 종교성향과 복합비애의관계에서 의미재구성의 매개효과: 자살 유가족을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에스더 (2010). 부모 및 친구관계 정서적 친밀도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후유증이 언급된 자살보도를 중심으로.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윤주 (2011). 유명인 자살 보도 전후의 일반인자살시도 양상의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송인한, 권세원, 박단비 (2012). 친구의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정신보건과사회사업, 40(1), 352-376.
윤명숙, 김가득 (2010).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29,115-148.
윤성근 (2015). 내담자의 자살에 대한 정신건강전문가의 경험: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근무, 김진숙 (2010). 자살자 가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109-134.
이명훈 (2014). 기독교인 자살생존자의 경험에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5(4), 163-199.
이승연 (2007). 학교장면에서의 자살사후 중재.상담학연구, 8(1), 161-180.
이종익 (2013). 자살한 청소년 부모의 떠나보냄경험.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투데이 (2015). 10.28일자 기사 <자살한 연예인 따라 스스로 목숨 끊는 사람들>. 박선현 기자
임정인 (2015). 자살생존자 체험수기에 대한 담화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성수 (1998). 자살유가족들에 대한 교회의 돌봄. 강남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현아 (2009). 복합비애의 개념(Complicated grief)과 진단.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303-317.
정상혁 (2005). 우리나라 자살의 사회․경제적비용부담에 관한 연구.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용역보고서, 11,1-128.
중앙자살예방센터 www.spckorea.or.kr
차명자 (2014). 가족의 자살이 유가족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지, 6(1), 157-175.
한국생명의전화 www.lifeline.or.kr
한수미 (2012). 대중매체의 자살보도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5(1), 133-142.
황순찬 (2014). 자살행동에 대한 발견적 탐구:가장 역설적인 자기표현.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순찬 (2015). 자살 유가족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05, 147-157.
황정윤, 김미옥, 천성문 (2014). 성인용 애도 척고 개발 및 타당화. 재활심리연구, 21(3),537-560.
American Association of Suicidology(AAS) www.suicidology.org
Becker, E. (1973). The Denial of Death. New York: Free Press.
Cerel, J. (2000). Suicide-Bereaved Children and Adolescents: Ⅱ. Parental and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 39(4), 437-444.
Cerel, J., Padgett, J. H., Conwell, Y., Reed, G. A. (2009) A Call for Research: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Support Groups for Suicide Survivor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9(3), 269-281.
Cobain, B., Larch, J. (2010). 말할 수 없는 고통의 치유 {Dying to Be Free: A Healing Guidefor Families after a Suicide}. (이혜선, 육성필,김신형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2006년에 출판).
Colucci, E., Martin, G. (2008). Religion and Spirituality Along the Suicidal Path.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8(2), 229-244.
Cvinar, J. G. (2005). Do Suicide Survivors Suffer Social Stigma: A Review of the Literature.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41(1), 14-21.
Dunn, R. G. (1988).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 of Suicide Survivors, Omega, 18, 175-215.
Ellenbogen, S., Gratton, F. (2001). Do They Suffer More? Reflections on Research Comparing Suicide Survivors to Other Survivors.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31(1), 83-90.
Feigelman, B., Feigelman, W. (2008). Surviving after Suicide Loss: The Healing Potentital of Suicide Support Groups. Illness, Crisis & Loss, 16(4), 285-304.
Feigelman, W., Jordan, J. R., Gorman, B. S. (2009). Personal Growth after a Suicide Loss: Cross-Sectional Findings Suggest Growth after Loss May Be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among Survivors. Omega, 59(3), 181- 202.
Goldstein, L. S., Buongiorno, P. A. (1984). Psychotherapists as suicide survivors.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38(3), 392-398.
Greenberg, L. S., Paivio, S. C. (1997). Working with Emotions in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Joiner T. (2012).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 {Why People Die by Suicide}. (김재성 역). 서울: 황 소자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Jordan, J. R., McMenamy, J. (2004). Interventions for Suicide Survivo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4(4), 337-349.
Kleespies, P. M., Smith, M. R, Becker, B. R. (1990). Psychology interns as patient suicide survivors: Incidence, impact, and recover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1(4), 257-263.
Knieper, A. J. (1999). The Suicide Survivor's Grief and Recover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9(4), 353-364.
Mcmenamy, J. M., Jordan, J. R., Mitchell, A. M. (2008). What do Suicide Survivors Tell Us They Need? Results of a Pilot study.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8(4), 375-389.
Mitchell, A. M., Kim, Y. K.,, Prigerson, H. G.., Marykay, M. S. (2004). Complicated Grief in Survivors of Suicide. Crisis, 25, 12-18.
Mitchell, A. M., Sakraida, T. J., Kim, Y. K., Bullian, L., Chiappetta, L. (2009).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Suicide Survivors: A Comparison of Close and Distant Relationship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3(1), 2-10.
Ogata, K., Ishikawa, T., Michiue, T., Nishi, Y., Maeda, H. (2011). Posttraumatic Symptoms in Japanese Bereaved Family Members with Special Regard to Suicide and Homicide Cases. Death Studies, 35(6), 525-535.
Peters, J. (2006). Bereavement after a suicide - a survivor's perspective. Spirituality and Hearth International, 7(2), 80-87.
Rogers, J. et al (1982). Help for families of suicide: Survivors Support Program.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27(6), 444-449.
Rosen, D. H. (1976). Suicide Survivors: Psychotherapeutic Implications of Egocide.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6(4), 209-215.
Santos, S., Tavares, S., Campos, R. C., (2015). Distress in Portuguese Family Members Bereaved by Suicide: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Loss and Trauma, 20(3), 267-280.
Susan, A. (2000). The Journey from Abandonment to Healing. New York: Susan Golomb Literary Agency.
Sveen, C. A., Walby, F. A. (2008). Suicide Survivors' Mental Health and Grief Reactions: A Systematic Review of Controlled Studie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8(1), 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