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중용(中庸)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Zhongyong Questionnair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7, v.36 no.4, pp.421-440
https://doi.org/10.22257/kjp.2017.09.36.3.421
안도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진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중용은 삶속에서 역동적인 조화와 균형을 이루려는 태도로 인지, 정서 및 동기적 측면에서 정리하면 중용은 인지적인 유연성과 적응적인 정서 조절 및 균형적이고 안정된 정서 상태, 그리고 자발적으로 중용 행동을 지속적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태도다. 연구 1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이론적 접근과 경험적 접근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인지, 정서 및 동기로 구분한 중용의 내용을 바탕으로 99개의 예비 문항을 마련하였고, 중용을 연구한 전문가 6인에게 평정을 요청한 뒤 선택한 37문항을 대학생 352명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화/조절, 균형/안정 및 공감/포용의 3요인, 19문항으로 이루어진 중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인 368명을 대상으로 중용 척도와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였고, 이중 57명에게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중용 척도가 3요인으로 이루어져있음을 재확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밝혔다. 인구통계학적 변인과의 관계에서 중용은 연령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연령 변인을 통제한 뒤에도 결혼 상태 및 종교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어 중용이 삶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축적되어 가는 태도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 정서 조절 및 내적 동기와 관련된 기본 심리적 욕구들과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어 중용 척도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한편, 중용 척도는 사회적 바람직성 요인과도 상관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 바람직성은 자기기만적 측면으로써 방어적 속성과 함께 사회적으로 적응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대만에서 개발된 중용적 사고척도와의 비교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Zhongyong, Zhongyong Questionnaire, 중용, 중용 척도, 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Abstract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Zhongyong Questionnaire(ZQ), a self-report instrument for measuring Zhongyong attitude. Theoretically, Zhongyong includes three aspects: (a) dialectic thinking and cognitive flexibility; (b) emotion regulation and balanced affect; (c)internal motive to consistently choose Zhongyong behavior. In study 1, thirty-seven out of 99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by six scholars studying Confucianism and Zhongyong for the face validity and the 37-item ZQ was administered to 352 college students. Data suggest that the ZQ consists of 19-item with three-factor structure. In study 2, 368 people participated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ZQ and related scales. Results from two studies indicate that the 19-item Zhongyong Questionnaire has a three-factor structure(harmony/regulation, balance/stability, empathy/ tolerance),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2-week test-retest reliability. The ZQ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measures of cognitive flexibility, dichotomous thinking,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onfirming the scale’s convergent construct validity. The concurrent construct validity of the ZQ was demonstrated by its correlation with the Zhong-yong Thinking Style Scal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and Zyongyong attitude. When controlling for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Zhongyong attitudes based on marital status and reli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Zhongyong attitude can be developed through diverse experience.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Zhongyong, Zhongyong Questionnaire, 중용, 중용 척도, 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1.

권석만 (1997). 임상심리학에서의 비교문화적연구: 정신병리에 나타난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특성. 한국심리학회 창립50주년 동계 연구세미나, 105-132.

2.

금장태 (2003). 중용(中庸)의 원리와 성(誠)의실현: 다산(茶山)과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중용』해석. 인문논총, 제 49집, 43-83.

3.

김계수 (2007). 구조방적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4.

김문준, 하창순 (2013). 동양철학과 심리학 융합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상과 문화, 제67집, 157-188.

5.

김민희, 민경환 (2010). 지혜의 연령차와 중노년기 심리적 적응과의 상관. 한국노년학, 30(3), 947-971.

6.

김민희, 민경환 (2011).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231-1253.

7.

김시천 (2016). 왜 다시 유교인가? 아시아적 가치와 현대 사회. 정치와 평론, 18, 91-114.

8.

김용옥 (2011a). 중용, 인간의 맛. 서울: 통나무.

9.

김용옥 (2011b). 중용한글역주. 서울: 통나무.

10.

김종서 (2000). 현대 종교다원주의와 그 한국적 독특성 연구. 종교학연구, 19, 33-48.

11.

김종서 (2013). 광복 이후 한국종교의 정체성. 종교와 문화, 25, 1-25.

12.

박종덕 (2005). 중용(中庸)의 도덕교육이론(道德敎育理論): 인간 형성(人間 形成)의 논리(論理). 한국도덕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49-72.

13.

성백효 (2013). 현토완역(懸吐完譯) 대학(大學)․중용집주(中庸集註) 개정증보판. 서울:전통문화연구회.

14.

심경섭, 이누미야 요시유키, 윤상연, 서신화, 장양, 한성열 (2012). 유교가치관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65-491.

15.

안도연, 이훈진 (2016). 유학적 개념과 일상에서의 경험 조사를 통한 중용(中庸)의 심리학적 정의 도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283-300.

16.

이기동 (2010). 대학․중용강설.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7.

이명희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이수원 (1997). 중용의 심리학적 탐구.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엄 학술발표자료.

19.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성격, 11(1), 95-116.

20.

이은하 (2011). 자기결정성 이론을 적용한 동기강화 프로그램의 건강행위유지 효과: 고혈압 전단계 노인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장승구, 윤형식, 김석수, 정해창, 박흥기 (2004). 중용의 덕과 합리성. 서울: 청계.

22.

장승민 (2015). 리커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사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1079-1100.

23.

정보라 (2005). 사회적 바람직성의 구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4.

조긍호 (2007). 동아시아 집단주의의 유학사상적배경: 심리학적 접근, 서울: 지식산업사.

25.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6(4), 1015-1038.

26.

최경숙 (2012). 한국 개회기의 종교관. 한중인문학연구, 37, 297-321.

27.

최상진, 윤호균, 한덕웅, 조긍호, 이수원 (1999). 동양심리학. 서울: 지식산업사.

28.

최영진 (1994). 유교(儒敎)의 중용사상(中庸思想)에 관한 고찰(考察). 인문과학연구소(편), 동서사상의 대비적 조명.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9.

최해연, 구자숙 (2004). 자기기만적 고양의 방어성 논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4), 63-79.

30.

한덕웅 (2003). 한국유학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주).

31.

한소영 (2010).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상담성과: 자기결정이론의 치료적 적용. 아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2.

허심양 (2011).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역할. 서울대학교석사학위 논문.

33.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4.

황성훈 (2007). 정신병리에서의 이분법적 사고의역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5.

오가휘(吳佳煇), 임이정(林以正) (2005). 中庸思維量表的編製. 本土心理學硏究 24, 247-300.

36.

오하마 아키라(大濱晧) (1977). 中國古代思想論. 東京: 勁草書房.

37.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62), Newbury Park, CA: Sage.

38.

Cole, P. M., Michel, M. K., & Teti, L.O.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In N. A. Fox(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pp. 73-100).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Serial No. 240).

39.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and “why”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 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40.

Deci, E. L., & Vansteenkiste, M., (2004).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basic need satisfaction: Understanding human development in positive psychology. Ricerche di Psichologia, 27, 17-34.

41.

Dennis, J. P., & Vander Wal, J. S. (2010).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4, 241-253.

42.

Gratz, K. I., & Roemer, I.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 41-54.

43.

Hooper, D., Coughlan, J., & Mullen, M. (2008).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Electronic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Methods, 6(1), 53-60.

44.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ition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5.

Martin, M. M., & Rubin, R. B. (1994).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flexibility scal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59, 171-178.

46.

Paulhus, D. L. (1988). Assessing self-deception and impression management in self-reports: The B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 Manual.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47.

Ryan, R. M. (2009).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ellbeing, Wellbeing in Developing Countries Research Review 1, Centre for Development Studies, University of Bath, UK.

48.

Ryan, R. M.,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54-67.

49.

Ryan, R. M., Williams, G.C., Patric, H., & Deci, E. L. (2009).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hysical activity: The dynamics of motivation in development and wellness, Hellenic Journal of Psychology, 6, 107-124.

50.

Yao, X., Yang, Q., Dong, N., & Wang, L. (2010)Moderating effect of Zhong Yo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 53-5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