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Adaptation of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to Academic and Social Lif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8, v.37 no.2, pp.257-288
https://doi.org/10.22257/kjp.2018.06.37.2.25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study examined the phenomenon of academic adjustment in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who are continuously growing in South Korean society from a cultural adaptation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explored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experiences, strategies for coping and adaptation. Next, the academic adjustment process of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Last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ype-setting of social adjustment in South Korea, based on academic adjustment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In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6 participant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Strauss & Corbin(199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e feelings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academic adjustment in South Korea could be grouped into 5 categories: Emotional unbalance, Culture shock, Alienation, Difficulties and Sense of freedom. And their action response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acceptance versus avoidance of self-other, active versus passive response from academic life, and accept versus refusal acculturation to South Korea. Further, analysis of processes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went through in their academic adjustment to South Korea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phases in adjustment: Confusion, Withering, Sel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self identity in South Korea. Moreove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 of acculturation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social adaptation skills acquisition and pursuit of inner-maturation: Confusion, Assimilation, Isolated inner-maturation, Socially connected inner-maturation.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theories and research, and their implications for cultural adjustment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keywords
acculturation,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grounded theory, academic adjustment, qualitative research, 탈북대학생, 북한이탈주민, 문화적응, 대학생활적응, 남한사회적응, 질적 연구, 근거이론

Reference

1.

강희석 (2007). 새터민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체계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나혜 (2005). 남한 내 탈북이주민 대학생의 정체성과 생활경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금명자 (2015). 한국심리학회의 북한 및 북한 이탈주민 관련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 ~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541-563.

4.

금명자, 권해수, 이희우 (2004). 탈북청소년의 문화 적응 과정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심리치료, 16, 295-308.

5.

길은배, 문성호 (2003).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서울:한국청소년개발원.

6.

김동수, 김도환, 정태연 (2011). 외국인에 대한 한국대학생의 인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25(1), 1-23.

7.

김진미 (2008). 탈북 대학생들의 적응 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현아 (2006). 새터민의 적응유연성 척도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혜숙 (2002).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 북한 사람 및 대북 정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16(1), 35-50.

10.

김혜숙 (2007).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91-104.

11.

김혜숙, 김도영, 신희천, 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 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51-89.

12.

김희겸 (2012). 새터민대학생 적응실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희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003-1022.

14.

박은미 (2009). 새터민 대학생의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은미, 박준성, 정태연 (2009). 새터민 대학생의 적응에 스트레스 및 중재변인이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17, 285-293.

16.

박은미, 황빙의, 정태연 (2010).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8(2), 205-223.

17.

박준성, 허성호, 전미연, 정태연 (2015). 남한에서 조선족 직장여성의 문화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1), 21-43.

18.

백영옥, 유조안 (2011). 북한이탈주민의 대학생활: 진학 및 적응을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19.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

신효숙, 왕영민, 박성철, 고인곤, 정재관, 주형민, 류창진, 송창용, 김화순, 박상민, 노진원, 백영옥, 유시은, 이강주, 김현설, 박민규 (201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21.

심윤조 (2012). 심윤조 의원 국회감사 자료, 2012년 9월 10일 기준.

22.

양계민, 정진경 (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1), 97-115.

23.

양계민, 정진경, 강혜원 (2008). 사회통합을 위한 청소년 다문화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청소년정책연구원.

24.

유시은, 배형준, 조명숙, 김경희, 최영실 (2013). 탈북대학생 중도탈락 원인 및 대안. 서울: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5.

윤인진 (2000). 북한이탈주민의 이해와 자원봉사. 탈북동포이해의 기본교재. 서울: 북한이탈주민후원회.

26.

윤인진, 송영호 (2013). 북한이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민족의식과 다문화의식. 재외한인연구, 30, 7-40.

27.

윤지혜, 오영림 (2010). 탈북청소년의 외상이후성장 체험연구 - 탈북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 49-82.

28.

이순형, 조수철, 김창대, 진미정 (2007).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9.

이재철 (2013).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정부신뢰 및 정부신뢰 결정요소 분석. 정치정보연구, 16(2), 115-143.

30.

이혜경 (2003). 북한 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체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장선하 (2008). 한국사회의 탈북이주민 국민 만들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장수현 (2010). 이산민의 초국가성과 다층적정체성: 중국 위해의 한국 화교에 대한 사례 연구. 현대중국연구, 11, 263-297.

33.

장임숙, 이원일 (2011). 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이주인권 정책에 대한 태도. 지방정부연구, 15(4), 177-199.

34.

장창호 (2000). 탈북청소년의 적응에 관한 사회사업적 고찰.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정병호 (2004). 탈북 이주민들의 환상과 부적응: 남한사회 인식혼란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0, 33-62.

36.

정옥분 (2000). 성인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37.

조영아, 전우택 (2004). 북한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 167-186.

38.

채정민, 이종한 (2004).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문화이질성.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 사회문제, 10(2), 79-101.

39.

천혜정, 서여주 (2014).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경험하는 소비행위의 의미.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3), 109-135.

40.

최대석, 조은희 (2010).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보, 14, 215-240.

41.

최상진, 한규석 (2000). 문화심리학적 연구방법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 123-144.

42.

최윤진, 나달숙, 김윤나, 한순영, 손진희 (2013). 탈북청소년 교육권 실태조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43.

통일부 (2016). 북한이탈주민 입국인원 현황 통계자료. 서울: 통일부.

44.

한나, 이승연 (2015).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심리학 연구의 방향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485-512.

45.

한덕웅, 점겸구, 이창호 (1991). 한국 대학의 생활환경 변화와 대학생활 적응. 학생생활연구, 9, 5-170.

46.

허성호, 박은미, 박준성, 정태연 (2013). 탈북새터민 대학생의 사회적응. 스트레스연구, 21(3), 193-202.

47.

홍정욱 (2010). 탈북대학생 설문조사 보고서2010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Ⅱ, 외교통상통일위원회.

48.

Atkinson, D. R., Morton, G., & Sue, D. W. (1998). Counseling American Minorities. San Fransisco, CA: McGraw-Hill.

49.

Baker, R., McNeil, O., & Siryk, B. (1985). Expectation and reality in freshman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94-103.

50.

Berry, J. W. (1990). The role of psychology in ethnic studies. Canadian Ethnic Studies, 12, 8-21.

51.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52.

Berry, J. W. (2003).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In K. Chun, P. Balls-Organista, & G. Martin (Eds.), Acculturation Advances in theory, measurement, and applied research (pp. 17-3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53.

Berry, J. W., & Sam, D. L. (1997).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J. W. Berry, M. H. Segall, & C. Kagitcibasi (Eds.),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ume 3(2nd ed) (pp. 291-326). Boston: Allyn & Bacon.

54.

Bourhis, R. Y., Barrette, G., & El-Geledi, S. (2009). Acculturation orientations and social relations between immigrant and host community members in California. Journal of Cross_Cultural Psychology, 40, 443-467.

55.

Bruner, J. (1990). Acts of Meaning.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6.

Flick, U. (2014).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Sage.

57.

Gaertner, S. L., Dovidio, J. F., Anastasio, P. A., Bachman, B. A., & Rust, M. C. (1993). The common ingroup identity model:Recategorization and the reduction of intergroup bias.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4(1), 1-26.

58.

Glauser, B. B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Chicago: Aldine.

59.

Glesne C. (2003).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An Introduction 3/E.

60.

Hewstone, M. E., & Brown, R. E. (1986). Contact and conflict in intergroup encounters. Basil Blackwell.

61.

Inglehart, R. (1990). Culture Shift in Advance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62.

Jasinskaja-Lahti, I., Liebkind, K., Horenczyk, G. & Schmitz, P. (2003). The interactive nature of acculturation: perceived discrimination, acculturation attitudes and stress among young ethnic repatriates in Finland, Israel and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7, 79-97.

63.

Kane, A. A., Argote, L., & Levine, J. M. (2005). Knowledge transfer between groups via personnel rotation: Effects of social identity and knowledge qualit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96(1), 56-71.

64.

Kurman, J., Eshel, Y., & Zehavi, N. (2005). Personal and group acculturation attitudes and adjustment: Russian and Ethiopian immigrants in Israel.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5, 959-974.

65.

Murphy, H. B. M. (1997). Migration, culture and mental illness. Psychological Medicine, 7, 677-684.

66.

Persky, I., & Birman, D. (2005). “Ethnic” identity in acculturation research: A study of multiple identities of Jewish refugee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6, 1-16.

67.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68.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69.

Ward, C., & Kennedy, A. (1994). Acculturation strategie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ociocultural competence during cross-cultural tran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8, 329-343.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