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용(中庸)적 태도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대인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Zhongyong Attitude Cultivating Program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9, v.38 no.2, pp.147-183
https://doi.org/10.22257/kjp.2019.6.38.2.147
안도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진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개인의 심리 내적인 측면 및 대인관계에서 모두 적응적인 역할을 하는 중용(中庸)은 대인갈등을 해결하는 이상적인 접근방법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에서 중용의 긍정적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중용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인관계와 관련된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교집단으로는 자기주장 훈련 집단을 선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중용과 대인관계 문제, 공감 및 갈등해결 전략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27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용적 태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는 적었고, 공감의 하위요인 중 조망수용 및 공감적 관심은 높았으며 개인적 고통은 낮았다. 또한 갈등해결 전략 중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긍정적 전략인 절충과 통합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즉, 중용적 태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인지 및 정서적 공감 능력은 높았고, 그로 인해 정서에 압도되는 부정적 측면은 적었으며 대인관계 갈등에서 긍정적인 해결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및 일반인 22명을 대상으로 중용적 태도 함양 및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에 11명씩 배치하였고 삶의 만족, 자존감 및 연구 1에서 살펴본 대인관계 변인을 중심으로 두 집단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대인관계 문제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이에 더해 중용적 태도 함양프로그램은 삶의 만족, 상태 자존감, 공감 능력 및 긍정적 갈등해결 전략에서, 자기주장 훈련은 부정적 갈등해결 전략에서 상대적으로 더 나은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 및 보완할 점과 추후 연구 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keywords
중용, 중용적 태도 함양 프로그램, 자기주장 훈련, 대인관계 갈등관리, Zhongyong, Zhongyong attitude cultivating program, Assertiveness training, Interpersonal conflict management

Abstract

Zhongyong, which plays an adaptive role in both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problems, may be an ideal approach to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itive role of Zhongyong in the interpersonal context and develope a program to cultivate the Zhongyong attitude. The assertiveness training group was selected as a comparative group. In study 1,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Zhongyo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variables such as interpersonal problems, empathy,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of 274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Zhongyong attitude, the fewer the interpersonal problems, the higher the perspective-taking and empathic concern, and the lower the personal distress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Integrating and compromising strategies of the Modified Rahim Organizational Conflict Inventory-II(ROCI-II) had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Zhongyong. In study 2, the effects of the four-session Zhongyong attitude cultivating program and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ere compared. Eleven people were assigned to each group and a total of four 2-hour sessions were held. Interpersonal problems,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empathy, life satisfaction, and the self-esteem were measured pre- and post-training, and 4 weeks later. As a result, both groups have been effective in reducing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Zhongyong attitude cultivating program tended to show relatively better effectiveness in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empathy ability and positive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general discussion se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중용, 중용적 태도 함양 프로그램, 자기주장 훈련, 대인관계 갈등관리, Zhongyong, Zhongyong attitude cultivating program, Assertiveness training, Interpersonal conflict management

참고문헌

1.

강 일, 기선완, 김성은, 정범석, 황지희, 송지은, 김지웅 (2009). 한국어판 대인관계 반응성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48, 352- 358.

2.

권성민, 이철구, 이현림 (2003). 자기표출훈련과 자기주장 훈련이 불안신경증 환자의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5(1), 17-33.

3.

김성희 (1982).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주장훈련의 효과. 학생지도연구: 경북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15(2), 1-30.

4.

김성희, 박경희 (2010). 대학생 대인관계조화프로그램 개발. 상담학 연구, 11(1), 375-389. doi: 10.15703/kjc.11.1.201003.375.

5.

김승룡, 채 한, 이민경 (2017). 한문교육의 인성증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동아대학교석당학술원 석당논총, 67(0), 119-150.

6.

김용옥 (2011). 중용, 인간의 맛. 서울: 통나무.

7.

김은향 (2012). 관점채택을 통한 공감이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감소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정규 (2010).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매뉴얼. 서울: 게슈탈트미디어.

9.

김태준, 이수원 (1992). 사회적 갈등에 대한 지각에서 입장개입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6(2), 29-42.

10.

노양진 (2013). 몸이 철학을 말하다: 인지적 전환과 체험주의의 물음. 서울: 서광사.

11.

민경환 (2002). 성격심리학. 서울: 법문사.

12.

박성현, 성승연 (2008). 자기-초점적 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27-1147.

13.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2016). 서울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인성함양을 위한 서비스 체계 구축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14.

신현균 (2006). 우울한 기분상태가 신체화집단의 자기초점적 주의, 신체감각증폭지각, 신체귀인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2), 467-488.

15.

안도연, 이훈진 (2016). 유학적 개념과 일상에서의 경험 조사를 통한 중용(中庸)의 심리학적 정의 도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283-300.

16.

안도연, 이훈진 (2017). 한국판 중용(中庸)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6(4), 421-440. doi: 10.22257/kjp.2017.09.36. 4.421.

17.

윤성민, 신희천 (2013). 행복증진을 위한 개입활동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5요인의 역할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75-308.

18.

윤호균 (2008). 온마음 상담.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9(3), 505-522.

19.

이경선, 손정락 (2010). 자기 주장훈련이 대학생의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社會科學硏究, 34(2), 115-133. doi: 10.33071/ssricb.34.2.201012.116.

20.

이수원 (1993). 사회적 갈등의 인지적 기제: 사회적 자아중심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7(2), 1-23.

21.

이수원 (1997). 중용의 심리학적 탐구. 한국심리학회 추계심포지엄 학술발표자료.

22.

이수원, 이영훈 (1989). 태도의 면역기제: 양극성에서 이원성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8(1), 67-87.

23.

이영훈 (2011). 중립태도에서 조망수용능력 수준에 따른 상황에 대한 태도, 상황에 대한 시비판단 및 준거가치, 인지량의 차이. 한국여성교양학회지, 20, 107-127.

24.

이영훈 (2014). 조망수용과 공감, 그리고 눈치의관계. 한국여성교양학회지, 23, 131-153.

25.

이인혜 (2008). 자기초점주의 유형이 자전기억과 일반화와 우울 기분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험적 및 분석적 자기초점주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83-602. doi:10.17315/kjhp.2008.13.3.003.

26.

이재섭, 이재욱, 최승숙 (2011). 자기주장 훈련중재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인식과 자기옹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4), 113-136.

27.

이정인, 김창대 (2015). 관점채택을 통한 공감이 초등학생의 공격성 및 또래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6(5), 253-266. doi: 10.15703/kjc.16.5.201510.253.

28.

이지영 (2011). 자기초점적 주의와 정서조절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13-133.

29.

이지현 (2006). 당뇨병환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조절 방안 - ‘자기주장(self-assertiveness)’을 통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당뇨병(JKD), 7(4), 340-345.

30.

임헌규 (2017). 심신문제와 유교. 민족의학연구원(편). 전통철학과 의학에서 본 몸과 마음. pp. 191-231.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31.

장성숙 (2008). 상담사례 과정에 반영된 현실역동상담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349-365.

32.

정연희 (2012). 상담자의 공감능력과 문화적 유사성 지각이 내담자에 대한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조규판, 권태우, 김경원 (2016). 고등학생용 눈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문화연구, 22(1), 127-144. doi: 10.24159/joec.2016.22.1.127.

34.

조긍호 (2007). 동아시아 집단주의의 유학사상적배경, 심리학적 접근. 경기도: 지식산업사

35.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36.

조용애 (2009).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조용애, 김금순 (2013).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자기주장 훈련의 효과. 임상간호연구, 19(2), 255-264.

38.

하영석, 김성희, 문창현, 석수륭, 윤정륜, 이명자 (1983). 공격적, 소극적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 학생지도연구: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1), 1-50.

39.

한금선, 임희수, 양보겸, 정혜경, 서용진 (2005). 정신질환자의 자기주장 훈련이 대인관계, 사회행동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5), 896-903.

40.

허재홍, 박원주 (2013). 눈치척도 개발 및 타당화: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상담학연구, 14(6), 3537-3555. doi: 10.15703/kjc.14.6.201312.3537.

41.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 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23-940.

42.

Antonucci, T. C. (2001). Social relations. In J. E. Birren & K. W. Schaie(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pp. 53-77). San Diego, CA:Academic Press.

43.

Arkin, R. M. (1981). Self-presentational styles, In J. T. Tedeschi (Ed.), Impression management theor y and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pp. 311-333). San Diego, CA: Academic Press. URL: https://doi.org/10.1016/C2013-0-11591-7

44.

Batson C. D., Batson, J. G., Slingsby, J. K., Harrell, K. L., Peekna, H. M., & Todd, R. M. (1991). Empathic joy and the Empathy Altruism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3), 413-426. doi: 10.1037/0022-3514.61.3.413.

45.

Batson, C. D., Fultz, J., & Schoenrade, P. A. (1987). Adults’ emotional reactions to the distress of others. In N. Eisenberg, & J. Strayer (Eds), Empathy and its development, 163-18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Bloom, P. (2014) Forum: against empathy. Boston Review 10 September. URL: http://bostonreview.net/forum/paul-bloom-againstempathy.

47.

Buffone, A. E. K., Poulin, M., DeLury, S., Ministero, L., Morrisson, C., & Scalco, M. (2017). Don’t walk in her shoes! Different forms of perspective taking affect stress physiolog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72, 161-168. doi: 10.1016/j.jesp.2017.04.001.

48.

Carr, S. J., Teasdale, J. D., & Broadbent, D. (1991). Effects of induced elated and depressed mood on self-focused attention.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 273-275. URL: https://doi.org/10.1111/j.2044-8260.1991.tb00948.x

49.

Chang, T., & Yang, C. (2014). Individual differences in Zhong-Yong tendency and processing capacity. Frontiers in Psychology, 5, 1-11. URL: https://doi.org/10.3389/fpsyg.2014.01316.

50.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R. G. Heimberg, M. R. Liebowitz, D. A. Hope, & F. R. Scheier(Eds.),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p. 69-93). New York, NY:Guilford Press.

51.

Cheetham, M., Pedroni, A. F., Antley, A., Slater, M., & Jäncke, L. (2009). Virtual milgram:empathic concern or personal distress? Evidence from functional MRI and dispositional measures.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3, 1-13. doi: 10.3389/neuro.09.029.2009.

52.

Chou, L. F., Chu, C. C., Yeh, H. C., & Chen, J. (2014). Work stress and employee well-being:The critical role of Zhong-Yong.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7, 115-127. URL: https://doi.org/10.1111/ajsp.12055.

53.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1), 155-159. doi: 10.1037/0033-2909.112.1.155.

54.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13-126. doi: 10.1037/0022-3514.44.1.113.

55.

Dwairy, M. (2004). Culturally sensitive education:Adapting self-oriented assertiveness training to collective minorities. Journal of Social Issues, 60(2), 423-436. doi: 10.1111/ j.0022-4537.2004.00114.x.

56.

Frith, U. (1989). Autism: Explaining the Enigma. Oxford: Blackwell.

57.

Gronholm, P. C., Flynn, M., Edmonds, C. J., & Gardner, M. R. (2012). Empathic and non-empathic routes to visuospatial perspectivetaking. Consciousness and Cognition, 21, 494-500. doi: 10.1016/j.concog.2011.12.004.

58.

Hong, J. (2004). A comparison of Korean and U.S. American conflict management styles as related to communication apprehension. Doctoral Dissert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Illinois. USA.

59.

Hong, J. (2006). Conflict management in an age of globalization: A comparison of intracultural and intercultural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Koreans and U.S. Americans. Speech and Communication, 6, 168-201.

60.

Horowitz, L. M., & Vitkus, J. (1986). The interpersonal basis of psychiatric symptoms. Clinical Psychology Review 6(5), 443-469. URL:https://doi.org/10.1016/0272-7358(86)90031-0.

61.

Huang, C. L., Lin, Y. C., & Yang, C. F. (2012). Revision of the ZhongYong Belief-value scale. Indigenous Psychological Research in Chinese Societies, 38, 3-41.

62.

Ingram, R. E. (1990).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 156-176. doi: 10.1037/0033-2909.107.2.156.

63.

Kim, H., & Han, S. (2018). Does personal distress enhance empathic interaction or block i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24, 77-83. doi: 10.1016/j.paid.2017.12.005.

64.

López-Pérez, B., Ambrona, T., Gregory, J., Stocks, E., & Oceja, L. (2013). Feeling at hospitals:Perspective-taking, empathy and personal distress among professional nurses and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3, 334-338. doi: 10.1016/j.nedt.2013.01.010.

65.

López-Péreza, B., Carrerab, P., Ambronac, T., & Oceja, L. (2014). Testing the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empathy andpersonal distress: Measuring core affect and self-orientation. The Social Science Journal, 51, 676-680. doi: 10.1016/j.soscij.2014.08.001.

66.

Mattan, B. D., Rotshtein, P., & Quinn, K. A. (2016). Empathy and visual perspective-taking performance. Cognitive Neuroscience, 7(1-4), 170- 181. doi: 10.1080/17588928.2015.1085372.

67.

Meleshko, K. G. A., & Alden, L. E. (1993). Anxiety and self disclosure: Toward a motivational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6), 1000-1009. doi:10.1037/0022-3514.64.6.1000.

68.

Merleau-Ponty, M. (2002).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원전은 1945년에 출판).

69.

Nisbett, R. (2004). 생각의 지도 (최인철 역). 서울: 김영사. (원전은 2003년에 출판)

70.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 569-582. doi: 10.1037/0021-843X.100.4.569.

71.

Nolen-Hoeksema, S., Larson, J., & Grayson, C. (1999). Expla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 1061-1072. doi: 10.1037/0022-3514.77.5.1061.

72.

Pan, W & Sun, L (2018). A Self-Regulation model of Zhong Yong thinking and employee adaptive performan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Review, 14, 135-159. URL: http://dx.doi.org/10.1017/mor.2017.33.

73.

Pulos, S., Elison,J., & Lennon, R. (2004).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2(4), 355-360. URL: https://doi.org/10.2224/sbp.2004.32.4.355.

74.

Rahim, M. A. (1983).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2), 368-376. URL:https://doi.org/10.5465/255985.

75.

Sawilowsky, S. (2009). New effect size rules of thumb. Journal of Modern Applied Statistical Methods, 8(2), 467-474. doi: 10.22237/jmasm/1257035100.

76.

Sulpizio, V., Committeri, G., Metta, E., Lambrey, S., Berthoz, A., & Galati, G. (2015). Visuospatial transformations and personality:evid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visuospatial perspective taking and self-reported emotional empath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33(7), 2091-2102. doi: 10.1007/s00221-015-4280-2.

77.

Sun, X., Yan, M., & Chu. X. (2014). Passive mood and work behavior: The cross-level mediating effect of Zhong-Yong. Acta Psychologica Sinica, 46, 1704-1718. doi: 10.3724/SP.J.1041.2014.01704.

78.

Thirioux, B., Jorland, G., Bret, M., Tramus, M., & Berthoz, A. (2009). Walking on a line: A motor paradigm using rotation and reflection symmetry to study mental body transformations. Brain and Cognition, 70, 191- 200. doi: 10.1016/j.bandc.2009.02.006.

79.

Timmers, M., Fischer, A. H., & Manstead, A. S. R. (1998). Gender differences in motives for regulating emotions.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 974-985. doi: 10.1177/0146167298249005.

80.

Tomei, A., Besson, J., & Grivel, J. (2017). Linking empathy to visuospatial perspective-taking in gambling addiction. Psychiatry Research, 250, 177-184. doi: 10.1016/j.psychres.2016.12.061.

81.

Totton, N. (2003). Body Psychotherapy: An Introduction. Open University Press, Philadelphia. USA

82.

Wang, P., & Yu, Y. (2014).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on Zhong-yong thinking and innovation intention.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Social Science, Humanities, and Management.

83.

Wilmot, W. W., & Hocker, J. L. (2001). Interpersonal Conflict (6th Ed). NY: McGraw -Hill.

84.

Woodruff, C. C., Daut, R., Brower, R., & Bragg, A. (2011). Electroencephalographic a-band and b-band correlates of perspective-taking and personal distress. Cognitive neuroscience and neuropsychology, 22, 744-748. doi: 10.1097/WNR.0b013e32834ab439.

85.

Yang, X., Zhang, P., Zhao, J., Zhao, J., Wang, J., Chen Y., Ding, S., and Zhang, X. (2016). Confucian culture still matters: The benefits of Zhongyong Thinking (Doctrine of the Mean)for mental health. Journal of Cross-Cultral Psychology, 47, 1097-1113. URL: https://doi.org/10.1177/0022022116658260.

86.

Yao, X., Yang, Q., Dong, N., & Wang, L. (2010). Moderating effect of Zhong Yo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 53-57. doi: 10.1111/j.1467-839X.2010.01300.x.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