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직장인들의 이직 결정요인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Korean employees’ Determinants of Turnover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9, v.38 no.2, pp.219-245
https://doi.org/10.22257/kjp.2019.6.38.2.219
이종현 (아주대학교)
김민재 (아주대학교)
성하늘 (아주대학교)
유효종 (아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업 종사자들의 이직 결정요인을 심층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합의적 질적 연구를 위해 분석팀을 구성하여 면담질문지 및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예비면담과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이를 확정하였다. 총 12명을 대상으로 본 면담을 실시하여 영역구분, 핵심개념 구성, 교차분석, 안정성 확인 절차를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이직사유 및 이직하지 못한 사유(직무배태성)영역의 영향요인이 차별적인 것이 확인되었고, 15개의 하위영역과 33개의 범주, 53개의 하위범주가 생성되었다. 연구결과, 국내 기업 종사자들은 회사와 무관한 외적 사유보다는 주로 직무․조직 내적 사유로 인해 이직을 하고 있으나, 조직에 잔류하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비전이나 대인관계 등 상대적으로 재직 중인 회사와는 관련도가 낮은, 개인에 집중된 변수들도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Turnover,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Job Embeddedness, 이직, CQR, 합의적 질적 연구, 직무배태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terminants of turnover of Korean employees. After developing interview questionnaire and survey, research team have set its process through preliminary interview and pilot test for consnsual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12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he team of 5 researchers and 1 supervisor were configured to review and analyze the results of data. The main domains were created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each turnover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followed with sub-domain and finally the categories were created accordingly. As a results, 2 main domains were reason for turnover and reason for stay(job embeddedness); 15 sub domains were created in each main domain, and 33 categories were created in each sub domains, and 53 sub categories were created in each categories. The findings showed that Korean employees leave their job for reason concerning their work and organization mainly, not their external reason. The reason for stay, however, is strongly influenced by personal career and relationship. The implication, limitation, future suggestion were discussed.

keywords
Turnover,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Job Embeddedness, 이직, CQR, 합의적 질적 연구, 직무배태성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2018.06.18.). 공고부문 2단계 기관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http://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180600462

2.

고용노동부 (2019.04.15.). 사업체 노동력 조사. https://www.data.go.kr/dataset/3069910/fileData.do

3.

고용노동부 (2019.04.10.). 청년 고용동향.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95

4.

김건식 (2013). 고성과작업시스템, 고용불안정성, 그리고 조직성과: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고용불안정성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0(2), 117-144.

5.

김은석, 정철영 (2010). 청년근로자의 일반적특성과 직무만족이 이직결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3(3), 107-122.

6.

김태은, 탁진국 (2007). 재취업 질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1), 57-80.

7.

김효선 (2015). 고졸 취업자들의 근무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5(3), 367-386.

8.

김충현 (2017). 일자리 불일치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31(5), 1-32.

9.

나인강 (2005).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이직행위의 관계에 대한패널자료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18(2), 509-530.

10.

남정민, 이병훈 (2012). 고용조정과 종업원 이직에 관한 종단연구: 인적자원패널조사의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3), 23-42.

11.

노언경, 홍세희, 이현정 (2011). 청년 취업자의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이중 변화형태 모형의 적용. 조사연구, 12(2), 113-144.

12.

매일경제 (2019.03.15.). 7월부터 1인당 평균실업급여 지급액 772만→898만원 인상.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3/156443/

13.

박재호, 박인호, 정봉교 (1985). 섬유생산업체종업원의 이직원인 분석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 및 경북지역 섬유업체를 중심으로. 인문연구, 7(2), 405-438.

14.

벼룩시장 (2018.05.11.). 직장인 2명 중 1명 “입사 후 2년 이내 퇴사해봤다”. http://www.findall.co.kr/New_Event/news_detail.asp?idx=313

15.

사람인 (2019.04.12.). 직장인 절반, “입사 1년이내 조기퇴사 한 적 있다!”. http://www.saramin.co.kr/zf_user/help/live/view?idx=97162&listType=news&category=10&keyword=&menu=1&page=1

16.

오인수, 김광현, Darnold, T. C., 황종오, 유태용, 박영아, 박량희 (2007).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인사조직연구, 15(4), 43-86.

17.

우옥자, 서문자, 박정호 (1972). 임상 간호원에 대한 직업의 만족도 및 이직에 대한 반응. 최신의학, 15(3), 96-103.

18.

이선희 (2008). 직무만족과 개인-직무 부합도가청년근로자의 이직 결정에 미치는 영향:사건사 분석볍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1(4), 705-728.

19.

이영면, 나인강, 이주형 (2013). 기간제 근로자와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21(4), 99-121.

20.

이영민, 임정연 (2010). 대졸 초기 경력자의 자발적 이직 결정요인 및 효과분석. 기업교육연구, 12(1), 129-153.

21.

이영민, 연경진 (2009). 정보통신 업종 대졸 초기 경력자의 이직의도와 이직행동 결정요인 분석. 기업교육연구, 11(1), 59-77.

22.

이종현, 신강현 (2017). 국내기업의 인재유지전략을 위한 직무배태성 타당화 연구. 사회과학연구, 41(2), 55-89.

23.

이종현, 신강현, 백승근, 허창구 (2014). 이직연구에서 직무배태성 개념의 유효성: 메타분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4), 743-779.

24.

이철기, 이동진 (2012). 조직공정성과 이직의도 및 정서몰입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25(8), 3375-3395.

25.

이현서, 심희경 (2016). 청년층 이직과정에 나타난 일 경험과 일의 의미. 문화와 사회, 22, 283-348.

26.

임희정 (2018). 관리자 및 부하의 성별, 조직문화에 따른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연구. 여성연구, 96(1), 119-145.

27.

잡코리아 (2018.09.06.). 2018 직장인 고찰-이직 편. http://www.jobkorea.co.kr/goodjob/tip/View?News_No=14684&schCtgr=

28.

장재윤, 윤소연, 김범성 (2005). 구직관련 요인, 부합도 지각 및 조직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 연구: 남녀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619-651.

29.

정대율, 노미진, 장형유 (2014). IT 부서 종사자의 정서고갈,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조직공정성과 사회적지원의 역할. 경영학연구, 43(1), 145-167.

30.

정성석, 이기훈 (2008). 2단계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직무만족도와 이직행동에 관한 연구: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통계학회지, 15(6), 859-873.

31.

중앙일보 (2019.01.22.). 역대급 대졸 취업난, SKY도 공대도 못버티고 취업률 추락. https://news.joins.com/article/23310328

32.

최옥현, 김봉환 (2006). 대학생의 진로낙관성과 진로적응성: Career Futures Inventory(CFI)의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7(3), 821-833.

33.

최찬기, 김재구 (2010). 최고경영자의 리더십과 조직문화 그리고 상호적합성이 주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레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4), 139-167.

34.

통계청 (2019.2.13.). 2019년 1월 고용동향.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3/2/index.board?bmode=read&aSeq=373151

35.

한겨레 (2019.04.03.). ‘신규 채용’ 몸사리는 대기업...실질 고영 대신 ‘정규직 전환’.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88544.html

36.

한국교육개발원 (2018.12.31.). 2017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연보.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selectPubForm.do

37.

한수연, 이희찬 (2015). 이직의도 vs 잔류의도, 단순히 반대의 개념인가? 호텔경영학연구, 24(7), 53-72.

38.

현선해, 윤기혁, 최세경 (2016). 직무만족과 처우불공정 지각이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직학회보, 13(3), 1-20.

39.

Cohen, A. (1995).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commitment and nonwork domains. Human Relations, 48, 239-263.

40.

Dalton, D. R., Todor, W. D., & Krackhardt, D. M. (1982). Turnover overstated: The functional taxonom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7, 117-123.

41.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and Schaufeli, W. B. (2001). The job dema 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499-512.

42.

Elliott, R. (1989). Comprehensive process analysis:Understanding the change process in significant therapy events. In M.Packer & R. B. Addison (Eds.), Entering the circle: Hermeneutic investigation in psychology (pp. 165-184). Albany, NY: SUNY Press.

43.

Ezigbo, C. (2012). Reducing turnover by motivation. Europea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4(17).

44.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45.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46.

Griffeth, R. W., Hom, P. W. (2004). Innovative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on employee turnover.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47.

Hill, C. E. (1990). A review of exploratory in-session process researc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8, 288–294.

48.

Hill, C. E. (2016). 합의적 질적 연구: 사회과학현상 탐구의 실질적 접근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2 출판)

49.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196-205.

50.

Hill, C. E., & Lambert, M. J. (2004). Methodological issues in studying psychotherapy processes and outcomes. In M. J. Lambert (Ed.),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5th ed., (pp. 84-135). New York: Wiley.

51.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52.

Jiang, K., Liu, D., McKay, P. F., Lee, T. W., & Mitchell, T. R. (2012). When and how is job embeddedness predictive of turnover?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7(5), 1077-1096.

53.

Kristof, A. L. (1996). Person‐organization fit: An integrative review of its conceptualizations,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Personnel psychology, 49(1), 1-49.

54.

Lee, T. W., Hom, P., Eberly, M., Li, J. J. (2018). Managing employee retention and turnover with 21st century ideas. Organizational Dynamics, 47(2), 88-98.

55.

Lee T. W., & Mitchell T. R. (1994). An alternative approach: The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1), 51-89.

56.

Lee, T. W., Mitchell, T. R., Holtom, B. C., McDaniel, L. S., & Hill, J. W. (1999). The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turnover: A replic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2, 450-462.

57.

Lee, T. W., Mitchell, T. R., Wise, L., & Fireman, S. (1996). An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5-36.

58.

Mahrer, A. R. (1988). Discovery-oriented psychotherapy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43, 694-702.

59.

Marshall, C. M., Chadwick, B. A., & Marshall, B. C. (1992). The influence of employment on family interaction, well-being, and happiness. In S. J. Bahr (Ed.), Family research: A sixty-year review, 1930-1990, 2, 167-229. New York: Lexington Books.

60.

Mitchell, T. R., Holtom, B. C., Lee, T. W., Sablynski, C. J., & Erez, M. (2001),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6), 1102-1122.

61.

Mobley, W. H. (1977).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237-40.

62.

OECD (2018), OECD Employment Outlook 2018,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empl_outlook-2018-en.

63.

OECD (2019), OECD Employment Outlook 2019:The Future of Work,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9ee00155-en.

64.

Oyserman, D., Goon, H. M., & Kemmelmeier, M. (2002).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Psychological Bulletin, 128(1), 3-72.

65.

Price, J. L., & Mueller, C. W. (1981).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 543-565.

66.

Price, J. L., & Mueller, C. W. (1986).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I Press.

67.

Steers, R. M., & Mowday, R. T. (1981). Employee turnover and post-decision justification. In L. L. Cummings & B. M. Staw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3, 235-282. Greenwich, CT: JAI Press.

68.

Rottinghaus, P. J., Day, S. X., & Borgen, F. H. (2005).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A measure of carr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Journal od Carrer Assessment, 13(1), 3-24.

69.

Rousseau, D. M. (1990). New hire perceptions of their own and their employer's obligations: A study of psychological contract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1(5), 389-400.

70.

Rubenstein, A. L., Eberly, M. B., Lee T. W., & Mitchell, T. R. (2018). Surveying the forest:A meta‐analysis, moderator investigation, and future‐oriented discussion of the antecedents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Personnel psychology, 71(1), 23-65.

71.

Smith, M. A. (2002). Subordinate -supervisor fit using the big five personality constructs. Presented at the 17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Toronto, Canada.

72.

Strauss, A. and Corbin, L (1990). Basics of Grounded Theory Methods. Beverly Hills, CA.:Sage.

73.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74.

Zimmerman, R. D. (2008).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individuals’turnover decisions: A meta-analytic path model. Personnel Psychology, 61(2), 309-34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