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행동과학에서 측정평가의 과거와 현재: 한국사에서의 고찰

Past and Present of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Behavioral Sciences: A review of Korean histor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9, v.38 no.3, pp.275-300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275
이순묵 (성균관대학교)
김아영 (이화여자대학교)
백승근 (아주대학교)
강민경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에서 인간행동의 측정 및 평가에 관한 흐름을 검토하고 학문적 정체성과 발전의 현주소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사에서 측정평가의 문화적 기반을 찾기 위해 역사문헌을 검토하고 해방 후 연구를 포괄하고자 여러 학술DB로부터 현대의 측정평가 연구에 대한 기초적인 통계를 산출하였다. 고조선 시대의 수리적 사고로부터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판단적 평가인 교육기관 추천, 관직에의 천거, 그리고 객관적 평가로서의 통일신라의 독서삼품과, 고려시대의 과거제도 도입, 그리고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확대까지 시대의 변천에 따라 주관적 평가에서 객관적 평가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였다. 서구학문의 유입은 측정 및 검사이론, 통계학의 수입으로 기존의 행동평가를 정교화시켰고, 실험과 조사방법의 도입은 유학의 질적 방법론에 현대적 연구방법들을 더하였다. 현대적 측정평가는 해방 이후 도입되어 측정 및 검사이론, 통계, 도구(개발) 및 평가, 그리고 연구방법으로 분화 발전하였다. 도입기(대한민국 수립 후 15년간)-구축기(60년대부터 20여 년간)-발전기(80년대~2000년)를 거쳐 21세기에는 14년간 측정평가의 학술활동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2014년 말까지 총 3,539건). 1960년대부터는 학술지 중심의 연구 활동이 빠르게 성장하였고, 영역별로는 도구/평가 영역의 발전이 두드러졌으며 검사이론이 그 뒤를 따른다. 산업 측면에서 심리검사 영역은 공식적으로 집계되지 않고 있지만 최소 30개 이상의 회사가 설립․운영되고 있으며, 여론 및 사회조사 회사는 411개 기업에 8,184명이 종사(2013년 현재)하는 규모로 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적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는 판단적 평가의 중요성을 재강조하고,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의 균형 발전을 위한 노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측정 및 평가, 판단적 평가, 객관적 평가, 유교적 가치, 역사, measurement, assessment, subjective judgement, objective evaluation, Confucian value

Abstract

We traced the root of behavioral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Korean history in an attempt to locate where we are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modern development of the field. We discovered that the balance between judgmental asses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 has continuously moved from “judgmental” to “objectiv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the field in the western world. Through searching books, articles, and conference proceedings, we could build statistics about the modern development of the field and academic performance of scholars. We reviewed evaluation practices for the referral, recommendation, and selection of government posts in Korean history and found evidence of judgmental and objective assessment throughout the Old Chosun, three Kingdoms, Unified Silla, Koryo, and Chosun dynasties. Through the dramatic development in the last decade of 20C we have demonstrated tremendous achievement in the subdomain of instruments and assessment, and the subdomain of theory of measurement and testing. As a result we see more than 400 companies doing business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social survey. Also we are close to witnessing the advent of testing industry in the nation. Lastly we raise some questions or point out some problems in current assessment practices in an attempt to pursue the next milestone on the route to full blooming days of behavioral measurement and assessment in Korea.

keywords
측정 및 평가, 판단적 평가, 객관적 평가, 유교적 가치, 역사, measurement, assessment, subjective judgement, objective evaluation, Confucian value

참고문헌

1.

강상진 (2004). 반세기 한국교육평가학의 역사와 전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편), 교육학 연구 50년, 321-378. 서울: 혜안.

2.

고려사.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고려시대: http://db.history.go.kr/KOREA/

3.

김동욱 (1996). 국역 동패락송. 경기: 아세아문화사.

4.

김미숙 (2006).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통합에 대하여. 교육사회학연구, 16(3), 43-64.

5.

김성태 (1989). 경과 주의.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6.

김용운, 김용국 (2009). 한국수학사(수학의 창을 통해 본 한국인의 사상과 문화). 경기: 살림MATH.

7.

김충렬 (1982). 동양 인성론의 서설. 한국동양철학회 편,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169-184.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8.

노중국 (2014). 삼국시대의 인문 정신과 세계관. 동서인문학, 48, 25-50.

9.

승정원일기.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사료고종시대사 6: http://db.history.o.kr/KOREA/

10.

역사저널 그날. (2014). ‘정철, 기축옥사 특검되던 날’, KBS1, 시사/교양, 28회.

11.

이광세 (1998). “근대화, 근대성, 그리고 유교”동양과 서양: 두 지평선의 융합. 서울: 길, 64-93.

12.

이기백 (1998). 한국사 신론. 서울: 일조각.

13.

이남희 (2008). 과거제도, 그 빛과 그늘. 오늘의 동양사상, 18, 117-136.

14.

이성진 (2015). 로스쿨, 사법시험 등 법조인력양성에 대한 현업 변호사들의 생각. 법률저널, 2015. 7. 14.

15.

이승환 (1998). 후기 근대 유학담론의 두 유형:뚜웨이밍(杜維明)과 에임스(Roger Ames)를 중심으로 <<동아연구>>(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35, 363-416.

16.

이장주 (2014). 우리 역사속 수학이야기. 서울: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7.

임능빈 (1983). 성리학의 적응심리학적 접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8.

전덕제 (2010). 신라의 독서삼품과: 한국 과거제도의 전사. 한국사 시민강좌, 46, 1-18.

19.

정구선 (1999). 高麗時代의 現官薦擧制. 동국사학, 33, 19-43.

20.

조긍호 (1990). 맹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I): 인성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 5(1), 59-81.

21.

조긍호 (1997). 선진유학의 심리학적 함의. 한국심리학회편, <동양심리학의 모색> 한국심리학회 1997년도 추계 심포지움 자료집. 서울: 한국심리학회. 41-406.

22.

조긍호 (1998). 유학심리학: 맹자․순자편. 나남신서 648. 서울: 나남출판.

23.

조긍호 (2007). 동아시아 집단주의와 유학 사상: 그 관련성의 심리학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11-54.

24.

조선왕조실록. 6대 단종, 1454년,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

25.

조선왕조실록. 14대 선조, 1594년. 선조실록 57권, 선조 27년 11월 12일, 국사편찬위원회:http://sillok.history.go.kr/

26.

조선왕조실록. 15대 광해군, 1616년,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

27.

최몽룡 (2002). 신편 한국사.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http://db.history.go.kr,2015.4.10인출.

28.

통계청 (2013). 전국 사업체 조사 (국가 통계포털 KOSIS의 온라인 통계자료). 서울: 대한민국 통계청.

2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https://encykorea.aks.ac.kr/

30.

한국심리학회 (1996). 한국심리학회 50년사. 서울: 교육과학사.

31.

한덕웅 (1994). 퇴계심리학.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32.

한민족독립운동사, 1권 국권수호운동1,「동학혁명운동과 갑오개혁」: http://db.history.go.kr/

33.

한영우 (2015). 다시 찾는 우리 역사. 서울: 경세원.

34.

한인섭 (1999). 법조비리-문제와 대안. 법학(서울대학교). 39(1), 164188. 서울: 서울대 법학연구소.

35.

AERA, APA, & NCME. (1999).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 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36.

AERA, APA, & NCME (2014).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ERA.

37.

Allen, M. J., & Yen, W. M. (1979). Introduction to measurement theory. Belmont: Wadsworth, Inc.

38.

Cascio, W. F., Outtz, J., Zedeck, S., & Goldstein, I. L. (1991). Statistical implications of six methods of test score use in personnel selection. Human Performance, 4(4), 233-264.

39.

Corbin, J. M.,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40.

Cronbach, L. J. (1988). Five perspectives on validity argument. In H. Wainer & H. Braun (Eds.), Test Validity (pp. 3-17). Hillsdale, NJ:LEA.

41.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 Press.

42.

Kane, M. T. (2006). Validation. In R. L. Brennan (Ed.) Educational measurement (4th ed. pp. 17-64). NY: Council on Education and Praeger Publishers.

43.

Kline, R. B. (2012). Beyond significance testing:statistics reform in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44.

Michell, J. (1990). An introduction to the logic of psychological measurement. Hillsdale, NJ: LEA.

45.

Russell, B. (1959). 서양의 지혜: 그림과 함께 보는 서양철학사. Wisdom of the West: A Historical Survey of Western Philosophy in its Social and Political Setting (이명숙, 곽강제 역, 1990). 서울: 서광사.

46.

Thornton, G. C. (1992). Assessment center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NY, NY: Addison-Wesley Publishing.

47.

Verschuren, P. J. M. (2001). Holism versus Reductionism in Modern Social Science Research. Quality & Quantity, 35, 389-405.

48.

Woodson, W. E., Tillman, B., & Tillman, P. (1992). Human factors design handbook: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systems, facilities, equipment, and products for human use. 2nd Ed. NY, NY: McGraw-Hill.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