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9, v.38 no.3, pp.301-322
https://doi.org/10.22257/kjp.2019.09.38.3.301


Abstract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provided by college students have been proposed as a novel compensatory education that can help adolescents to prepare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that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donation program on adolescents’ developm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has beneficial impacts on adolescents’ abil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that took place weekdays or weekends.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which included measures assessing intrinsic motivation for study, problem solv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self-control, career identity, and affect. A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also included in the study. Repeated t-tests among the participation students revealed that post-scores were higher than pre-scores in both abilities and affect.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COVA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abilities and affect after controlling for the pre-scor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viding educational donation program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keywords
교육기부, 핵심역량, 정서, 청소년 발달, educational donation, competency, affect, adolescent development

Reference

1.

교육기부포털[웹사이트]. (2018). URL: https://www.teachforkorea.go.kr/aboutus/neo_edunanum_info/.에서 2019. 05. 31 자료 얻음.

2.

교육과학기술부 (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 2013년 5월 28일 보도자료.

3.

교육과학기술부 (2018). 2018년 제 7회 대한민국 교육기부 박람회 개최: 온 마을이 함께, 아이들의 꿈에 날개를 달다 2018년 11월 21일 보도자료.

4.

메트로 신문 (2018. 11. 21). ‘제7회 대한민국교육기부 박람회’ 22일부터 4일간 일산킨텍스서.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8112100108에서 2019. 02. 26. 자료얻음.

5.

고홍월, 이자명 (2010). 청소년 학습 멘토링 활동에서의 경험. 청소년학연구, 17(11), 228-262.

6.

구재선, 김의철 (2006).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0(4), 1-18.

7.

김경준, 오해섭, 김지연, 정익중, 정소연 (2010). 청소년의 사회적 참여 활성화를 통한 저소득가정 아동 지원 방안 연구 Ⅰ: 청소년멘토링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개발원.

8.

김경화 (2016).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고교-대학 연계 방안 모색. 한국콘텐츠학회, 16(9), 185-197.

9.

김남이 (2012). 공교육과 사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사교육 축소를 위한 공교육의 노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달효 (2015).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문화연구, 21(5), 179-202.

11.

김미아, 이상봉 (2015). 고등학생의 기술체험 교육기부활동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3), 181-202.

12.

김순규, 이재경 (2007). 빈곤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14(5), 75-98.

13.

김영우, 김종두 (2016).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중학생 진로교육의 효과와 문제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 6), 313-321.

14.

김윤정, 전소정, 우성범, 황수덕, 이종은, 박선웅, 양은주 (2016). 교육기부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청소년 수혜자와 대학생제공자의 인식: 개념도 방법론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4(4), 85-110.

15.

김지연, 정소연 (2010). 청소년 멘토링활동 효과측정.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6.

김혜래, 이혜원 (2007).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3, 33-63.

17.

김흥식, 최이순, 장효강 (2013). 단축형 사회적문제해결 검사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2(3), 611-625.

18.

모상현, 박정배, 진은설 (2012). 멘토링 효과성 측정영역 및 지표 구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2), 355-380.

19.

박상규 (2018). 교육기부를 통한 실천적 지식전달이 의사소통역량 및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2, 183-195.

20.

박은신 (2018). 박물관․미술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이화박물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박물관 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21.

박종일, 박찬웅, 서효정, 염유식 (2010). 한국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 한국사회학, 44(2), 121-154.

22.

박현선 (2000). 실질가정 자녀의 적응유연성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멘터(mentor)와 멘티(mentee)에게 미친 사회적발달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1, 147-172.

23.

백순주 (2016).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가정․학교․지역사회를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유은주, 최명숙, 최성열 (2010).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간의관계. 교육심리연구, 24(3), 707-732.

25.

유효숙 (2011). 과학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광우, 전제철, 허결철, 홍원표, 김문숙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비전 연구(Ⅲ).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7.

이규미 (2005).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83-398.

28.

이민희, 정태연 (2007). 청소년용 학습동기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청소년연구, 18(3), 295-321.

29.

이승범, 진지형 (2016). 자유학기제 적용에 따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행복도, 인성, 진로에 관한 인식 분석. 관광레저연구, 28(2), 347-359.

30.

이영민, 어성민, 임성택 (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련성. 상담평가연구, 5(1), 1-12.

31.

임승희, 김소영, 이유리 (2013).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연구: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30), 225-245.

32.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 (1991).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3.

장신호 (2011). 교육기부의 개념, 운영 사례, 해결과제 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4.

전경숙, 이영혜, 이재연, 정자윤 (2014).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2(3), 109-121.

35.

정문성, 석문주, 모경환, 김해경, 박새롬 (2011).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예술꽃씨앗학교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6.

조현철 (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37.

진미석 (2013). 대학생의 핵심 역량 진단 결과분석. KRIVET Issue Brief, 29. 세종:한국직업능력개발원.

38.

최경일 (2008).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과 교사간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0(1), 47-67.

39.

최상민, 한정란 (2007). 세대공동체 봉사학습프로그램의 효과-청소년과 시설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7(1), 163-177.

40.

최선희, 김희수, 양혜원, 이근영, 최지현 (2010). 저소득 아동, 청소년 멘토링에 대한 성과인식 연구-멘티, 멘토, 멘티부모의 다각적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9), 253-276.

41.

최영하, 윤형진 (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자기성장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아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학회지, 9(1), 65-75.

42.

하창순, 김지현, 최희철, 유현실 (2006).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수업 참여도, 개인 학습시간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7(1), 181-200.

4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4.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STORY BOOK-쏙쏙캠프, 함성소리, 알락달락 행복한 교실스토리북.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기부센터.

45.

한선화 (2006). 청소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 전략 및 자기통제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한순미 (2004).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1), 329-350.

47.

현다경, 김형모 (2018).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 교육환경 및 지역사회환경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5(4), 1-26.

48.

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Evidence-Based Practice. (2006).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 The American Psychologist, 61(4), 271-285.

49.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50.

Cain, L. F., & Willey, R. D. V. (1939). The effect of spaced learning on the curve of reten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5(2), 209-214.

51.

Cepeda, N. J., Pashler, H., Vul, E., Wixted, J. T., & Rohrer, D. (2006). Distributed practice in verbal recall tasks: A review and quantitative syn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32(3), 354-380.

52.

Dowd, A. J., Weiner, K., & Mabeti, F. (2010). Malawi literacy boost 2009 Year 1 report. Washington, DC: Save the Children. Retrieved July, 30, 2018.

53.

Dunlosky, J., & Rawson, K. A. (2015). Practice tests, spaced practice, and successive relearning: Tips for classroom use and for guiding students’ learning.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in Psychology, 1(1), 72-78.

54.

Garrett, H. E. (1940). Variability in learning under massed and spaced practic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6(6), 547-567.

55.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56.

Grasmick, H. G., Tittle, C. R., Bursik, R. J., & Arneklev, B. J. (1993).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0(1), 5-29.

57.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58.

Karcher, M. J. (2005).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mentoring and high school mentors' attendance on their younger mentees'self-esteem, social skills, and connectedness. Psychology in the Schools, 42(1), 65-77.

59.

Loeber, R., Russo, M. F., Stouthamer-Loeber, M., & Lahey, B. B. (1994).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ir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disruptive behaviors in adolescenc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4(4), 615-637.

60.

Michalchik, V., Sussex, W., & Gorges, T. (2007). Intel Learn: Program Evaluation Findings. CA:SRI International.

61.

Mumford, M. D., Zaccaro, S. J., Harding, F. D., Jacobs, T. O., & Fleishman, E. A. (2000). Leadership skills for a changing world: Solving complex social problems. The Leadership Quarterly, 11(1), 11-35.

6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Innov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OECD Publishing.

63.

Philliber, W. W., Spillman, R. E., & King, R. E. (1996). Consequences of family literacy for adults and children: Some preliminary findings.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39(7), 558-565.

64.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65.

Pintrich, P. R., & Garcia, T. (1991). Stud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In M. Maehr, & P. R. Pintrich(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Goals and Self-Regulator Processes (Vol. 7). Greenwich, CT: JAI Press.

66.

Ritakallio, M., Koivisto, A. M., von der Pahlen, B., Pelkonen, M., Marttunen, M., & Kaltiala-Heino, R. (2008). Continuity, comorbidity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ur in middle adolescence: A 2-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Journal of Adolescence, 31(3), 355-370.

67.

Rosenblum, G. D., & Lewis, M. (2003). Emotional development in adolescence. In G. R. Adams &M. D. Berzonsky(Eds.), Blackwell handbook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Blackwell handbook of adolescence (pp. 269-289). Malden: Blackwell Publishing.

68.

Rychen, D. S., & Salganik, L. H.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July, 1, 2006. OCED DeCeCo

69.

Steinberg, L. (2005).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 adolescence.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9(2), 69-74.

70.

Sweeney, D. S., & Homeyer, L. E. (1999). The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 How to do it, how it works, whom it's best for. SanFrancisco:Jossey-Bass.

71.

Tierney, J. P., Grossman, J. B., & Resch, N. L. (1995). Making a difference: An impact study of big brothers/big sisters. Philadelphia: Public/Private Ventures.

72.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