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인의 세대별 한(恨) 표상의 차이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HAN Representations for Korea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21, v.40 no.3, pp.269-299
https://doi.org/10.22257/kjp.2021.9.40.3.269
이재호 (계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恨)은 한국인의 마음을 담고 있는 문화적 어휘로 알려졌고, Lee & Choi(2003)는 한(恨)의 문화적 표상을 규명하고자 1994년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중과제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한(恨)이 정서를 넘어 한국인의 문화적 경험을 담화적으로 표상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한(恨)의 문화적 의미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도 검증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선행연구의 방법을 연장하여 한(恨) 표상의 세대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자유생성과제와 평정과제로 한(恨) 표상의 세대 차이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1994년도 세대보다 2019년도 세대는 정서 단어의 생성빈도와 평정강도는 증가하였지만 생성단어의 유형과 평정치의 편차가 심했다. 실험 2는 1994년도 세대 우세단어가 2019년도 세대 우세단어보다 명명시간이 빠르며, 문화자극과 세대변인 모두 과제유형과 상호작용하고, 두 세대의 빈도와 평정치가 일치하는 조건에서 문화변인의 점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점화명명과제에서 관찰하였다. 두 실험은 세대가 문화자극의 표상 차이를 야기하며, 한(恨) 표상이 세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보였다. 2019년도 세대는 1994년도 세대보다 외현적 수준에서는 한(恨)을 보다 정서적 의미로 표상하지만 암묵적 수준에선 참조 대상과 사건 원인의 의미가 여전히 지속되는 표상을 유지하였다. 이 연구는 문화적 한(恨) 어휘의 표상이 시대에 점진적이며 역동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실험적 방법으로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한(恨), 문화, 세대, 명명과제, 담화, HAN, culture, generation, naming task, discourse

Abstract

Han (恨) is known as a cultural concept that contains the minds of Korean. Lee & Choi (2003) applied a multi-task method to college students of 1994 to identify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Han (恨). The result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Han (恨) could represent the cultural experience of Korean discourse beyond emotion. This study raised the need to verif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ultural meaning of Han (恨) according to the times, and tried to compare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Han (恨) representation by elaborating the method of previous studies. Experiment 1 observed the generational difference in the representation of Han (恨) with the free generation task and the rating task. The main result is that the generation frequency and rating strength of emotion words increased in the 2019 generation than in the 1994 generation, but the type of generated words and the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naming time of the 1994 generation word was faster than the 2019 generation word, the cultural stimulus and the generational variable interacted with the task type, and the priming of the cultural variable was facilitat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frequency and rating of the two generations coincide. The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primed naming task. The two experiments showed that generations caus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cultural stimuli, and that the representation of Han (恨)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The 2019 generation represented Han (恨) more emotionally at the explicit level than the 1994 generation, but maintained the representation in which the meaning of the reference object and the cause of the event still persists at the implicit level.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ncremental and dynamic chang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cultural Han (恨) concept using an elaborated experimental method.

keywords
한(恨), 문화, 세대, 명명과제, 담화, HAN, culture, generation, naming task, discours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