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국가시책으로 출발한 ‘위(Wee)프로젝트’는 한국의 학교상담 체제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심리․정서 발달을 돕는 활동은 학교 교육에서 그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위(Wee)프로젝트 관련 법령, 정책보고서, 통계, 학술자료 등의 문헌자료를 토대로 학교상담 20년의 현황과 쟁점을 개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학교상담 체계 구축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상담 전담 행정관리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학교상담 표준화 모형에 대한 공론화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학교상담 전(全)학교-이원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교상담의 협업과 연계의 집행 전략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학교상담자의 정체성 확립과 소진에 관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관한 현장 실행연구의 축적이 절실하다. 본 논의를 통해 한국의 학교상담이 시책(時策)사업으로 출발했던 프로젝트에서 보편적 예방․발달 중심의 한국형 학교상담 제도로 확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Wee Project,” initiated as a national policy, is inseparable from school counseling in South Korea. Activities that support studen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20 years of school counseling based on literature such as laws, policy reports, statistics, and academic materials related to the Wee project. By analyzing the status and issues over the past two decade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insights for building a school counseling system that fosters students’ healthy growth. First,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dedicated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counseling. Second, mentioned the need for public discussion regarding a standardized model for school counseling and proposed the ‘School-wide Dual-track Model’ as an alternative. Third, a review of strategies for implement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in school counseling is required. Fourth, measures must be devis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chool counselors and address burnout. Fifth, it is essential to accumulate field-based research o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school counseling programs.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hoped that school counseling in Korea can evolve from a policy-driven project into a Korean-style school counseling system focused on universal prevention and developmental approa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