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도식적 얼굴 그림의 처리한계와 시연가능성(試演可能性)

Processing Limits and Rehearsability of Schematic Face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6, v.5 no.2, pp.105-115
최영주(Young-Ju Choi)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정찬섭(Chan-Sub Chung)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視覺的 단기기억의 腐蝕 및 試演假說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사재인기법이 도입되었다. 실험에 따라 각각 셋ㆍ다섯ㆍ일곱 개의 視覺的 刺戦이 계열적으로 제시되어 視覺的 記憧의 폭(memory span)의 효과가 조사되었다. 자극들은 세 가지 차원으로 변화되는 열두 개의 서로 다른 얼굴그림군 중에서 임의로 선정된 것이었다. 각 실험에서의 측정치는 탐사자극 직후에 제시된 목표자극에 대한 정확 재인율이었다. 실험결과, 재인율은 자극간격(Inter Stimulus Interval)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시각적 기억이 腐蝕되지 않을 뿐 아니라 試演되지도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간섭항목수의 증가는 재인수행율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視覺的 短期記憶이 한정된 구조적 용량을 지님을 시사한다. 이같은 제한된 용량 효과는 세 실험들로부터 산출된 평균재인율의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대체로, 본 실험의 결과는 시각적 단기기억이 한정된 용량을 가지는 구조로서 특징지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A probe recognition technique was used to examine the decay vs. rehearsal hypothesis of the visual short-term memory.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visual memory span, th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respectively with three, five, and seven serially presented visual stimuli. These stimuli were randomly sampled from a pool of twelve mutually distinguishable schematic faces varing along three stimulus dimensions. Dependent measure of the experiments was the rate of correct recognition for the target stimulus immediately following a probe stimulus. From the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timulus present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which implies that neither decay nor rehearsal of the visual memory may occur. Recognition performance became worse as the number of interfering items increased suggesting the effect of the limited structural capacity of the visual short-term memory. This effect of limited structural capacity was also confirmed in the comparison amo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s from the three experiments. In genera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e of visual short-term memory can be characterized by its limited capacity.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6-04-26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