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대뇌 반구에 따른 한글 처리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한글 단어를 오른쪽 또는 왼쪽 시야에 제시한 뒤 재인 과제와 범주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자극 제시 시야와 아울러 대뇌 반구 기능의 분화를 평가하기 위한 독립 변인으로서 자극의 연상가, 유사성, 및 범주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종속 변인은 검사 자극에 대한 재인 반응 시간과 유목 판단 반응시간이었다. 실험 결과, 자극 제시 시야의 효과가 발견되지 않아 한글 단어의 재인에서 좌반구가 우세한 기능을 담당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같이 좌반구가 우세하지 않았던 이유가 피험자가 전략적으로 자극의 시각적 특징만을 대조했기 때문인가 아니면 시각적인 구성에서 독특한 한글의 언어적 특성 때문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자극의 유사성을 변화시켜 좌우 반구의 재인수행 결과를 비교하였으나 시각적 특징 대 조에 근거하여 재인 판단을 한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단어 재인 보다 고차적인 언어 처리를 요하는 범주 판단 과제에서는 좌반구의 우세성이 확인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한글 의미처리에서 좌반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글의 초기 처리에서는 두 반구가 모두, 고차처리에서는 좌반구가 더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한글은 처리 수준에 따라 대뇌 반구의 개입 양상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Hemispheric functional localization in the processing of Hangul words was assessed using recognition and category judgement tasks. Stimulus words were briefly presented in the right or left visual field to make the stimulu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left or right hemisphere,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visual field, stimulus association value, similarity of visual feature, and category of word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see how the hemispheric functional localization, if any, asymmetrically varies on them. Reaction times for the recognition task and category judgement task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of the recognition task show that the effect of visual field is nut significant implying that hemispheric dominance may not appear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Hangul words. In order to further investigate whether the unexpected absence of left hemisphere dominance, i.e. in order to see whether the subjects strategically matched only the visual features of stimuli,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and recognition stimuli in terms of visual features were manipulated. There was a weak trend that higher similarity results in mort left hemipheric dominance, although such tren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contrary, in the category judgement task the reaction time when the stimulus was projected into the left hemisphere was shorter than when it was projected into the right hemispher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eft hemisphere may take an Important role when a Hangul word requires semantic processing. I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hemispheres may contribute to the early processing of Hangul words and hemispheric functional dominance may depend on the required level of word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