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동기에 미치는 가능적-자기의 영향 -공변량구조 모형의 적용-

The Influence of Possible Selves on Motivation : An Application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9, v.8 no.1, pp.88-100
장성숙 (The Ohio State University)

초록

자가개념과 동기 사이를 이어주는데 필수적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가능적-자기(possible selves) 개념은 목표, 포부, 동기, 두려움에 대한 인지적 표명으로서 Markus와 Nurius(1986)에 의해 발전되었다. 가능적-자기가 지닌 의의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 가능적-자가가 미래행동을 위한 유인가로 기능한다는 것이고 둘째, 가능적-자기는 자신에 대한 현재의 견해에 평가적이고 해석적인 맥락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능적-자기가 정서, 자존감, 자아-효능감, 자아-통제, 그리고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공변량구조 모형을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적-자기 개념이 독립적인 구조로 확립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3개의 가정된 모델을 검증했다. 첫째 모델은 가능적-자기와 현재-자기를 복합시킨 개념구성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것이고, 나머지 두 모델은 비교를 위하여 검증된 것으로 가능적-자만의 개념구성을 둘째 모델, 현재-자기 개념구성을 그 세 번째 모델로 설정해 분석했다. 결과에 따르면, 첫째와 둘째 모델은 썩 좋은 적합 정도를 보여주지 못했고 셋째 모델만이 좋은 적합 정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하여 가능적-자기 개념은 독립적인 개념구성으로 확립되기 위해서 아직 더 정교화 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keywords

Abstract

The concept of possible selves, which provide the essential link between self-concept and motivation, has been developed by Markus and Nurius as the cognitive manifestation of goals, aspirations, motives, and fears. According to Markus and Nurius, possible selv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function as incentives for future behavior and because they provide an evaluative and interpretive context for the current view of self. In this study, three hypothesized models were tested to verify the influence on several variables like affect, self-esteem, self-efficacy, personal-control and motivation by using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del of current-self shows good fitting indices while the other two models(the model of possible-self, the model of current-self, and possible selves) are failed to show good fitting indicts.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05-10
수정일Revised Date
1989-08-0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