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모교 동일시에 대한 탐색적 비교 문화 연구

Exploratory Cross cultural study of Alma mater identification

초록

본 연구는 모교 동일시와 학과(학부)동일시의 선행 변수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비교 문화연구가 실시되었다. 사회 정체성 이론에서는 모교 동일시를 개인과 모교간의 공동 운명체 지각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학과(학부)동일시는 개인과 학과(학부)간의 공동 운명체 지각으로 정의하고 있다. 모교 동일시와 학과(학부)동일시의 선행 변수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결과 모교 동일시의 선행 변수로는 전공 만족, 기대 부합도, 학부 동일시, 학우 만족이 밝혀졌으며 학과(학부)동일시의 선행 변수로서는 직업 중요도, 교수 능력, 전공 장래성, 학우 만족이 유의한 선행 변수로 나타났다. 미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다 회귀분석 연구에선 모교 동일시의 선행 변수로는 학부 동일시, 대학 위상, 직업 위상, 전공 만족이 밝혀졌으며 학과(학부)동일시의의 선행 변수로서는 직업 중요도, 전공 장래성, 교수 능력, 학우 만족, 전공 만족이 유의한 선행 변수로 나타났다. 한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한 공분산 구조 분석 연구에선 전공 만족, 기대 부합도, 학우 만족이 모교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업 중요도, 교수 능력, 학우 만족은 학과(학부)동일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국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학부 동일시, 대학 위상이 모교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중요도, 전공 장래성, 교수 능력, 학우 만족이 학과(학부)동일시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한국의 경우 학과(학부)동일시는 모교 동일시로 확장되지 못한 반면 미국 대학생들은 학과(학부)동일시를 매개 변수로 모교 동일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논의와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모교 동일시, 학과(학부)동일시, 대학위상, 전공만족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of alma mater identification and departmental identification and, antecedents. Alma mater identification and departmental identification was conceptualized as perceptions of common fat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ity, department, as suggested by the social identity theory. Responses t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asuring alma mater identification and departmental identification, antecedents collected from 230 Korea students and 145 U.S.A student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alma mater identification and departmental identific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Majo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follows. In Korea, major satisfaction, peer satisfaction, departmental identification, met expectation influenced on alma mater identification positively. Occupational importance, professor ability, major future, peer satisfaction influenced on departmental identification positively. In U.S.A, major satisfaction, departmental identification, University prestige, occupational prestige influenced on alma mater identification positively. Occupational importance, professor ability, major future, peer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influenced on departmental identification positively. To identify relations of alma mater identification and departmental identification and departmental identification model was conducted with 230 sample data, and USA alma mater identification and departmental identification model was conducted with 145 sample data Major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follows. In Korea, Occupational importance, professor ability, peer satisfaction influenced on departmental identification positively. Major satisfaction, peer satisfaction, met expectation influenced on alma mater identification positively. Occupational importance, professor ability, major future, peer satisfaction influenced on departmental identification positively.

keywords
alma mater identification, departmental identification, university Prestige, major satisfac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2-08-11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2-08-21

logo